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030B1 - 울타리용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울타리용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030B1
KR100200030B1 KR1019960033163A KR19960033163A KR100200030B1 KR 100200030 B1 KR100200030 B1 KR 100200030B1 KR 1019960033163 A KR1019960033163 A KR 1019960033163A KR 19960033163 A KR19960033163 A KR 19960033163A KR 100200030 B1 KR100200030 B1 KR 10020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upling groove
lumbar
clos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243A (ko
Inventor
서건희
Original Assignee
서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건희 filed Critical 서건희
Priority to JP2268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JPH09112084A/ja
Priority to CN 96113332 priority patent/CN1112499C/zh
Publication of KR97001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1.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울타리의 설치를 위한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2.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울타리부재를 기둥 또는 보울트 결합에 의해 설치함으로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수한 견고성을 갖는 울타리의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그내부에 중공부(11)을 가지며, 울타리부재(2)의 하단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를 구비하고 있는 주추부재(1)를 제공하여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에 울타리부재(2)를 끼워 고정 설치하고 주추부재(1)의 중공부에 시멘트 몰탈(4)을 충진시켜 울타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4.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공원, 아파트 등의 울타리의 설치에 그 용도가 있다.

Description

울타리용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본 발명은 지면이나 옹벽 등의 상부에 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한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주추부재를 이용하여 시멘트,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예비 성형된 울타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예비성형된 울타리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울타리와 울타리가 연결되는 위치의 지면에 주추부재를 몰딩하기 위한 구덩이를 판 다음 구덩이 내부의 적당한 위치에 앵커보울트를 설치한 후, 시멘트 몰탈을 채우고 시멘트 몰탈을 적당히 양생시킨 후에 보울트공이 형성된 울타리부재를 세워 앵커보울트를 보울트공에 끼우고 너트로서 고정시키거나, 울타리의 하부를 매설하는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보울트체결에 의한 공법의 경우에는 앵커보울트, 너트 등의 금속재질이 대기중의 습기 및 산소와 반응하여 녹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녹의 발생이 심화되는 경우에는 울타리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울타리의 하부를 직접 매설하는 경우에는 몰탈이 충분히 양생될 때 까지 울타리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주기 위한 울타리의 고정설비를 장기간에 걸쳐 설치하여야 하므로 인도 등이 접한 경우에는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부식이 용이하지 않은 시멘트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울타리의 시공방법이 개발된 바 있으며, 이와같은 울타리의 시공방법은 각 울타리부재(2)의 사이마다 벽돌(B) 등을 쌓아 기둥(P)을 시공하고, 기둥(P)의 사이에 미리 성형된 투시형 울타리부재(2)를 고정시키어 시공하는 것이나, 이와같은 설치방법은 울타리부재(2)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각 울타리부재(2) 마다 구비되는 기둥(P)을 단위 블럭으로 일일이 적층시키면서 세워지는 조적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기둥(P)의 설치시 많은 량의 몰탈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몰탈의 생산 및 운반으로 시공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대략 3M정도의 사이를 두고 설치된 양 기둥에 미리 형성시켜 놓은 홈에 울타리부재(2)의 양측부에 돌출된 연결부를 끼워 울타리부재(2)를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울타리부재(2)에 충격을 받을시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비의 경제성을 감안하여 울타리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을 설치하지 않고, 울타리부재를 하부에서 지지시켜 설치가 극히 간단하면서 우수한 견고성을 갖도록 한 울타리의 설치를 위한 주추부재 및 울타리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추부재는 울타리부재의 하부면의 중앙 또는 양측 혹은 하부면의 양측에 설치된 서포트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며, 지면이나 옹벽상에 각 울타리 부재가 설치되는 사이 또는 울타리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지면 또는 옹벽에 로드가 매설된 기초부를 형성하고, 기초부의 상부에 본 발명의 관체 형상으로 된 주추부재를 고정 설치한 후, 울타리 부재의 하부 양측을 상기 주추부재 내에 내입시키면서 울타리부재의 저면부가 주추부재의 상부 양측에 형성한 결합홈에 끼워 주추부재가 울타리 부재를 수직으로 지지하여 주면서 받쳐 주도록 결합시킨 다음, 주추부재 내부의 공간부에 시멘트 몰탈을 충진시키어 설치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울타리의 설치 상태도.
