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34Y1 -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34Y1
KR0131434Y1 KR2019930031066U KR930031066U KR0131434Y1 KR 0131434 Y1 KR0131434 Y1 KR 0131434Y1 KR 2019930031066 U KR2019930031066 U KR 2019930031066U KR 930031066 U KR930031066 U KR 930031066U KR 0131434 Y1 KR0131434 Y1 KR 0131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pring
pallet
chute
spac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968U (ko
Inventor
정영태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30031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434Y1/ko
Publication of KR950016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8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간격 스프링 자동공급장치는 스프링 와이어를 간격스프링으로 성형하여 공급하는 코일링 헤드와, 상기 간격 스프링을 자중에 의해 하향 이송시키는 슈트와, 실린더가 설치된 파레트와, 파레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슈트에 공급된 간격 스프링을 1개씩 실린더에 공급해 주는 상·하부척유니트와, 상기 파레트 상의 실린더를 센터링해 주는 실린더 센터링 유니트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제1도(a)(b)는 본 고안의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의 코일링 헤드의 사시도.
제3도는(a)(b)는 본 고안의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의 상·하부척 유니트의 정면도, 측면도.
제 4 도는(a)(b)는 본 고안의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의 실린더 센터링 유니트의 평면도,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프링 코일장치 20 : 코일링헤드
30 : 슈트 40 : 상·하부척 유니트
50 : 실린터 센터링 유니트 60 : 파레트 위치결정 유니트
70 : 베이스 프레임
본 고안은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의 감김 횟수가 1회 정도로 성형하여 1개씩 이송, 삽입하도록 한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프링 성형기에서 성형된 스프링을 일정한 박스에 모아서 작업자가 한 개씩 핀셋등으로 실린더에 삽입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자가 핀셋을 이용하여 스프링을 실린더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스프링의 감긴 횟수가 1회 정도로 서로가 엉키는 정도가 심하여 1개씩 분리하여 삽입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작업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격스프링을 자동으로 이송 실린더에 삽입할 수 있는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는 스프링 와이어를 간격스프링으로 성형하여 공급하는코일링 헤드를 형성하고, 상기 간격스프링을 자중에 의해 하향 이송시키는 슈트를 형성하며, 실린더가 설치된 파레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슈트에 공급된 간격스프링을 1개씩 실린더에 공급해 주는 상·하부척 유니트를 형성하며, 상기 파레트상의 실린더를 센터링해 주는 실린더 센터링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a)(b)는 본 고안의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스프링 와이어를 공급하는 스프링 코일장치(10)와 상기 스프링 와이어를 간격스프링으로 성형하여 슈트(30)에 공급하는 코일링헤드(20)와, 슈트(30)에 공급된 간격스프링을 1개씩 실린더(57)에 공급 삽입하는 상·하부척유니트(40)와, 파레트(61)상의 실린더(57)를 센터링 해주는 실린더 센터링 유니트(50)와, 실린더(57)가 삽입된 파레트의 위치를 결정해 주는 파레트 위치 결정유니트(60)와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콘베이어(8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70)은 베이스 프레임이다.
코일링헤드(20)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스프링 와이어(a)가 감기는 중심축(1)과 스프링 와이어 가이드(2)와 감겨진 와이어를 전달하는 커터(3)와 성형된 간격스프링(b)을 슈트(30)에 불어주는 배출부(5)로 구성된다.
상·하부척 유니트(40)는 제 3 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30)에 공급된 간격스프링(8)을 지지하고 슈트(30)를 반복하여 클램프/언클램프하면서 실린더(57)와의 중심을 센터링 반복하여 클램프/언클램프하면서 실린더(57)와의 중심을 센터링하는 상부척(41), 하부척(42)과 간격스프링(b)의 유무를 확인하는 센서(4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센터링 유니트(50)는 제 4 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블록(51)을 전후진시키는 기준 실린더(53)와, 실린더(57)의 중심을 잡아주는 V블록(52)을 전후진 시키는 푸시 실린더(54)와, 실린더(57)의 유무를 확인하는 센세(5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프링 코일장치(10)에서 공급된 스프링 와이어(a)의 단부가 중심축(1)에 가지면서 슈트(30)의 일면을 따라 1회전 정도 감기면 커터(3)에 의해 절단되어 간격스프링(b)이 성형되어 배출기(5)에 의해 슈트(30)를 따라 상부측(41)의 상판에 공급된다.
센서(43)에 의해 간격스프링(b)의 도착이 확인되고 하부척(42)에 간격스프링(b)이 없이 확인되면, 상부척(41)이 열려 간격스프링은 하부척(42)의 상단에 공급되며 상부척(41)은 다시 닫히고 코일헤드(20)에서 간격스프링(b)을 성형하여 상부척(41)에 공급한다.
콘베이어(80)를 타고 공급된 파레트(61)가 파레트 위치 결정 유니트(60)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면, 기준실린더(53)가 전진하여 기준블록(51)이 전진하여 기준면을 설정하고 푸시 실린더(54)가 전진하여 V블록(52)이 전진하므로 파레트(61)상의 실린더(57)를 센터링한다.
실린더(57)의 존재가 센서(56)에 의해 감지된 후 하부척(42)이 열려 간격스프링(b)은 자중에 의해 실린더(57)에 삽입된다.
열려진 하부척(42)은 다시 닫혀 슈트(30)를 클램핑하고 상부척(41)이 열려 간격스프링(b)이 공급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프링 와이어를 간격스프링으로 성형하여 실린더에 한 개씩 자동 삽입하므로써 성인화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다.

