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699Y1 -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699Y1
KR0131699Y1 KR2019940029409U KR19940029409U KR0131699Y1 KR 0131699 Y1 KR0131699 Y1 KR 0131699Y1 KR 2019940029409 U KR2019940029409 U KR 2019940029409U KR 19940029409 U KR19940029409 U KR 19940029409U KR 0131699 Y1 KR0131699 Y1 KR 0131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telephone
car
holder
ca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152U (ko
Inventor
서광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9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699Y1/ko
Publication of KR960017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이를 탑승자에게 통보하는 벨장치 및 표시등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80)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10)가 온(ON)되었을 때 자화되어 자석의 기능을 수행하며 바닥면에 '凹'자 모양의 홈이 형성된 기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화기의 기저부가 안착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카폰홀더가 콘솔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카폰홀더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전화기의 기저부에 형성된 '凹'자 모양의 홈에 끼워지는 '凸'자 모양의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화기를 콘솔의 카폰홀더에 수납함으로써 탑승자가 전화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탈착 또한 용이하므로 이를 채용한 제품 즉,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더 한층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전화기의 작동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 20 : 벨장치
30 : 기저부 40 : 안테나
50 : 카폰홀더 60 : 지지대
70 : 콘솔 80 : 전화기
90 : 표시등 120 : 전원부
130 : 파워트랜지스터 140 : 전자석 작동
150 : 전화기 분리 및 사용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솔(console)의 상부에 자동차용 전화기를 수납시킬 수 있는 카폰홀더가 부착된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내에는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한 장치중의 하나가 자동차용 전화기를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이다.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는 자동차의 앞좌석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는 뒷좌석에 마땅히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뒷좌석의 탑승자는 자동차용 전화기를 보관할 수 있지 않아 카폰홀더에 수납된 자동차용 전화기를 사용할 때 운전자나 보조운전석에 착좌한 사람을 통하여 인수인계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겪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는 전화기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아 고속운행중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는 카폰 홀더가 출고시 제작되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용 전화기를 사용할 때 별도의 카폰홀더를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감수해야만 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승객이 용이하게 휴대용 전화기를 탈착할 수 있는 카폰홀더를 콘솔에 마련한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화기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이를 탑승자에게 통보하는 벨장치 및 표시등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가 온(ON)되었을 때 자화되어 자석의 기능을 수행하여 바닥면에 '凹'자 모양의 홈이 형성된 기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화기의 기저부가 안착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카폰홀더가 콘솔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카폰홀더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전화기의 기저부에 형성된 '凹'자 모양의 홈에 끼워지는 '凸'자 모양의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전화기의 기저부가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폰홀더의 영구자석과 동일한 극일때는 척력이 발생하여 이탈이 용이하게 되고 상반된 극일때는 인력이 발생하여 이탈이 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콘솔의 상부에 소정의 크기의 카폰홀더를 장착하여 자동차용 전화기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탑승자의 편리를 도모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콘솔에 장착된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는 전화기(80)와 콘솔(70)을 구비한다.
상기 전화기(80)는 통상적인 휴대용 전화기로 스위치(10), 벨장치(20), 기저부(30), 안테나(40) 및 표시등(90)을 구비한다.
스위치(10)는 상기 전화기(8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충전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화기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벨장치(20) 및 표시등(90)은 외부로부터 상기 전화기(80)로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이를 탑승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한다.
기저부(30)는 자성이 강한 물질로 형성된 전자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10)가 온(on)되었을 때 자화되어 자석의 기능을 수행하고 바닥면은 '凹'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안테나(40)는 송수신 감도에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으며 전파를 송수신하기가 용이한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콘솔(70)의 상면 일측에는 전화기(80)가 안착되는 카폰홀더(50)와 지지대(60)가 마련된다.
카폰홀더(50)는 전화기(80)의 기저부(3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고 이 홈의 표면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기저부(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화되었을 때 나타나는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갖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있다.
지지대(60)는 카폰홀더(50)의 상면 중심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기(80)의 기저부(30)에 형성된 '凹'자홈에 끼워지는 '凸'자 모양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주행중 충격에 의한 전화기(80)의 유동을 최소화 하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화기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먼저, 외부로부터 전화기(80)에 신호가 가해지면 안테나(4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벨장치(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표시등(90)을 작동시켜 점등되게 한다.