제2a도 내지 제2f도 내지 제2f도는 본 발명의 주추부재에 관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울타리 설치상태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울타리 설치상태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발명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울타리부재와 주추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추부재 11 : 중공부
12 : 결합홈 12a : 폐쇄결합홈
13 : 보강대 2 : 울타리부재
21 : 서포트 3 : 기초부
4 : 몰탈 5 : 로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 내지 제2f도는 본 발명의 주추부재(1)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2a에 도시된 주추부재(1)는 그 내부가 관통된 중공부(11)을 가지며, 울타리부재(2)를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주추부재(1) 상단부의 외주연에 중공부(11)와 외부를 향하여 관통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결합홈(12)는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마주하도록 2개가 설치되고, 울타리의 코너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에는 대향되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3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b도에 도시된 주추부재(1)는 일면에만 관통결합홈(12)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주추부재(1)는 제4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울타리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이 경사를 이루고 있을 때,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울타리부재(2)의 하부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2c도에 도시된 주추부재(1)는 3방향을 향하도록 관통결합홈(12)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주추부재(1)는 울타리부재(2)가 직선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및 코너부분을 형상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 의하여 설치된 울타리는 제5c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고, 제2d도에 도시된 주추부재(1)의 경우는 주추부재(1)의 외주연에 관통결합홈(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울타리부재(2)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중공부(11)를 가로지르는 보강대(13)가 형성되어 있고, 보강대(13)에는 울타리부재(2)의 하단 측면 또는 울타리부재(2)의 서포트(21)를 고정하기 위한 또다른 일면으로만 개방되어 있는 폐쇄결합홈(12a)이 형성된 것으로, 이 경우에 의한 결합상태는 제5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로 울타리부재(2)와 주추부재(1)가 결합되는 것이다.
제2e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추부재(1)는 도면의 도시상태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추부재(1)의 외주연에서 중공부(11)를 향하여 개방된 폐쇄결합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울타리부재(2)에 형성되어 있는 서포트(21)의 일부가 폐쇄결합홈(12a)에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 다음, 중공부(11)가 몰탈로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제2f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추부재(1)는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추부재(1)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대(13)로 부터 중공부(11)를 향하여 개방된 폐쇄결합홈(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울타리부재(2)의 하단부는 주추부재(1)의 외주연 상단부와 접하게 되고, 울타리부재(2)의 서포트(21)가 주추부재(1)의 보강대(13)에 형성되어 있는 폐쇄결합홈(12a)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부(11)이 시멘트몰탈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2e도 및 제2f도에 도시된 주추부재(1)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는 관통결합홈(12)이 형성되지 않은 주추부재(1)를 사용하여 서포트(21)가 형성된 울타리부재(2)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가로로 형성된 울타리부재(2)의 하단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주추부재(1)의 상단에서 받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추부재(1)는 제2a도 내지 제2f도에서 도시한 4각 형상의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울타리부재(2)를 고정하기위한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라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될 것이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울타리부재(2)와 주추부재(1)를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울타리를 설치하고자 할때, 각 울타리부재(2)가 위치되는 사이의 경간마다 지면에 콘크리트를 부어 기초부(3)를 형성하되, 기초부(3)상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로드(철근)(5)를 설치한다(울타리의 설치 위치가 옹벽일 경우에는 옹벽의 상부로부터 로드(5)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천공하여 로드를 상부로 부터 끼워 설치함).
