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168A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168A
KR19980040168A KR1019960059312A KR19960059312A KR19980040168A KR 19980040168 A KR19980040168 A KR 19980040168A KR 1019960059312 A KR1019960059312 A KR 1019960059312A KR 19960059312 A KR19960059312 A KR 19960059312A KR 19980040168 A KR19980040168 A KR 19980040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mounting structure
vehicle
bar mounting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원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168A/ko
Publication of KR1998004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168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 장치에서 롤링 억제를 위해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저속 및 고속 그리고 무부하시 및 과부하시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롤링 억제력을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저 바(56)의 양단이 너클(51)과 연동하도록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크로스멤버(50)에 고정된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를 압박하는 힘을 변경시킴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56)의 비틀림 탄성 계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크로스멤버(50)에 구성된 압박 수단과, 상기한 압박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ECU(1)에 연결된 조향 센서(2) 및 차속 센서(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본 발명은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현가 장치에서 롤링 억제를 위해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은 노면의 굴곡으로부터 충격이 바디에 전달될 때 이를 감소 또는 흡수하게 되는 바, 노면의 굴곡 등에 의해 승객이 과다하게 흔들려 승차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서스펜션은 승용차의 경우 독립 현가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바,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멤버(50)와 너클(51)을 부시(52)로 연결한 서스펜션 아암(53)과, 상기한 너클(51)에 직립 설치된 스트리트 어셈블리(54)와, 상기한 너클(51)의 승강 운동과 연동하도록 양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중간 부분이 브라켓(55)으로 크로스멤버에 고정된 봉상의 스테빌라이저 바(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서스펜션은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타이어(미도시)가 노면의 굴곡에 따라 승강하게 되고, 이와 함께 스트러트 어셈블리(54)가 승강되면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서스펜션은 각각의 타이어가 별도로 지지되는 바, 양측이 다른 조건의 노면을 주행하게 되면 대향된 타이어의 높이가 상이하게 되는 상태가 연속되어 소위 롤링(ROLLONG)이 발생된다.
물론, 상기한 롤링은 양단이 너클(51)과 연동하도록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크로스멤버(50)에 고정된 스테빌라이저 바(56)가 비틀리는 힘에 의해 감쇄된다.
여기서, 상기한 브라켓(55)과 스테빌라이저 바(56)의 연결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50)에 볼트(57)로 고정된 원형의 브라켓(55)과, 상기한 브라켓(55)의 내부를 관통함과 아울러 브라켓(55)과의 사이에 러버(58)가 충진된 스테빌라이저 바(5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가 비틀릴 때 상기한 러버(58)가 충진된 스테빌라이저 바(56)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강도를 갖고 있는 스테빌라이저 바를 차체의 롤링 감소를 위해 사용하게 되면 차량의 속도 및 하중에 관계없이 동일한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저속 및 무부하시에는 승차감이 저하되고, 고속 및 과부하시에는 롤링 억제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속 및 고속 그리고 무부하시 및 과부하시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롤링 억제력을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저 바의 양단이 너틀과 연동하도록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크로스멤버에 고정된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를 압박하는 힘을 변경시킴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탄성 계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크로스멤버에 구성된 압박수단과, 상기한 압박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ECU에 연결된 조향 센서 및 차속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현가 장치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CU, 2 : 조향 센서, 3 : 차속 센서, 4 : 위치 센서, 5 : 마운팅 박스, 6 : 스프링, 7 : 압박 플레이트, 8 : 나사공, 9 : 모터, 10 : 회전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스테빌라이저 바(56)를 압박하는 힘을 변경시킴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56)의 비틀림 탄성 계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크로스멤버(50)에 구성된 압박 수단과, 상기한 압박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ECU(1)에 연결된 조향 센서(2) 및 차속 센서(3)와, 상기한 ECU(1)에 연결되어 압박 수단의 압박 정도를 체크하는 위치 세너(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압박 수단은 크로스멤버(50)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스테빌라이저 바(56)가 관통한 마운팅 박스(5)와, 상기한 마운팅 박스(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구동 수단과, 상기한 마운팅 박스(5)의 내부에 스프링(6)으로 지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테빌라이저 바(56) 상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압박 플레이트(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구동 수단은 마운팅 박스(5)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공(8)과, 상기한 나사공(8)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모터(9)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봉(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마운팅 박스(5)의 승강에 따라 압박 플레이트(7)가 스테빌라이저 바(56)를 압박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비틀림 탄성 계수를 변경시킬 수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운행중 차량이 일정 속도에서 선회를 하게 되면 기울어지게 되는 바, 상기한 ECU(1)가 조향 센서(2) 및 차속 센서(3)를 통해 차량의 기울어짐량을 체크하게 된다.
