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157Y1 - 캠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캠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157Y1
KR0131157Y1 KR2019940038636U KR19940038636U KR0131157Y1 KR 0131157 Y1 KR0131157 Y1 KR 0131157Y1 KR 2019940038636 U KR2019940038636 U KR 2019940038636U KR 19940038636 U KR19940038636 U KR 19940038636U KR 0131157 Y1 KR0131157 Y1 KR 0131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ber
motor
bolt
adjusting device
wor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180U (ko
Inventor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8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157Y1/ko
Publication of KR960022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조향각도에 따라 캠버의 조정작업이 자동적으로이루어지게 되어 코너링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캠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너클 아암과 프레임(12)의 결합부에 제공되는 캠버 조정장치(10)이 제공되고; 상기 장치(10)은,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14), 모터(14)의 출력측(16)에 나사결합되는 워엄기어(18) 및 보울트(22)에 고정되어 워엄기어(18)에 맞물리게 되는 섹터기어(20)을 구비하고; 상기 보울트(22)의 외면에는 부시(24)를 사이에 두고 샤프트(26)이 끼워지게 되어, 모터(14)의 회전에 따른 섹터기어(20)의 상하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부시(24)가 샤프트(26)내에서 찌그러지게 됨으로써 캠버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 따라, 코너링시 외측륜의 캠버 드러스트가 감소되므로 코너링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캠버 조정장치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캠버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캠버 조정장치의 캠버 보울트 부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버 조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캠버 조정장치 12 : 크로스 멤버
14 : 모터 16 : 출력축
18 : 워엄기어 20 : 섹터기어
22 : 보울트 24 : 부시
26 : 샤프트 50 : 캠버 조정장치
52 : 너클 54 : 어퍼아암
56 : 로워아암 58 : 휘일
60 : 사이드 멤버 62 : 크로스 멤버
64 : 캠버 보울트 66 : 스토퍼
본 고안은 캠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조향각도에 따라 캠버의 조정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코너링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캠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앞바퀴를 앞에서 관찰하면 바퀴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는데, 바퀴의 중심선과 노면에 대한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캠버(camber)라 한다. 캠버는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0.5-2°정도로 된다. 바퀴의 상부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정캠버(pisitive camber)라 하고, 바퀴의 상부가 안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부캠버(negative camber)라 한다. 캠버는 앞바퀴가 하중을 받았을 때 아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주행할 때 바퀴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하게 된다.
제1도에는 선행기술에 따른 캠버 조정장치(5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제2도에는 제1도의 캠버 조정장치의 캠버 보울트 부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휘일(58)은 너클(52)에 고정되고, 너클(52)의 어퍼아암(54)는 사이드 멤버(60)에 장착되며, 너클(52)의 로워아암(56)은 크로스 멤버(62)에 장착된다.
캠버 조정장치(50)은 캠버 보울트(64)로 구성되고, 캠버 보울트(64)는 크로스 멤버(62)에 대한 로워아암(56)의 장착부분에 사용된다. 선행기술에 따라, 상기 캠버 보울트(64)의 샤프트 부분은 플레이트 부분에 편심적으로 고정되고, 캠버 보울트(64)는 반대 부분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캠버 보울트(64)의 플레이트 부분에는 눈금이 표시되고 보울트(64)가 이동되어 캠버가 표준치를 넘는 경우에는 캠버 보울트(64)를 회전시켜서 캠버의 조정을 행하게 된다. 도면부호 66은 캠버 보울트(64)의 플레이트 부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캠버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최초 제조라인에서 캠버가 세팅되고 나면 이후에는 가변이 안되어 자동차가 코너링을 하는 경우에 외측륜이 정캠버(positive camber)가 됨으로써 캠버 드러스트가 작용되면 코너링 효율이 저하되어 차량의 선회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선행 캠버 조정장치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코너링시에 조향각도에 따라 외측륜의 캠버를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코너링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캠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너클 아암과 프레임의 결합부에 제공되는 캠버 조정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캠버 조정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나사결합되는 워엄기어 및 보울트에 고정되어 워임기어에 맞물리게 되는 섹터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보울트의 외면에는 부시를 사이에 두고 샤프트가 끼워지게 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른 섹터기어의 상하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부시가 샤프트내에서 찌그러지게 됨으로써 캠버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모터의 회전에 따라 워엄기어가 모터의 출력축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워엄기어에 맞물리는 섹터기어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섹터기어의 이동에 따라 보울트와 샤프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부시가 찌그러지게 되어 부시의 찌그러지는 변위만큼 캠버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코너링시 외측륜의 캠버 드러스트가 감소되므로 코너링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캠버 조정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다.