기초부(3)상에 관체 형상을 갖는 주추부재(1)의 설치시, 기초부(3)상에 돌출된 로드(5)가 주추부재(1)의 중공부(11)에 위치되는 상태로 각각 줄과 수평이 맞도록 설치하여 기초부(3)와 주추부재(1)가 결합되게 한 다음, 주추부재(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울타리부재(2)의 일측 서포트(21)를 각각 주추부재(1)내의 중공부(11)에 끼우면서 동시에 주추부재(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결합홈(12)또는 폐쇄결합홈(12a)에 울타리부재(2)의 저면부 또는 서포트(21)가 각각 끼워지게 결합시키어 주추부재(1)가 울타리부재(2)를 수직으로 바쳐주면서 고정하도록 세워준 후, 주추부재(1)의 중공부(11)에 시멘트 몰탈(4)을 충진시켜 충분히 양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울타리는 제5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추부재(1)의 중공부(11)에 충진되어 양생된 시멘트 몰탈(4)에 의해, 주추부재(1)는 로드(5)에 의한 보강력을 가지면서 기초부(3)와 결착 고정되고, 울타리 부재(2)는 서포트(21) 및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에 의해 주추부재(1)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울타리의 하중을 하부에서 받쳐 주면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견고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계적인 설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설치 공정이 극히 간단하여 공기 단축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제4a도는 서포트(21)가 존재하지 않는 울타리부재(2)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주추부재(1)의 관통결합홈(12)에 울타리부재(2)의 하부가 끼워져 결합된 것으로 시멘트 몰탈(4)은 울타리부재(2)의 투시구멍을 통하여 하단을 감싸고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지므로 주추부재(1)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4a도의 경우,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추부재(1)을 사용하면, 제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로 울타리부재의 하단부의 측면이 보강대(13)에 형성되어 있는 폐쇄결합홈(12a)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관통결합홈(12)와 결합되어 울타리부재(2)의 설치는 수직으로 곶어하기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제4b도는 울타리가 설치되는 지면이 경사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초부(3)상에 주추부재(1)를 설치한 상태에서 지면이 낮은 쪽의 위치한 상기 주추부재(1)의 상부에 하나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 만을 갖는 대략 절반크기의 또 다른 주추부재(1)를 적층시켜 고정시킨 다음, 울타리부재(2)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주추부재(1)의 중공부(11)를 시멘트 몰탈로서 채워 양생시키면 지면의 경사면을 따라 울타리 부재(2)가 계단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제4c도는 하나의 울타리부재(2)를 하나의 주추부재(1)에 의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기초부(3)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추부재(1)를 울타리부재(2)의 중앙 하단부와 결합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주추부재(1)의 관통결합홈(12)에 울타리부재(2)의 중앙하단을 끼워 결합시킨 후, 중공부(11)를 몰탈(4)로 채워줌으로서 견고하게 결합시킬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 몰탈(4)이 울타리부재(2)의 중앙 하단부를 투시구멍을 통하여 감싸도록 하면 더욱 견고하게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울타리부재(2)가 투시구멍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울타리부재(2)의 하단부에 몰탈이 채워질 관통공을 형성하여 시멘트몰탈이 관통공에 채워지도록 하여 주추부재(1)의 중공부(11)에 몰탈을 채우면 투시구멍의 형성과 관계없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시된 도면에 도시된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내부에 중공부(11) 및 관통결합홈(12) 및/또는 폐쇄결합홈(12a)을 갖는 다양한 형상의 주추부재(1)를 이용하여 각종 형상의 울타리부재(2)를 설치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며, 주추부재(1)의 형상에 있어서도 중공부(11)와 울타리부재(2)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라도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울타리 부재를 기둥에 의해 지지하지 않고 하부에서 결합시킨 상태로 받쳐서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력 및 견고성이 높으며 설치 공정이 간단하여 공기단축 및 경제적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18)

  1. 울타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기초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추부재(1)에 있어서, 주추부재(1)는 그 내부에 중공부(11)를 가지며, 울타리부재(2)의 하단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관통결합홈(12) 및/또는 폐쇄결합홈(12a)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주추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주추부재(1)가 하나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만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주추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주추부재(1)가 2개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주추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주추부재(1)가 3개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을 구비하며, 2개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은 2개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과 임의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주추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주추부재(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관통결합홈(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주추부재.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주추부재(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이 폐쇄결합홈(12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주추부재.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주추부재(1)가 보강대(13)를 구비하며, 그 보강대(13)에 폐쇄결합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주추부재.
