KR0131874B1 - 틸팅백(tilting back)이 결합된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 - Google Patents

틸팅백(tilting back)이 결합된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874B1
KR0131874B1 KR1019890011264A KR890011264A KR0131874B1 KR 0131874 B1 KR0131874 B1 KR 0131874B1 KR 1019890011264 A KR1019890011264 A KR 1019890011264A KR 890011264 A KR890011264 A KR 890011264A KR 0131874 B1 KR0131874 B1 KR 0131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odule
cleaning
til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490A (ko
Inventor
데카욱스 진-클라우드
Original Assignee
데카욱스 진-클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카욱스 진-클라우드 filed Critical 데카욱스 진-클라우드
Publication of KR90000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2Disappearing bowl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틸팅백(tilting back)이 결합된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
제1도는 이발명에 의한 위생기구모듈의 평면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작동부분 개략도.
제3도는 청소동작 표시도.
제4도는 사용위치에서 청소위치로 이동할 때 용변기와 틸팅백의 각 위치를 표시한 설명도.
제5도내지 제7도는 그 사용위치로 가동백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표시도.
제8도내지 제10b도는 건조장치.
제11도는 급수장치가 부착된 용변기의 한실시예의 표시도.
제12도는 안전장치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실 2 : 출입문
3 : 상용자구역 4 : 특정구역
5 : 벽체 6 : 용변기
16 : 틸팅백
이 발명은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로 특히 공중장소나 반공중장소에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듈구내를 떠나면 자동적으로 청소되는 위생기구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위생기구모듈은 유로사용되고 도로변과 같은 비보호위치인 공중장소에 자율구조단위로 구성된 것이 알려져있다.
이 공지된 위생기구모듈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동전에 의해 작동되는 문을 통해 들어가는 사용자구역과 사용자의 출입이 금지된 특정구역의 2구역으로 구분된 밀폐공간으로 구성되어있다.
용변기는 분할간막이에 단독으로 상기 간막이에 대하여 평행인 축주위를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변기가 상기 간막이를 기고 수평으로된 사용위치와 상기 간막이 개구에 수직으로 위치하게되는 청소위치 사이를 선회하여 청소부재가 구성되어있는 특정구역으로 지향하게 되어있다.
용변기가 청소위치로 이동할 때의 개구부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플랩(flap)에 의해 밀폐된다.
그런데 가령 이 플랩이 청소동작중 깨끗이 청소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대하여 위생조건이 극히 요구되므로 청결이 불완전상태로 보인다면 이들 위생기구모듈의 사용을 꺼려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더구나 가동플랩이 청소동작 초기에 상승되면은 용변기가 소정의 청소위치에 도달하기까지 특정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는 큰개구를 남기게 된다.
이는 모듈사용후 출입문을 닫으므로서 청소동작이 시작될 때 사용자 특히아동이 사용자구역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가능성을 고려할 때 안전에 대한 문제점이 되는 것이다.
세척후 용변기의 건조를 흡기에 의하여 달성하는 종래의 위생기구모듈은 아주 만족스럽지 못하며 특히 물방울이 용변기 시트상에 남게되어 이를 사용자는 싫어하게 된다.
종래의 위생기구모듈에 있어서 특정구역은 큰용적을 점유하기 때문에 모듈의 전체용적이 대형화된다. 특정구역은 용변기를 작동하는 각종기구 및 어쩌면 청소장치와 함께 청소 및 건조부재로 구성된다.
모듈의 전체용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는 특정구역의 용적을 삭감할 필요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거조장치의 배수기구의 전체크기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종래의 위생기구 모듈의 용변기는 중앙 수평측 주위를 선회하나 그 하단부는 청소작동중 사용자구역에 남게되므로 청소가 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위생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는 용변기 하단부도 청소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한 위생기구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위생기구모듈은 틸팅백을 구성하고 2개위치 즉 상기 틸딩백이 벽체기구에 정치되는 사용위치와 틸팅백이 벽체개구상부의 평면의 용변기상부에 수직정치되는 청소위치를 이동하게 하며, 상기 틸팅백이 사용위치에서 청소위치로 이동할 때 수평축 주위를 선회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용변기와 틸팅백은 동시에 청소 및 건조될수가 있다. 또한 틸팅백은 용변기를 청소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개구를 덮을 수가 있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틸팅백은 사용위치로 부터 이의 절반높이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중앙수평면에 위치한 수평축주위를 틸팅백후측으로 제1차 회전하므로서 상기 틸팅백하단이 용변기가 사용위치에서 청소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용변기선단 군처에 정지되고 상기 틸팅백이 대략 수평이 되는 중간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중간위치에서 틸팅백의 하단부근의 수평축 주위를 제2차 회전하여 청소위치에 도달하게 되도록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팔이나 물체나 특정구역내에 끼게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비정상적부하에 응답하여 동작기구를 정지시키는 안정장치를 청소위치로 이동중 용변기의 상단과 틸팅백간의 갭으로 무엇인가 삽입되는 상황에 대비한 보호책으로 설치한다.