캠버조정장치(10)은 모터(14), 워엄기어(18), 및 섹터기어(20)을 구비한다. 모터(14)는 크로스 멤버(12)에 고정되고, 모터(14)의 출력축(16)은 크로스 멤버(12)의 내부로 연장된다. 출력축(16)에는 워임기어(18)이 나사결합되며, 출력축(16)의 자유단부에는 보울트가 체결된다, 그러므로, 모터(14)가 작동됨에 따라, 워엄기어(18)은 출력축(16)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워엄기어(18)의 치부(teeth)에는 섹터기어(20)의 치부가 맞물리며, 섹터기어(20)은 로워아암과 크로스 멤버(12)를 결합시키기 위한 보울트(22)에 고정된다. 보울트(22)의 외면에는 부시(24)를 사이에 두고 샤프트(26)이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조향핸들의 조향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당한 센서로 부터의 감지신호가 도달되면,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같은 적당한 구조를 취하는 제어기에 의해 모터(14)로 작동신호가 송출되고, 모터(14)의 작동에 의해 워엄기어(18)이 모터(14)의 출력축(16)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워엄기어(18)에 맞물리는 섹터기어(20)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보울트(22)가 이동되면서 부시(24)를 찌그러뜨리게 되어 샤프트(26)내에서 부시(24)가 찌그러진 변위만큼 캠버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 따라, 코너링시 외측륜의 캠버 드러스트가 감소되므로 코너링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에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너클 아암과 프레임(12)의 결합부에 제공되는 캠버 조정장치(10)에 있어서,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조향핸들의 조향각도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14), 모터(14)의 출력축(16)에 나사결합되는 워엄기어(18) 및 보울트(22)에 고정되어 워엄기어(18)에 맞물리게 되는 섹터기어(20)을 구비하고; 상기 보울트(22)의 외면에는 부시(24)를 사이에 두고 샤프트(26)이 끼워지게 되어, 모터(14)의 회전에 따른 섹터기어(20)의 상하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부시(24)가 샤프트(26)내에서 찌그러지게 됨으로써 캠버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 조정장치.
KR2019940038636U 1994-12-30 1994-12-30 캠버 조정장치 KR0131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636U KR0131157Y1 (ko) 1994-12-30 1994-12-30 캠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636U KR0131157Y1 (ko) 1994-12-30 1994-12-30 캠버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80U KR960022180U (ko) 1996-07-20
KR0131157Y1 true KR0131157Y1 (ko) 1998-12-15

Family

ID=1940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636U KR0131157Y1 (ko) 1994-12-30 1994-12-30 캠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173A (ko) * 1997-08-02 1999-03-05 정몽규 자동차의 후륜 캠버각 가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173A (ko) * 1997-08-02 1999-03-05 정몽규 자동차의 후륜 캠버각 가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80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7409Y2 (ja) ストラツト型懸架装置におけるキヤンバ−調整装置
US4418938A (en) Vehicle strut suspension with camber adjustment
KR0131157Y1 (ko) 캠버 조정장치
JPH09109757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4501990A (ja) 姿勢可変な駆動輪を具えた車両
JPS60236815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KR20040042505A (ko)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GB2128950A (en) An air deflect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S61275080A (ja) 自動二輪車の車高調整装置
KR10019242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CN2138074Y (zh) 一种转向减速器
CN112678070B (zh) 基于双叉臂悬架的主动、半主动式外倾角电动调节装置
JP3452998B2 (ja) 自動2輪車の車高調節装置
JPS6332048Y2 (ko)
KR19980031406A (ko) 현가 암 이동에 의한 캠버(Chamber)각 조절장치
JPS6490807A (en) Strut type suspension of vehicle
KR19980040168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JPH0568780U (ja) 舵角検出装置
KR200150746Y1 (ko) 판스프링의 액슬 지오머트리 자동조절장치
JPS603031Y2 (ja)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KR200141688Y1 (ko) 볼트이동에의한캠버(chamber)각조절장치
JP2903758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970069430A (ko) 자동차의 자동레벨링 조정장치
JPS642860Y2 (ko)
KR20070062072A (ko) 자동차의 토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