Claims (1)

  1. 스프링 와이어(a)를 간격스프링(b)으로 성형하여 공급하는 코일링 헤드(20)와, 상기 간격스프링(b)을 자중에 의해 하향 이송시키는 슈트(30)와,상기 슈트(30)에 공급된 간격스프링(b)을 이송시키도록 실린더(57)가 설치된 파레트(61)와,파레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파레트 위치 결정유니트(60)와,상기 슈트(30)에 공급된 간격스프링(b)을 1개씩 실린더(57)에 공급해 주는 상·하부척 유니트(40)와,상기 파레트(61)상의 실린더(57)를 센터링해 주는 실린더 센터링 유니트(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KR2019930031066U 1993-12-30 1993-12-30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KR0131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066U KR0131434Y1 (ko) 1993-12-30 1993-12-30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066U KR0131434Y1 (ko) 1993-12-30 1993-12-30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968U KR950016968U (ko) 1995-07-20
KR0131434Y1 true KR0131434Y1 (ko) 1999-01-15

Family

ID=1937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066U KR0131434Y1 (ko) 1993-12-30 1993-12-30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4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93B1 (ko) * 2013-04-25 2014-11-07 성낙대 금속선재 밴딩장치용 수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93B1 (ko) * 2013-04-25 2014-11-07 성낙대 금속선재 밴딩장치용 수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968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511694A (ja) マシニングセンタ
JPH0615393A (ja)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CN108582641B (zh) 卡托自动化生产方法
KR20210150445A (ko) 멀티 스핀들의 전자동 수직 머시닝 센터
KR0131434Y1 (ko) 간격스프링의 자동공급장치
JP2005138438A (ja) 成形機その他加工機における成形品取出し装置
JPH06187872A (ja) 感温スイッチ組立治具及び組立装置
US4628585A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handling of electrical components
CN210001144U (zh) 一种绕线机自动上料装置
KR0164254B1 (ko) 반도체팩키지 싱귤레이션장치
JP2674946B2 (ja) 半導体装置におけるリードフレーム切離し装置
CN208147387U (zh) 一种零件加工装置
KR100203815B1 (ko) 파이프형 소재의 피드 백 로더
CN220636067U (zh) 冲压成型装置
CN211588934U (zh) 一种能够分离废料的瓷砖激光切割设备
JP2863341B2 (ja) 板材の切断方法
JP3324082B2 (ja) 平型被加工物自動選別装置
JPH0615391A (ja) スタックピンホルダーへのスタックピン引抜・差込装置
KR920001988Y1 (ko) 반도체칩의 이송슈트(chute)
JP2524177B2 (ja) 自動棒材供給機における送り込みバ―の一時退避方法
KR900002389Y1 (ko) 소결 제품의 버어 자동 제거장치
JPS5925577Y2 (ja) プレスにおけるブランク搬送装置
CN110802333A (zh) 一种能够分离废料的瓷砖激光切割设备
JPH0444282Y2 (ko)
JPS6087113A (ja) 棒材の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