다음은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상기 위생기구모듈의 단면도이다. 이는 가령, 외경이 1.5m의 원형단면의 밀폐실(1)에 내장된다. 전체규격이 소형이므로 제1도에 표시한 위생기구유닛을 예를 들면 모리스기둥과 같은 소형구조물내에 통합될 수 있다. 위생기구유닛의 높이는 표준규격의 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2m로 하여 공간건물이나 열처역같은 반공건건물에 내장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발명에 의한 위생기구모듈은 야외 예를 들면 보도상에 분명히 설치할 수 있다. 밀폐실(1)는 벽체(5)에 의하여 특정구역(4)과 분리된 사용자구역(3)으로 통하는 슬라이딩형 출입문(2)으로 구성된다. 용변기는 6으로 도시되고 특히 출입문(2)때문에 상용자에게 충분한 공간이상으로 되어 있다.
제2도는 이발명에 의한 모듈의 작동부분을 개략표시한 것으로, 이 도면에서 벽체(5), 특정구역(4) 및 용변기(6)을 표시하고 있다.
벽체(5)의 상부는 사용자구역의 내부쪽으로 여는 플랩(8)이 구성되고 여기에는 자동수세기(9)와 같은 가종 부수장치를 부착한다. 벽체(5)의 하부(12)는 중앙개구를 구성하고 이 개구는 용변기(6)과 이용변기 상방에 배치되고 용변기와 겹치는 사용위치에서 기술구역(4)내의 세척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틸팅백(제2도에서는 도시생략)을 수용한다.
벽체(5)의 하부패널(12)에도 용변기 각 측면상에 휴지거리(14) 및 휴지통(15)이 구성되어 있다. 3도는 이 발명에 의한 위생기구모듈의 자동부재 즉 청소위치에 있어서 용변기(6) 및 틸팅벡(16)에 대한 개략표시도이다.이들은 벽체(5)의 하부패널(12)후부 특정구역(4)내의 청소구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용변기(6)의 상부개구(17) 및 틸팅백(16)은 동일하게 수직평면에 있게 되며, 2개의 청소장치(18) 및 (19)는 위생기구모듈의 후벽에 고착되며 각 청소장치(18)(19)는 틸팅백(16)의 전면으로 혹은 용변기(6)저부의 전며능로 분사하는 스프레이세트를 구성하고 각 스프레이세트는 정반대로 대향하는 암(arm)이 구성되어 이 각 암의 종단에 추진노즐(20)을 부착하였으며 이 암은 각각 중앙축(21)(22)주위를 회전한다.
각 청소장치는 그 허브(hub)에 1개이상의 분사노즐 즉 예시한바와 같이 중앙노즐(11) 및 측면노즐(13)이 설치된다. 그리고 2개의 보조노즐(24)이 청소구역내 용변기 양측에 설치되어 용변기의 하부를 청소한다. 청소동작중 2개의 장치(18) 및 (19)와 조즐(24)은 틸팅백의 작동부분과 용변기(6)의 양면에 분사한다.
이와 같은 청소장치에는 가압된 물이 공급된다. 청소동작중에는 2개장치(18) 및 (19)는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에 사용되는 청소장치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측(21) 및 (22)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이들은 추진노즐(20)에 공급되는 수압에 의하여 회전한다. 제3도는 또한 특정구역(4)내 청소구역에 설치된 수평축(25)주위를 용변기(6)가 회전하겠금 설치된 걱을 표시하고 있다.
