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233Y1 - 블럭 조립식 맨홀 - Google Patents

블럭 조립식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233Y1
KR0131233Y1 KR2019950002589U KR19950002589U KR0131233Y1 KR 0131233 Y1 KR0131233 Y1 KR 0131233Y1 KR 2019950002589 U KR2019950002589 U KR 2019950002589U KR 19950002589 U KR19950002589 U KR 19950002589U KR 0131233 Y1 KR0131233 Y1 KR 0131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ssembly
manhole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039U (ko
Inventor
안승민
임왈선
Original Assignee
안승민
임왈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민, 임왈선 filed Critical 안승민
Priority to KR2019950002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233Y1/ko
Publication of KR960029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을 값싸게 그리고 신속,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블럭에 관한것이며, 종래 금속재질의 맨홀에 대한 각종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단에는 복수개의 돌기(7)를, 하단에는 단턱(8)을 형성한 3단형 벽면블럭(1)과 2단형 벽면불럭(2)을 형성하여 이들의 연결조립에 의해 벽면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한 조립체 상단에는 뚜껑 받침턱(11)과 단턱(9)을 가진 L형 마감블럭(3)과 직선형 마감블럭(4)을 연결조립하여서 됨을 특징함.

Description

블럭 조립식 맨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사시도.
제3도는 조립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조립과정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
제5도는 내부에 시멘트몰탈을 넣어 일체화시킨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벽면블럭 3 : L형 마감블럭
4 : 직선형 마감블럭 5 : 내부공간
8 : 중간연결편 7 : 돌기
8,9 : 단턱 10 : 뚜껑
A : 시멘트몰탈
본 고안은 각종 맨홀 설치부에 신속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블럭 조립식 맨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맨홀설치부에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외벽체를 구축하고 그위에 철제 뚜껑을 덮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고, 또한 철제로된 다수의 토막관을 수직상으로 연결조립하여 맨홀을 형성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맨홀구성체는 시공시나 중간보수시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실제 사용상에서 알 수 있었다.
즉, 철제로된 맨홀구성체는 다수의 조립체를 각각 보울트로 체결하여 고정시켜야 하고 또한 보수시에는 이들 체결 보울트를 다시 풀어주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의 어려움이 많으며, 특히 철재 맨홀은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필요시 맨홀의 직경을 크게 또는 적게 조절할 수 없는 것도 또 하나의 문제점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은 공개실용(공개번호 90-8491호 및 94-22817호) 고안이 알려져 있으며 선고안은 사각함체의 저면에 지지돌기를 돌출시켜 하방의 함체 상면에 삽입되는 식으로 조립되게 하는 구성이며, 후 출원 고안은 사각함체의 일측에는 T자형 접속홈을 형성하는 대신에 하측에는 T자형 연결돌기를 돌출시키는 구성이다.
상기한 선고안은 모두 블록체 저면에나 양측벽에 접속 돌기를 형성한 단순한 구조이므로 좌우측 블록과의 접속력이 약하고 특히 상면과 코너부를 깨끗하게 마감처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블록체가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시공중에는 짧은 블록이 필요할때는 절단해야하는 불편한 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조립 블럭과 맨홀구성체에 대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서 높낮이 및 직경을 필요에 따라 크게 또는 적게 설치할 수 있고 벽돌 쌓듯이 신속간편히 조립시공할 수 있도록 전혀 새롭게 안출된 블럭 조립식 맨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후 버려지는 폐수지를 재활용하여 블럭으로 성형하므로서 산업쓰레기를 줄일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합성수지블럭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연결조립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최상부에는 외관이 미려한 마감블럭을 조립하여 뚜껑과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것인바,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외벽체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3단형 벽면블럭(1)과 2단형 벽면블럭(2), 그리고 최상단에 사용되는 L형 마감블럭(3)과 직선형마감블럭(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폐수지로 성형하여서된 조립블럭이다.
벽면블럭(1)(2)은 상·하단이 관통된 내부공간(5)을 갖고 있으며, 중간연결편(6)에 의해 양측벽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 고정될 수 있다.
벽면블럭(1)(2)의 내벽면에는 복수개의 돌기(7)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돌출되어 있으며, 저면부에는 상기한 돌기(7)가 결합될수 있는 단턱(8)이 형성되어 있다.
벽면블럭(1)(2)을 3단형괴 2단형으로 구분한 것은 시공면적에 따라 필요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들 벽면블럭(1)(2)이 조립된 상단에는 마감블럭(3)(4)이 연결접속된다.
이들 마감블럭(3)(4)의 저면에는 역시 벽면블럭(1)(2)의 돌기(7)와 결합 가능한 단턱(9)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뚜껑(10)이 얹혀질 수 있는 계단형 받침턱(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칸막이편(12)이 형성되어 있어 강도를 유지하게 한 것이다.
이들 중에서 L형 마감블럭(3)은 코너부에 접속되며 직선형 마감블럭(4)은 직선연결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반적인 뱍돌을 쌓듯이 크고 작은 벽면블럭(1)(2)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조립하며, 각각의 돌기(7)와 단턱(8)의 접속으로 유동없는 결속력을 갖게 된다.
또한 설정된 규격으로 조립된 블록체의 최상단에는 먼저 네곧의 코너부에 L형 마감블럭(3)을 연결조립하고 나머지 빈공간부에 직선형 마감블럭(4)을 조립하므로서 상단부는 마감처리되는 것이며, 그 위에 뚜껑(10)을 덮어 주는 것으로 시공완료된다.
또한 본 고안은 주위의 지반이 약할 경우에는 벽면블럭(1)(2)을 조립한 상태에서 제5도의 상태처럼 내부공간에 시멘트몰탈(A)을 충진하여 양생시키면 견고한 지탱력을 갖게 되므로, 이 또한 바람직한 시공구조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의 블럭은 폐수지를 재활용하여 제작되므로 값싸게 공급할 수 있으며, 길이 및 높이가 다른 다양한 보조블럭을 제작할 수 있고 각각의 내부에 다수의 연결편을 형성하여 자체강도를 높이므로서 금속재질처럼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각각의 블록단위로 조립되므로 노면 덧씌우기등에 의한 보수 공사에서 그 변경 칫수에 맞는 보조블럭을 보충조립하여 맨홀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 많은 인력을 필요로하던 작업을 본 고안은 신속, 간편한 조립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맨홀은 물론 담장이나 경계블럭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개의 상부돌기(7)와 하부단턱(8)을 구비한 합성 수지 재질의 2단, 3단형 벽면블럭(1)(2)으로 이루어진 기본블럭과, 뚜껑받침턱(11)과 단턱(9)을 구비한 합성수지재질의 L형, 직선형 마감블럭(4)으로 이루어진 상면블럭과; 상기한 조립체 상면에 덮어주는 뚜껑(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블럭 조립식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질의 벽면조립체 내부공간에 시멘트몰탈(A)을 충진하여서된 블럭 조립식 맨홀.
KR2019950002589U 1995-02-17 1995-02-17 블럭 조립식 맨홀 KR0131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589U KR0131233Y1 (ko) 1995-02-17 1995-02-17 블럭 조립식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589U KR0131233Y1 (ko) 1995-02-17 1995-02-17 블럭 조립식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39U KR960029039U (ko) 1996-09-17
KR0131233Y1 true KR0131233Y1 (ko) 1998-12-15