이어서, 탑승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전화기(80)의 스위치(10)를 온(ON)으로 작동시키면, 전화기 회로의 스위치(110)가 온(ON)되어 전원부(120)의 전원이 전력트랜지스터(130)의 에미터 단자로 입력된다. 이때, 전력트랜지스터(130)는 인가된 전원을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기저부(30)가 자화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전원으로 증폭하여 컬렉터단자를 통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기저부(30)는 전력트랜지스터(130)로부터 증폭된 전원에 자화되어 카폰홀더(50)가 지닌 자극과 같은 극성을 지니게 되어 콘솔(70)의 카폰홀더(50)에 안착된 전화기(80)의 이탈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또한, 카폰홀더(50)에 전화기(80)가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사이 전화기(80)에 내장되어 있는 충전지(도시되지 않음)에 일정한 전압이 항시 공급되어 충전된다.
따라서, 카폰홀더(50)에 전화기(80)를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전화기(80)의 기저부(30)는 상기 카폰홀더(50)를 통하여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별도의 전원공급을 위한 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카폰홀더(50)에 전화기(8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기저부(30)의 극성이 카폰홀더(50)의 극성과 상반된 극성을 띠게 되어 이들간의 인력에 의해서 전화기(80)가 카폰홀더(5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안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는 전화기를 콘솔의 카폰홀더에 안착시킴으로써 탑승자가 전화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화기의 안착상태가 견고할 뿐만아니라 전화기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제품 즉,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더 한층 충족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전화기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이를 탑승자에게 통보하는 벨장치 및 표시등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80)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10)가 온(ON)되었을 때 자화되어 자석의 기능을 수행하며 바닥면에 '凹'자 모양의 홈이 형성된 기저부(30)가 마련되고, 상기 전화기(80)의 기저부(30)가 안착되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카폰홀더(50)가 콘솔(7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카폰홀더(5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전화기(80)의 기저부에 형성된 '凹'자 모양의 홈에 끼워지는 '凸'자 모양의 지지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KR2019940029409U 1994-11-07 1994-11-07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KR0131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409U KR0131699Y1 (ko) 1994-11-07 1994-11-07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409U KR0131699Y1 (ko) 1994-11-07 1994-11-07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52U KR960017152U (ko) 1996-06-17
KR0131699Y1 true KR0131699Y1 (ko) 1998-12-15

Family

ID=1939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409U KR0131699Y1 (ko) 1994-11-07 1994-11-07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6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56U (ko) * 2016-04-26 2016-06-08 서휘석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56U (ko) * 2016-04-26 2016-06-08 서휘석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52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4782B2 (ja) 鏡面を含む無線周波数通信装置
US6983170B2 (en) Mobile cellular telephone
JP3003456U (ja) 自動車用電波受信器
US7068783B2 (en) Telephone set with a handset having a mouthpiece and/or an earpiece
US6396925B1 (en) Cellular phone holding device
ITAN960024A1 (it) Supporto magnetico universale per sostenere un telefono cellulare
JPH09200073A (ja) 携帯用無線通信端末機器の架台装置
JP5110196B1 (ja) 車載用電子装置
KR0131699Y1 (ko) 자동차용 휴대전화기 장치
KR100999532B1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거치대
EP0454297A2 (en) Holder for a portable telephone
US20020094079A1 (en) Cellular phone receptacle
KR900006270Y1 (ko) 자동차용 전화기가 설치된 핸들
DE9010298U1 (ko)
WO2002085672A1 (en) A fixed cellular phone holder device for vehicles, with a universal support
JP2795264B2 (ja) 電話装置
CN2563859Y (zh) 设于汽车上的行动电话免持听筒装置
JP2930048B2 (ja) ハンドフリー電話装置
JPH08324354A (ja) 自動車における携帯電話等の把持装置
KR0120882Y1 (ko) 핸드폰을 장탈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컨솔 박스
GB2253782A (en) Telephonic communication unit
KR0131772Y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내에 형성되는 배터리 홀더
CN216684347U (zh) 一种智能型车载音响系统
JPH0595394A (ja)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用車載ホルダー
JPH0549512U (ja) 携帯電話機の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