틸팅백(16)은 후술하는 2중회전운동을 수행하여 틸팅백의 작동면을 청소장치(18)에 대향시키게하고 사용위치에서 청소위치로 이동 중 특정구역(4)내로의 물체삽입을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청소장치(18) 및 (19)와 모듈의 작동요소 즉 청소위치에 있는 용변기(6) 및 틸팅백(16)사이에는 후술하는 건조장치를 수직공간(26)이 남게 된다.
제4도는 사용위치에서 청소위치로 이동중 용변기(6)의 상면개구(17) 및 틸팅백(16)의 각 동작의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변기(6)의 상면개구(17)는 고정축(25)주위를 회전하며 사용위치(17')에서 청소위치(17)로 이동하는 연속위치를 제4도에 간소한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사용위치(16')와 중간위치(16) 그리고 상기 2개위치(16')(16)간의 여러가지 위치에서의 틸팅백(16)을 용변기상단(17)위치와 연관시킨 그 틸팅백의 하단(10)으로 개략 표시하고 있다.
이 개구(17)와 틸팅백(16)의 하단(10)의 일련의 각 연속위치에서 이들 2개부재간 간격은 매우 근소하게 예를 들면 5mm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청소위치로의 용변기(6)와 틸팅백(16)의 제1단계 회전중에 있어서는 틸팅백과 용변기간 좁은 간극으로 인하여 청소구역으로 물체가 삽입될 가능성은 전혀없다.
이 특징은 안전장치(도시생략) 예를들면 어떠한 비정상적부하에 응답하여이기구를 구동하는 모터를 정지시켜 사용후 모듈내에 잔류하고 있을지도 모를 사용자에게 부상을 예방하게하는 전기장치에 의하여 모완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출입문 개폐후 고의적으로 모듈내에 잔류하였을 때 폐문으로 자동적으로 청소처리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제4도에 명시한 바와 같이 이 제1단계 회전기간중 틸팅백(16)이 사용위치(16')에서 중간위치(16)로 이동한다. 이때 틸팅백의 절반높이만큼 떨어져있는 사용위치(16')에서의 틸팅백의 중앙수평면에 있는 수평축 주위를 회전하여서 수평면이 된다.
제5도내지 제7도는 틸팅백(16)을 작동하는 장치의 상세도이다. 이발명에 의한 모듈의 가동부분의 보은동작은 단일모터기어복스 유닛에 의하여 구동된다. 사용위치에서 청소위치로 이동 및 청소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복귀이동은 각각 확동캠의 수단에 의하여 동작을 하는 전기모터기어복스유닛의 1/2회전으로 구동되며 이는 홈붙이 캠상을 관련부재에 결합된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각 구동기구는 고착점에서 선회하고 홈붙이캠과 협동하는 롤러를 지니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관절로 연결되는 링크로 구성된다. 5도내지 제7도는 틸팅백(16)에 대한 이와같은 종류의 기계구동장치를 표시한다. 이들 도면에 단일구동모터(도시생략)에 결합된 디스크(27)가 표시되고 이 디스크(27)에는 고착된 수평축(31)주위를 회전하고 링크(32)0에 그일단이 관절로 연결된 레버(29)에 의하여 이동되는 롤러(28)에 대한 안내홈(30)이 형성되어 있다. 틸팅백(16)의 완전동작은 2단계의 연속회전으로 구분되며 그러므로 홈붙이 디스크와 레버 및 링크로 각각 구성되는 틸팅백(16)용 2개구동 장치가 있다.
2개 기구는 제5도 및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단계 회전중에는 일치상태를 유지하므로 2개레버(29) 및 (29') 및 2개링크(32) 및 (32')는 두께를 상이하게 표시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게 하였다. 2개의 안내홈도 당연히 제1단계회전중 동일하게 배치된다. 제1링크(32)의 종단은 제1단계회전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고착수평축(40)관절로 연결되는 L형 부재(33)에 관절로 연결된다.