Family

ID=1940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589U KR0131233Y1 (ko) 1995-02-17 1995-02-17 블럭 조립식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2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39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977A (en) Modular mailbox housing assembly
US4700523A (en) Reinforcing frame wor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MXPA02000374A (es)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fabricar losas planas de hormigon reforzado.
US4703600A (en) Vertically assembling box type blocks
KR0131233Y1 (ko) 블럭 조립식 맨홀
KR0131368Y1 (ko) 맨홀뚜껑
JPH06316942A (ja) 鉄塔基礎用プレキャスト製品及び鉄塔基礎の施工方法
KR200308686Y1 (ko)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써트
JPS5953977B2 (ja) 柱の構築方法
US20100115869A1 (en) Connecting and plugging element for modular floor construction
JP3709275B2 (ja) 壁面構造物
CN220139030U (zh) 砌筑用装配式预制配电箱构件
KR200241654Y1 (ko) 거푸집 고정대
KR940007477Y1 (ko) 조립식 건축물용 블록
KR200275111Y1 (ko) 철근간격유지용 월 스페이서
KR200303783Y1 (ko) 조립식 피씨 암거용 거푸집장치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JP3709274B2 (ja) 壁面構築用ブロックおよび壁面構造物
JP2612416B2 (ja) 屋外壁建設資材
KR200370235Y1 (ko) 건물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조립식 거푸집
KR0131314Y1 (ko) 콘크리트 유니트욕실용 욕실벽판
KR100396310B1 (ko) 건축용 철근받침구
KR960007040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KR100200030B1 (ko) 울타리용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KR940001783Y1 (ko) 건물의 셔터박스(Shutter Box)내부 성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