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509Y1 -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 Google Patents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509Y1
KR0131509Y1 KR2019960006396U KR19960006396U KR0131509Y1 KR 0131509 Y1 KR0131509 Y1 KR 0131509Y1 KR 2019960006396 U KR2019960006396 U KR 2019960006396U KR 19960006396 U KR19960006396 U KR 19960006396U KR 0131509 Y1 KR0131509 Y1 KR 013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zzer
discharge hole
gas separator
fluid
flow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648U (ko
Inventor
이규홍
Original Assignee
이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홍 filed Critical 이규홍
Priority to KR2019960006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509Y1/ko
Publication of KR970055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6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8Air or gas separators in combination with liquid meters; Liquid separators in combination with gas-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계에서 계량기로 유입되는 유체에 혼입된 기체를 분리하는 기체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체분리기 몸체상단내주부에 배출장공을 형성하고, 이 장공과 밀착되는 탄성박판의 밀착판을 장공하부의 몸체내벽에 고정하여 부저의 하강에 따라 찢어지듯이 장공이 조금씩 확대개구되도록 하여 작은 힘에도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는 유량계의 기체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장공의 배출공을 밀폐하고 있는 밀착판이 일부위로부터 점차로 확대개방되므로 적은 힘에도 용이하게 개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작은 힘에도 배출공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부저의 크기를 줄여 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체분리기중 부력차단기의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체분리기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력차단기 11a∼11b : 밀착판
12 : 부저 13 : 고정쇠
20 : 몸체 21a∼21d : 배출공
30 : 여과망 40 : 고정편
I : 입구 O : 출구
본 고안은 유량계에서 계량기로 유입되는 유체에 혼입된 기체를 분리하는 기체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체분리기 몸체상단내주부에 배출장공을 형성하고, 이 장공과 밀착되는 탄성박판의 밀착판을 장공하부의 몸체내벽에 고정하여 부저의 하강에 따라 찢어지듯이 장공이 조금씩 확대 개구되도록 하여 작은 힘에도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는 유량계의 기체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계는 유체가 계랑되는 계량기와, 계량기로 유입되는 유체에 기체를 포함하지 않도록 전단계에서 제거하는 기체분리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유체를 계량하는 계량기가 대체로 용적식이므로 기체가 많은 용적을 차지하면 그 계략정밀도가 격감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체분리기는 대체로 유체에 부상되는 부저(진공의 공)와, 부저의 상하강에 따라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다. 기존에는 개폐부재가 기체분리기의 몸체상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밀폐하고 있다거 유량이 감소해 부저가 하강하면 일시에 배출공을 개방시켰다. 이로 인해, 배출공의 단면적과 내부압력에 따라 부저의 무게가 결정되고, 배출공이 크면 보다 무거운 부저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부저의 재질이 일정하므로 무게가 커지기 위해서는 큰 부피의 부저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렇게 부저의 부피가 커지면 당연히 기체분리기 자체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기체분리기 몸체상단내주부에 장공을 형성하고, 이 장공과 밀착되는 탄성박판의 밀착판을 장공하부의 몸체내벽에 고정하여 부저의 하강에 따라 찢어지듯이 장공이 조금씩 확대 개구되도록 한 유량계의 기체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의 기체분리기는 상기 유쳬가 유입되어 유동하며, 그 상단내부측벽에 부저의 상하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장공을 갖는 몸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에 유입된 유체의 부력에 의해 상하동되는 부저와, 상기 부저 상단부에 내측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배출장공에 밀착되어 그 외측단부가 상기 몸체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측벽고정부를 정점으로 상기 부저의 하강에 따라 상기 배출장공의 상부로부터 점차 확대개구되는 상기 배출장공과 동일갯수의 띠형 밀착판을 구비한 부력차단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체분리기중 부력차단기의 구조도로서, 제1(a)도는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제1(b)도는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부력차단기(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미도시한 배출공을 개폐하는 밀착판(11a∼d)과, 밀착판(11a∼d)의 하단부에 취부되어 밀착판(11a∼d)을 승하강케 하는 부저(12)로 구성되어 있다.