이 L형부재(33)는 또한 틸팅백(16)의 이면(35)에 접착된 러그(lug)에 관절로 연결된다. 또한 서로 관절로 연결된 2개링크(36) 및 (37)의 일단이 러그(34)에 관절로 연결되고 링크(37)의 자유단이 고착수평회전축(40)에 또한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단계 회전중 홈(30) 및 (30')는 동일통로를 따르며 결과적으로 레버(29) 및 (29')는 링크(32) 및 (32')와 마찬가지로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 결과 L형부재(33) 및 2개 링크(36) 및 (37)은 변형되지 않는다. L형부지(33)과 링크(36) 및 (37)을 통하여 링크(32) 및 (32')가 디스크(27)쪽으로 규칙적으로 동작하여 고착수평축(40) 주위를 틸팅백(16)이 회전하며 그 절반높이와 같은 위치에서 틸팅백(16)의 중앙수평면을 대략 이루게 한다.
이 제1단계회전이 종료되면은 틸팅백(16)은 제6도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며 이는 축(40)주위를 1/4회 회전후 대략 수평이 되고 틸팅백(16)의 이면(35)는 하방을 향하게 되므로 대향하는 작동면은 상향이 된다. 틸팅백(16)의 하단(10)은 도면에서 우측에 있으며 이는 사용자구역을 기술구역(4)내 청소구역과 분리하는 벽체(5)근처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 제1단계회전은 제4도에서의 설명과 합치된다. 제2단계회전은 러그(34)에 L형부재(33)을 관절로 연결하는 축(38)주위에 발생한다.
레버(29)의 안내홈(30)/링크(32)장치는 일정장소에 고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레버(29')의 가동단이 상승하면은 링크(32')를 상향구동하여 2개링크(36) 및 (37)을 상향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링크(37)는 더이상 L형부재(33)의 종단과 일치하지 않으며 이들 각종동작은 이 제2단계회전을 통하여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는 측(38)의 주위를 회전하여 틸팅백(16)을 중간위치(16)에서 청소위치(16')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2단계 회전이 완료되면은 틸팅백(16)의 정면은 청소장치(18)와 대향하게 된다. 용변기(6)의 회전도 또한 레버(29) 및 링크(32)에 대하여 동일방법으로 설치된 레버 및 링크를 동작시키는 홈붙이 디스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제8도 내지 제10a도는 제3도의 구역(26)에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건조장치를 표시한다.
이 건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수질설치된 평노즐(41)에 의하여 구성되고 기술구역(4)내 청소구역의 상부에 설치된 전기구동압축기(도시생략)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며 이 공기는 제9도에 명시한바와 같이 노즐(41)을 통하여 횡단면의 가로송풍구(42)에 의하여 측방으로 공급된다.
송풍기노즐(41)은 수직가이드(45)에 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도시생략)에 결합된 축(49)에 고착된 체인기어(48)와 협동하고 (47)에서 노즐(41)에 고정된 체인(46)00에 의하여 구동된다. 송풍기 노즐은 구역(26)을 하강하면서 틸팅백(16)과 용변기 (6)에 공기 송풍하여 건조시킨다.
송풍기노즐(41)의 수직이동동작은 장거리(이 발명의 한실시예에서는 75cm)를 담당하기 때문에 압축기와 노즐간의 송풍관은 가변길이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발명의 한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광폭의 관을 하단으로 하여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0.1mm의 소폭차로 서로 순차맞춘 4개의 텔리스코픽관에 의하여 달성하였다.
제10도 및 제10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한 관의 안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각관은 외면상에 2개의 대항하는 홈(55)을 형성하고 각관 내면에서 돌출된 핀(56)이 접동하게 한다.
각종관은 형편좋게 직사각단면으로 예를들면 평균하여 15×75mm이다. 이관은 몰딩에 의하여 제작가능하며 홈(55)은 한측면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분의 모든 동작은 모터-기어복스유닛에 의하여 수행한다. 사용위치에서 청소위치로의 이동 혹은 이와 반대이동은 각각 모터-기어복스유닛의 1/2의 회전에 해당된다. 결과적으로 청소와 사용위치로 복귀하는 한사이클은 모터의 1회전으로 완성되고 이 회전은 항상 동일방향이 된다. 용변기(6)는 블란서 특허출원번호 8605524(1986. 4,17)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에 기술된 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용변기의 상면개구는 사용 및 청소구역을 분활한 벽체에 평행으로 간막이하여 2개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간막이는 용변기바닥쪽으로 신장된다가 갑자기 멎어있다.