  8. 주추부재를 이용하여 울타리를 설치함에 있어서, 지면에 기초부(3)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3)에 중공부(11) 및 관통결합홈(12) 및/또는 폐쇄결합홈(12a)을 갖는 주추부재(1)를 설치하여 기초부(3)와 주추부재(1)가 결합되도록 한 후, 주추부재(1)내에 울타리부재(2)의 하단부를 내입 결합시키고, 주추부재(1)의 중공부에 시멘트 몰탈(4)을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하단부에 서포트(21)가 형성된 울타리부재(2)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울타리부재(2)의 중앙 저면부가 주추부재(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결합홈(1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울타리부재(2)의 서포트(21)가 주추부재(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대(13)에 형성되어 있는 폐쇄결합홈(1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울타리부재(2)와 주추부재(1)의 결합은 주추부재(1)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결합홈(12) 및 주추부재(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대(13)에 형성되어 있는 폐쇄결합홈(12)에 이중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기초부(3)의 설치는 주추부재(1)에 내입되는 로드(5)를 매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기초부(3)의 설치는 주추부재(1)에 내입되는 로드(5)를 매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기초부(3)의 설치는 주추부재(1)에 내입되는 로드(5)를 매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기초부(3)의 설치는 주추부재(1)에 내입되는 로드(5)를 매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7. 경사지면에 주추부재를 이용하여 울타리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각 울타리부재(2)가 위치하는 사이마다 지면에 기초부(3)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3)에 적어도 2개의 관통결합홈(12) 및 또는 폐쇄결합홈(12a)을 갖는 주추부재(1)를 설치하며, 주추부재(1)의 상부에 1개의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만을 갖는 주추부재(1)를 적층시키고 상부측에 설치되는 울타리부재(1)가 수평을 이루도록 관통결합홈(12) 또는 폐쇄결합홈(12a)에 끼워 설치한 후, 주추부재(1)의 중공부에 시멘트 몰탈(4)을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주추부재(1)상에 설치되는 또 다른 주추부재(1)에 내입 위치되도록 로드(5)를 매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KR1019960033163A 1995-08-29 1996-08-09 울타리용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KR10020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81996A JPH09112084A (ja) 1995-08-29 1996-08-28 柱礎部材及び該柱礎部材を用いる垣の設置方法
CN 96113332 CN1112499C (zh) 1995-08-29 1996-08-29 栅栏用柱基部件及采用该柱基部件设置栅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5-27190 1995-08-29
KR101995027189 1995-08-29
KR19950027189 1995-08-29
KR101995027190 1995-08-29
KR95-27189 1995-08-29
KR19950027190 1995-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43A KR970011243A (ko) 1997-03-27
KR100200030B1 true KR100200030B1 (ko) 1999-06-15

Family

ID=2663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163A KR100200030B1 (ko) 1995-08-29 1996-08-09 울타리용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019B1 (ko) * 1997-10-06 2001-01-15 서건희 울타리용 패널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243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057A (en) Unit masonry fence and method for erecting
CA2394075A1 (en) Load bearing building component and wall assembly method
US7802409B2 (en) System of concrete structures having panel and column portions with rigid member and end of panel portion of one structure received in slot of column portion of adjacent structure
US7191569B2 (en) Telescoping pier foundation
KR100862005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KR100304861B1 (ko) 건축용단열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JP4440136B2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US20070212172A1 (en) Telescoping pier foundation
US20060179738A1 (en) Lintel
KR102319792B1 (ko) 2방향 프리캐스트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200030B1 (ko) 울타리용 주추부재 및 주추부재를 이용한 울타리의 설치방법
US6557830B2 (en) Prefabricated masonry fenc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2621195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이중벽 구조물
KR200387408Y1 (ko)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JPH0387420A (ja) 建造物の柱体立設構造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205092Y1 (ko) 교각의 내진보강장치
WO1996002712A1 (en) Building blocks and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JPH0314483Y2 (ko)
JP2006348480A (ja) 建築物及び建築物形成方法
JP6231060B2 (ja) 耐震性石積構造及び耐震性石積構造の施工方法
KR102411003B1 (ko) 일체형 룸-조립체 및 벽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 방법
JPH038954A (ja) 壁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パネルを用いた壁の施工方法
JPH09112084A (ja) 柱礎部材及び該柱礎部材を用いる垣の設置方法
CN214497971U (zh) 一种嵌入组合式免支模拐角墙构造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