기울어짐량을 체크하여 운전자가 롤링을 심하게 느낄 정도가 되면 ECU(1)가 모터(9)를 동작시켜 현재 차량에 세팅되어 있는 롤링 억제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즉, 모터(9)가 동작됨과 아울러 이와 나사 결합된 마운팅 박스(5)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한 마운팅 박스(5)의 하강에 의해 스프링(6)이 압박됨으로써 이와 접촉된 압박 플레이트(7)가 스테빌라이저 바(56)를 보다 강한 힘으로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압박 플레이트(7)가 스테빌라이저 바(56)를 압박하면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가 비틀리는 데 필요한 힘이 보다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비틀림 탄성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롤링을 보다 강한 힘으로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압박 플레이트(7)가 스테빌라이저 바(56)를 압박하는 힘은 조향 센서(2)와 차속 센서(3)로부터 ECU(1)에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ECU(1)가 모터(9)의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서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선회가 종료되면 조향 센서(3)로부터 신호가 ECU(1)에 인가되는 바, ECU(1)는 위치 센서(4)를 통해 현재 압박 플레이트(7)의 위치를 검색한 후 스테빌라이저 바(56)가 정상적인 비틀링 탄성을 갖도록 모터(9)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즉, 위치가 고정된 스테빌라이저 바(56)를 압박하는 힘을 모터(9)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56)의 비틀림 탄성을 조절하여 차량의 롤링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저 바를 가압하는 힘을 가변시킴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변화시켜 롤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스테빌라이저 바의 양단이 너클과 연동하도록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크로스멤버에 고정된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를 압박하는 힘을 변경시킴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탄성 계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크로스멤버에 구성된 압박 수단과, 상기한 압박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ECU에 연결된 조향 센서 및 차속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압박 수단은 크로스멤버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스테빌라이저 바가 관통한 마운팅 박스와, 상기한 마운팅 박스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구동 수단과, 상기한 마운팅 박스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테빌라이저 바 상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압박 플레이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ECU에 연결되어 압박 수단의 압박 정도를 체크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마운팅 박스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봉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KR1019960059312A 1996-11-29 1996-11-29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KR19980040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12A KR19980040168A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12A KR19980040168A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168A true KR19980040168A (ko) 1998-08-17

Family

ID=6648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312A KR19980040168A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1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96A (ko) * 2002-04-20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471031B1 (ko) * 1996-12-10 2005-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고속주행용보조현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31B1 (ko) * 1996-12-10 2005-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고속주행용보조현가장치
KR20030083296A (ko) * 2002-04-20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0168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CN204161036U (zh) 稳定杆安装结构及车辆
JPH0669775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KR10022897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45688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아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264655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프론트로어암
KR10035394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9980040190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프레스로어암
CN115923427A (zh) 主动稳定杆总成和具有其的车辆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410847B1 (ko) 자동차용 트레일링 아암 고정 브래킷의 고정구조
KR19980032786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KR19980040170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구조
KR100261425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100220151B1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
CN115139718A (zh) 一种应用于赛车的挂载式悬架
KR100192353B1 (ko) 자동차의 전륜현가장치
KR20010059832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구조
KR200174691Y1 (ko) 자동차의 아암부쉬
KR19980052965U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Shock Absorber)의 피스톤(Piston) 지지구조
KR19980024619U (ko) 차량용 업소버 장치
KR19980054333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19980054202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토오션바아의 설치구조
KR19980032771U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바아의 설치구조
KR19980054341U (ko)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