그 상면은 용변시트의 후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부분개구와 배설물부 개구를 설치하여 용변기가 청소위치에 있을 때 배구관과 연동되게 한다 이 구성은 용변시트를 좀더 종래형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거부감을 피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용변기는 제11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용변기형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용변기에 급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는 용변기가 사용위치로 복귀할 때 작동된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모듈에 들어갔을 때 완전히 종래형태의 용변기를 보게 된다.
이 종류의 급수장치는 제11도에 표시한다. 회전하는 파이프(71)내부에 설치된 고정파이프(70)와 용변기의 배설물부(72)의 개구부로 구성된다. 이 2개 파이프(70) 및, (71)은 용변기(6)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서로 일적선으로 되고 이들 깅이는 서로 짧게 설치된다.
파이프(70)은 파이프(71)의 내부단면보다 작게하고 용변기(6)에 급수시 손실을 방지한다. 가열엘리멘트를 용변기상부에 용변시트와 일체부분으로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이 가열엘리먼트에는 온도조절 더모스탯가 설치된다.
제12도는 용변기(6)을 동작하는 개략표시도이다. 이 기계장치는 틸팅백 이동장치와 동일한 디스크(27)에 의하여 조작된다. 이 디스크는 링크(85)의 일단에 관절로 연결되고 고착된 수평축(84)주위를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레버(83)에 의하여 이동되는 롤러(82)가 회전하는 안내홈(81)으로 구성된다.
링크(85)는 중앙수평축(87)주위에 관절로 연결된 레버(86)를 동작시키고 2개의 링크(92) 및 (93)을 동작시키는 고착수평축(91)주위에 관절로 연결된 피버팅(pivotting) 부재(89)를 작동하는 제2링크(88)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후자의 링크(93)은 용변기(6)에 고정되어 고착된 수평축(94) 주위를 선회한다. 이러한 기구는 보상장치(95)에 의하여 균형되어 있으므로서 용변기를 전후로 변위시키는 힘을 적게 소요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틸팅동작고장 예를 들면 용변기와 틸팅백(16)사이에 사용자의 신체부분이 삽입되거나 용변기내에 경량물체의 존재로 인한 틸팅동작을 예방하는 제1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 안전장치는 상하 틸팅동작에 소요되는 힘이 2-3kg보다 클때 동작하게 된다. 이 안전장치는 양쪽틸팅방향으로 동작하며 즉각 용변기 및 틸팅백의 틸팅동작을 정지시킨다. 이 발명은 사람의 손가락이 기구에 끼었을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약 2-3각도의 역동작을 제공하여 이 역동작은 중단된 동작에서 2차 동작하고 그래도 동작장애가 있으면 완전정지시키고 중앙감시장치로 경보를 송출한다.
제12도에서 이 안전장치는 압축으로 동작하는 방법으로 링크와 일체화로 형성된 피스톤-실린더 댐퍼에 의하여 각틸팅방향에 대하여 구성되고 이 압축은 안전전기회로의 마이크로스위치롤 폐로시킨다.
청소위치로의 동작을 위하여 이 종류의 댐퍼(96)는 링크(85)와 일체로 구성되고 마이크로스위치(97)와 접속되어 있다. 사용위치로의 복귀동작을 위하여 이 안전장치는 링크(88)와 일체로 구성된 택퍼(98)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는 마이크로스위치(9)와 접속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제2안전장치는 용변기내에 큰물체의 존재로 예를 들면 청소위치로의 틸팅동작중 용변기 와틸팅백사이에 장애가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는 제12도에 표시되었으며 이 안전장치는 틸팅백(16)을 구동하는 축(103)주위를 가동하는빔(102)과 틸팅백(16)사이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101)에의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제3안전장치는 예를 들면 손이 틸팅백(16)상부와 벽체(5) 사이에 끼었을 때 보호하기위하여 설치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수평축(105) 주위를 회전할 수 있게설치된 볼트(vault : 104)가 설치되고 이종단은 틸팅백(16)이 사용위치에 있을 때 그상면과 거의 접촉하게 된다. 볼트(104)에 접속된 마이크로스위치(106)은 벽체(5)와 틸팅백(16)사이에 어떤 물체가 끼었을 때의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어떠한 경우도 이 위생기구 모듈의 실용화에 있어서 모든 가동부분과 고정부분사이의 간극은 5mm이하로 되어 있다.