밀착판(11a∼d)은 박판의 강판띠로 터널의 측벽과 같이 ∩형상으로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고 4개가 부저(12)의 상단에 배열취부되어 있다. 부연 설명하면, 이 밀착판들(11a∼d)의 내측단부는 부저(12)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쇠(13)에 볼팅되어 있다. 그래서, 부저(12)의 상단부에 등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고정되어 있는 밀착판들(11a∼d)은 고정쇠(13)의축선을 중심으로 우산살처럼 퍼저있다. 한편, 밀착판들(11a∼d)의 외측단부는 배출공이 형성된 기체분리기몸체(미도시)의 하단측벽에 고정된다. 특히, 이 밀착판들(11a∼d)은 탄성을 갖고 있어, 그에 매달린 하중에 따라 휘게 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제2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기체분리기의 조립도로서, 제2(a)도는 정면쪽에서 보아 나타낸 조립단면도이고, 제2(b)도는 평면에서 본 부분절취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분리기는 유체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2)와, 몸체(20)의 내부에 수용되어 몸체(20)내에 존재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기토록 통제하는 부력차단기(1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유량계에서는 본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차단기(10)가 유체입/출구(I,O)측에 하나씩 배설되어 있는 데, 양측의 구성 및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한쪽만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입구측에는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해서 원통형의 여과망(3)이 구비되어 있다. 이 여과망(3)은 유체입고(I)로부터 유체의 유동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된다. 여과망(30)의 상부에는 부력차단기(10)가 유체에 부상되어 있다. 이 부력차단기(10)는 유체의 부력에 의해 떠 있는 부저(12)와, 부저(12)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취부되어 있는 4개의 밀착판들(11a∼d)로 구성되어 있다. 밀착판들(11a∼d)은 내측단이 부저(12)의 고정쇠(13)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측단이 배출공(21a∼21d) 하단의 몸체내벽에 고정편(40)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저(12)가 하강하면 고정편(40)으로 고정된 외측단부를 기점으로 윗쪽부터 조금씩 벌어져 배출공(21a∼21d)이 확대개구되게 된다. 배출공(21a∼21d)들은 밀착판(11a∼11d)들의 몸체(20)내벽 밀착부위에 동일갯수로 밀착판(11a∼11d)들의 밀착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배출공(21a∼21d)들은 외부로 연통되어 있어,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제,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몸체(20)로 유입되어 여과망(30)을 통과한 유체는 몸체(20)내부공동에서 기체가 위쪽으로 올라가 유체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때, 내부공동에서 기체의 부피가 많이 차지하면 유체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부저(12)는 하강하게 된다. 부저(12)가 하강하면 부저(12)의 고정쇠(13)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취부된 ∩자띠형강의 밀착판들(11a∼11d)은 고정편(40)을 정점으로 탄성을 갖고 휘어지면서 배출공(21a∼21d)의 윗쪽부터 떨어지면서 점차고 확대 개구된다. 이때, 몸체(20)측벽에 밀착되어 배출공(21a∼21d)을 밀폐하고 있는 밀착판(11a∼11d)들이 일단 일부분이 떨어져 배출공(21a∼21d)의 비소부분이 개구되면 몸체(20) 내외부압력이 동일화되어 작은힘(작은무게의 부저)으로도 쉽게 개구된다. 이와 같이 배출공(21a∼21d)이 개구되어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어느정도(기설정치) 배출되면 유체가 차면서 부저(12)가 상승하고 밀착판(11a∼11d)들은 탄성을 갖고 원상태로 복귀하여 배출공(21a∼21d)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유체의 이동시 연속으로 수행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장공의 배출공을 밀폐하고 있는 밀착판이 일부위로부터 점차로 확대 개방되므로 적은 힘에도 용이하게 개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작은 힘에도 배출공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부저의 크기를 줄여 기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계량기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를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유입되어 유동하며, 그 상단내부측벽에 부저의 상하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배출장공을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유입된 유체의 부력에 의해 상하동되는 부저와, 상기 부저 상단부에 내측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배출장공에 밀착되어 그 외측단부가 상기 몸체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측벽고정부를 정점으로 상기 부저의 하강에 따라 상기 배출장공의 상부로부터 점차 확대개구되는 상기 배출장공과 동일갯수의 띠형 밀착판을 구비한 부력차단기를 포함하는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 및 배출장공은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4개씩 배열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파는 ∩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KR2019960006396U 1996-03-29 1996-03-29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KR0131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396U KR0131509Y1 (ko) 1996-03-29 1996-03-29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396U KR0131509Y1 (ko) 1996-03-29 1996-03-29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648U KR970055648U (ko) 1997-10-13
KR0131509Y1 true KR0131509Y1 (ko) 1999-05-01

Family

ID=1945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396U KR0131509Y1 (ko) 1996-03-29 1996-03-29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5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648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1806A (en) Gravitational separator for mixtures of immiscible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RU96108901A (ru) Спускной клапан
WO2000056664A8 (en) Multi-directional flow gravity separator
US5584993A (en) Settling unit with plate separator
US4684467A (en) Oil separator
KR0131509Y1 (ko) 유량계의 기체분리기
EP0481336A2 (en) Free float steam trap
EP2183042B1 (en) Liquid separator
US5384034A (en) Candle precoated filter for residual volume filtration
KR910005901A (ko) 저밀도의 유체에서 고체부분과 고밀도 유체부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
CN208694580U (zh) 一种用于空气压缩机的油气分离装置
CZ284499B6 (cs) Zařízení pro odlučování částic z tekutiny obsahující několik komponent
CN109260872B (zh) 液体分离器
KR20050100503A (ko) 유수분리기
JPH0425212Y2 (ko)
US3778977A (en) Gas instrument liquid separator
JP2928897B2 (ja) フロ―ト式スチ―ムトラップ
JPH09262405A (ja) 管路における気液分離器
JP2884296B2 (ja) フロ―ト弁
JP3476254B2 (ja) フロ―ト式トラップ
JPH1182885A (ja) フロ―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3878271B2 (ja) フロ―ト式ドレントラップ
CN86210238U (zh) 浮子连杆差动疏水阀
CA1109807A (en) Gravitational separator for mixtures of immiscible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JPS62443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