끝으로 용변기(6)주위 마루부분에 결합된 2개의 동작치(예 4kg 및 25kg)를 가진 공지의 중량센서를 설치하고 이 최종안전장치는 용변기상에 (2kg부터)사람이 좌정한 것을 감지하여 청소위치로의 틸팅처리과정의 시작을 금지하게 된다.
이 발명은 특히 전체규격이 소형화되고 사용자를 위한 틸팅백과 종래의 형상을 갖춘 위생기구 모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이 위생기구모듈은 특히 청소구역내 신체의 일부분 혹은 물체가 삽입되는 가능성에 대하여 고도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2)

  1. 밀폐실과, 이밀폐실을 사용자영역과 특정영역으로 구분하는 벽체(wall)와, 이벽체의 개구(opening)와, 상기 벽체를 끼고 설치되고 상기 벽체에 대하여 평행인 축을 중심으로하여 수평으로되는 사용위치와 상기 개구에서 수직으로 되어 상기 특정구역을 대향하는 청소위치사이를 회전하도록 하는 상면개구의 용변기(open-top toilet pan)와, 상기 특정구역내의 청소장치와, 상기 개구를 덮고 있는 사용위치와 상기 용변기 상방에서 수직으로 되어 있어 상기 용변기가 상기 청소에 있을 때 상기 용변기의 상면개구와 동일면을 이루고 있는 청소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틸팅백을 구성하며, 상기 틸팅백은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청소위치로 이동할 때,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백은 관절로 연결되어 사용위치에서의 상기 틸팅백의 중앙평면이 그 절반 높이정도로 떨어졌을 대 사용위치로 부터 그후방으로 수평축을 중심으로하는 1차회전을 하므로서 틸팅백의 하단이 상기 용변기가 사용 위치에서 수평으로 되는 중간위치가 되고, 상기 중간위치에서 그 하단부근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2차 회전을 하여 청소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기(pan)는 상기 벽에 이웃하여 있는 하부수평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청소위치에서 상기 벽체뒤로 위치하도록 구성함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모듈.
  4. 제1항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구역에서 하나의 압축공기공급장치(compressed air supply)와 수직병진운동을 하여 이동공기격막(moving air curtain)을 생산하도록 하는 평노즐(flat mozzle)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모듈.
  5. 제1항내지 제4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는 상기 모듈의 모든 변위기구와 각각의 링크(linkages)를 구동하는 단일모터-기어박스유닛(single moror gearbox unit)를 더 구성시킴으로써 상기 모터-기어박스유닛은 상기 기구를 구동시키며 각각은 요홈캠 도스크(grooved cam disk)와, 고정축을 중심으로 관절운동을 하는 레버와, 상기 캠디스크와 협동하는 상기 레버상의 롤러와, 상기 레버에 의해 구동하는 (link)를 구성하며, 상기 모터-기어박스유닛은 각 사이클마다 반회전을 하는 상기 변위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모듈.
  6. 제1항내지 제5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기는 그 상면개구를 두섹션으로 누어 전방향으로 형성되어있으나 그 저면으로까지 형성되지 않는 상기 벽체에 거의 평행한 칸막이(partition)와, 상기 용변기의 후부(posterior part)에 형성되는 상기 칸막이의 상부면을 구성하며, 상기 두섹션중 하나는 상기 용변기가 배출관(drain)과 연통되는 청소위치에 있을 때 적용되는 배설물섹션(evacuation section)이며, 상기 모듈에는 상기 용변기의 사용위치로 되돌아올 때 작동되도록 상기 용변기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는 상기 평노즐에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를 접속하는 텔리스 코픽 에어 덕트(tele scopic air duct)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느 상기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는 상기 모듈의 모든 변위기구와 각 링크를 구동하는 단일-기어박스유닛을 더구성시켜 상기 모터-기어박스유닛이 상기기구를 구동하며, 각각은 요홈캠디스크, 고정축을 중심으로하여 관절운동을 하는 레버, 상기 캠디스크와 협동하는 상기 레버상의 롤러 및 상기 레버에 의해 구동하는 링크를 구성하며, 상기 모터-기어박스유닛은 각 사이클마다 반회전을 하는 상기 변위전체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작동되며, 상기 틸팅백이 상기 1차회전시에는 동일한 통로에 따라 상기 2차 회전시에는 상위한 통로에 따라 상기 캠디스크가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링크2개에 의해 변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모듈.
  9. 제1항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용변시이트(toilet seat)를 형성하도록 하는 상기 용변기의 상부부분에 가열장치를 결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는 상기 용변기를 변위하는 카운터밸런스수단(counter balance means)과 비상상태의 저항력에 응답하여 상기 용변기의 경사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안전장치(security devices)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소폭의 후퇴운동을 가한 다음 정지운동를 다시 개시(recommencement)함으로서 상기 경사운동 정지에 응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모듈.
  12. 제1항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는 하나의 센서(sensor)와, 사용위치에 있을때 상기 용변기의 상면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센서를 작동하도록 하는 자유단(free end)을 가진 가동부재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모듈.
KR1019890011264A 1988-08-08 1989-08-08 틸팅백(tilting back)이 결합된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 KR0131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10686 1988-08-08
FR8810686A FR2635131B1 (fr) 1988-08-08 1988-08-08 Module sanitaire a nettoyage automatique comportant un dossier mobile par basculement
FR???8810686 1988-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490A KR900003490A (ko) 1990-03-26
KR0131874B1 true KR0131874B1 (ko) 1998-04-18

Family

ID=936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264A KR0131874B1 (ko) 1988-08-08 1989-08-08 틸팅백(tilting back)이 결합된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090069A (ko)
EP (1) EP0356292B1 (ko)
JP (1) JP2953709B2 (ko)
KR (1) KR0131874B1 (ko)
AT (1) ATE70580T1 (ko)
CA (1) CA1335029C (ko)
DE (1) DE68900572D1 (ko)
DK (1) DK168403B1 (ko)
ES (1) ES2028458T3 (ko)
FI (1) FI87596C (ko)
FR (1) FR2635131B1 (ko)
GR (1) GR3003704T3 (ko)
IE (1) IE62135B1 (ko)
NO (1) NO171228C (ko)
PT (1) PT91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4351C2 (de) * 1995-02-10 1996-12-05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r Substratfixierung von elektronischen Bauelementen
JP2835027B2 (ja) * 1995-11-30 1998-12-14 ケンジ カワノ 収納式水洗便所装置
ATE313047T1 (de) * 2001-10-17 2005-12-15 Zeglinski Andre Schiebetüreinrichtung
ITBO20020046A1 (it) * 2002-01-30 2003-07-30 Linea Citta S R L Dispositivo a servizio igienico automatizzato
US6553582B1 (en) * 2002-01-31 2003-04-29 Moses Clark Adjustable toilet bowl system
DE10331742A1 (de) * 2003-07-11 2005-02-10 Robert Falk Tür mit integriertem Identifizierungssystem in der Luftschleiereinrichtung
FR2877362B1 (fr) 2004-10-28 2007-02-23 Jcdecaux Sa Module sanitaire a nettoyage automatique comportant une cuvette et un dossier mobiles par basculement
WO2007111701A2 (en) * 2005-11-11 2007-10-04 Thnk Inc. Adjustable toilet lift
US7269863B1 (en) * 2006-03-17 2007-09-18 Blevins William J Automatic self-cleaning toilet
CN101532308B (zh) * 2008-03-10 2013-06-05 吴旭榕 一种移动厕所
ES2375031B1 (es) * 2009-04-02 2013-01-04 Francisco Javier LOSTAL GRASA Sistema automático para la limpieza de inodoros.
CN101906802B (zh) * 2010-05-21 2013-03-13 李梓萌 全封闭喷雾冲刷折叠式超节水型坐便器
US9644358B2 (en) 2013-03-04 2017-05-09 Prince Demond Qualls Method of automatically cleaning a toilet bowl
US10894103B2 (en) 2014-11-06 2021-01-19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Ultraviolet-based bathroom surface sanitization
US10369239B2 (en) 2014-11-06 2019-08-06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Ultraviolet-based bathroom surface sanitization
JP6480580B2 (ja) 2014-11-06 2019-03-13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紫外線ベースのバスルーム表面衛生処理
FR3042517B1 (fr) * 2015-10-16 2017-11-03 Philippe Marleix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ensemble sanitaire comprenant une cuvette de wc rabattable et encastrable
EP3631101A4 (en) * 2017-05-30 2021-03-10 Ergoo Klozet Sistem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RETRACTABLE TOILET SYSTEM
FI20227011A1 (en) 2022-01-25 2023-07-26 High Gienic Oy Automatic public toilet
WO2024023792A1 (pt) * 2022-07-28 2024-02-01 Exotictarget - Lda Bacia de sanita retráctil com autolimpeza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2546A (en) * 1946-09-14 1951-05-15 Fergusson David Henry Prefabricated bathroom unit
US4174546A (en) * 1976-11-27 1979-11-20 Toshiro Ohtake Construction for a water closet
FR2415173A1 (fr) * 1977-12-02 1979-08-17 Decaux Paris J C Bloc sanitaire
FR2471453A2 (fr) * 1979-12-14 1981-06-19 Decaux Jean Claude Bloc sanitaire
FR2499124A1 (fr) * 1981-02-05 1982-08-06 Sato Associes Unite sanitaire comportant des moyens de nettoyage
US4642821A (en) * 1982-06-28 1987-02-17 I.C.A. S.P.A. Industria Componenti Per L'architettura Self-cleaning sanitary apparatus
EP0109469B1 (fr) * 1982-11-18 1986-07-23 Jean-Claude Decaux Bloc sanitaire
FR2597524B1 (fr) * 1986-04-17 1988-07-29 Decaux Jean Claude Module sanitaire a nettoyage automa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93171L (no) 1990-02-09
FR2635131A1 (fr) 1990-02-09
KR900003490A (ko) 1990-03-26
US5090069A (en) 1992-02-25
FI87596B (fi) 1992-10-15
IE892497L (en) 1990-02-08
DE68900572D1 (de) 1992-01-30
NO171228C (no) 1993-02-10
DK168403B1 (da) 1994-03-21
FI87596C (fi) 1993-01-25
DK385689D0 (da) 1989-08-07
JPH02153134A (ja) 1990-06-12
ATE70580T1 (de) 1992-01-15
PT91395B (pt) 1995-08-09
GR3003704T3 (ko) 1993-03-16
EP0356292A1 (fr) 1990-02-28
CA1335029C (en) 1995-04-04
EP0356292B1 (fr) 1991-12-18
IE62135B1 (en) 1994-12-14
JP2953709B2 (ja) 1999-09-27
ES2028458T3 (es) 1992-07-01
NO893171D0 (no) 1989-08-07
FI893689A0 (fi) 1989-08-03
NO171228B (no) 1992-11-02
PT91395A (pt) 1990-03-08
DK385689A (da) 1990-02-09
FI893689A (fi) 1990-02-09
FR2635131B1 (fr) 199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874B1 (ko) 틸팅백(tilting back)이 결합된 자동청소식 위생기구모듈
CA1291295C (en) Sanitary unit
US5647074A (en) Public toilet facility
TWI525243B (zh) 自動門
US20140311173A1 (en) Refrigeration cabinet
ITBO20070467A1 (it) Bagno pubblico autopulente e relative apparecchiature di sicurezza
US11008745B2 (en) Automated toilet cleaning assembly and shower assembly
US4642821A (en) Self-cleaning sanitary apparatus
JP4394705B2 (ja) 高さ調整可能な男子用トイレ
US5628075A (en) Portable vertically adjustable lavatory assembly
EP0509503B1 (en) A toilet hygiene unit with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ITMI940027A1 (it) Disposizione e procedimento per pulire automaticamente un apparecchio sanitario
JP2002372275A (ja) レンジフード
JP2553631B2 (ja) 小便器の床清掃装置
KR102432179B1 (ko) 스마트 관리형 신발매트 관리장치
IT9082622A1 (it) Struttura di porta automatica ad aperture differenziate
RU209315U1 (ru) Блок выдвижения для сиденья унитаза
CN218972736U (zh) 一种吸油烟机
ITRM970589A1 (it) Bagno ad uso pubblico con struttura autoportante ed apparato di pulizia automatica, di diagnostica guasti e di memorizzazione
JP2571412Y2 (ja) シャッター装置
CN117967179A (zh) 一种智能感应门帘
CN114766986A (zh) 一种厕所的房间
IE60414B1 (en) Sanitary unit with automatic cleaning
AU720257B1 (en) A space saving combination shower and bath assembly
CN113445880A (zh) 一种atm安防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