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67Y1 -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 Google Patents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67Y1
KR0130967Y1 KR2019960011676U KR19960011676U KR0130967Y1 KR 0130967 Y1 KR0130967 Y1 KR 0130967Y1 KR 2019960011676 U KR2019960011676 U KR 2019960011676U KR 19960011676 U KR19960011676 U KR 19960011676U KR 0130967 Y1 KR0130967 Y1 KR 0130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fishing
winding
fram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275U (ko
Inventor
김윤석
Original Assignee
김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석 filed Critical 김윤석
Priority to KR2019960011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67Y1/ko
Publication of KR970060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중소형 어선용 어망 권양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존 어망 권양시에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코져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중소형 선박용 어망 권양기(1)에 있어서, 어망 권양기(1)는 각도조절 수단을 갖는 프레임(9)상에 유압모터(12a, 12b, 12c)와 연결된 수개의 권취드럼(11a, 11b, 11c)을 축설하고, 권취드럼(11a, 11b, 11c)의 외면부에는 요철면(13)과 논슬립층(14)을 형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중소형 어선용 어망 권양기

Description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망권양기 2 : 고정플렌지
3 : 축관 4, 4' : 조절공
5 : 조절플렌지 6 : 축봉
7, 7' : 조절공 8 : 조절플렌지
9 : 프레임 10, 10' : 보강돌조
11a, 11b, 11c : 권취드럼 12a, 12b, 12c : 유압모터
13 : 요철면 14 : 논슬립층
본 고안은 중소형 어선에서 어망을 권양(捲楊)시에 사용하는 어망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중소형 어선 등에서 어획을 위해 어망을 권양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에 의한 권양과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을 이용하여 권양하는 방법으로 대분되어 있으며, 근자에 들어서는 인력부족 등으로 인하여 구동원을 이용한 어망 권양방법이 널리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구동원을 이용한 어망권양수단은 모터와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권취드럼상에 어망의 일단을 로프 등으로 연결하여 권회식으로 어망을 권양토록 하고 있으나, 이는 어망 권양시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어망의 하중을 선상에서 보조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구동수단인 모터에 과부하로 인한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높았으며, 실제 어망을 권양시에는 권취드럼에서 슬립이 발생한 경우가 많아 어망을 원활하게 권양하기에는 상당한 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7-18713호와 같이 수개의 로울러를 선체에 축설하여 어망을 권양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어망의 권취방향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없고 드럼의 권취속도조절이 불가능하여 권양능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은 기존 중소형 어선용 어망권양기가 가진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개량형의 어망권양기를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측의 전후 권취드럼의 중간 하부에 역전방지 및 어망의 수직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보조권취드럼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권취드럼에는 슬립방지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어망권양기(1)의 사시도로서, 중소형 어선의 선두(船頭) 부분 등에 고정될 수 있는 어망권양기(1)는 하단에 고정플렌지(2)를 갖는 축관(3)의 상단에 수개의 조절공(4, 4')을 갖는 조절플렌지(5)를 일체로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축관(3)상에 끼움축삽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축봉(6)과 축관(3)의 조절플렌지(5)와 상호 대응 접속되는 수개의 조절공(7, 7')을 갖는 조절플렌지(8)를 축봉(6)의 중도에 고정설치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축봉(6)은 수평방향으로 약 90°정도 밴딩되어 단부에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9)을 볼팅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되, 프레임(9)에는 강도보강을 위하여 수개의 보강돌조(10, 10')를 형성한다.
한편 프레임(9)에는 어망을 권양하기 위한 수개의 권취드럼(11a, 11b, 11c)이 축설되는데, 이의 구동수단으로는 유압유니트(도시생략)와 연결되는 유압모터(12a, 12b, 12c)를 회전축의 일단에 축설한다.
상기 권취드럼(11a, 11b, 11c)은 개략 역삼각형의 꼭지점 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축설하여 어망이 개략()형으로 권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드럼(11a, 11b, 11c)의 외연부에는 어망 권양시에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간격으로 요철면(13)을 형성하고, 표면에는 고무 등과 같은 논슬립층(14)을 피복시킨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15)는 선체, (16)은 어망, (17)은 유압호스, (18)은 유압모터의 샤프트, (19)는 고정훅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각종의 중소형 어선에 설치하여 어망(16)을 권양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의 작용과 그로 인한 효과 등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사용하여 어망(16)을 권양코져 할 경우는 어망(16)이 프레임(9)상에 설치된 각각의 권취드럼(11a, 11b, 11c)을 개략()형으로 경유토록 권설한 후 유압유니트(공지된 유압장치임)를 구동하면 권취드럼(11a, 11b, 11c)을 구동하는 유압모터(12a, 12b, 12c)가 소정의 회전비로 회동하여 어망(16)을 바다로부터 선상으로 끌어올리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권취드럼(11a, 11b, 11c)은 개략 역삼각형의 꼭지점 부분에 유압모터(12a, 12b, 12c)와 연결회동토록 되어 있어서 어망(16)이 가지는 하중이 각각의 권취드럼(11a, 11b, 11c)에 분산되고, 특히 프레임(9)의 중앙하부에 축설된 권취드럼(11b)은 어망의 정방향 권양시 미치는 하중으로 인한 어망(16)과 권취드럼(11a, 11b, 11c) 상간의 슬립현상을 궁극적으로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권취드럼(11a, 11b, 11c) 외면부는 논슬립층(14)을 가진 요철면(13)으로 이루어져 있어 어망(16)이 권양시에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어망이 미끌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끌어 올려지는 것이다.
프레임(9)은 축봉(6)에 축설되어 회전방향조절이 자재로우므로 어로작업현장에서 작업조건에 맞추어 권취드럼(11a, 11b, 11c)의 각도 조절이 자재롭고 또한 어로작업 종료후 선박이 포구에 진입할 시 돌출 상태가 장애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프레임(9)을 연결고정하고 있는 축봉(6)을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서, 즉, 축봉(6)의 조절플렌지(8)와 축관(3)의 상부 조절플렌지(5)상에 형성된 조절공(4, 4', 7, 7')을 상호 훅킹하고 있는 고정훅(19)을 상방으로 분리한 후 축봉(6)을 회전시키면 축봉(6)은 축관(3)상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조절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태를 유동불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재차 고정훅(19)을 조절공(4, 4', 7, 7')을 상호 일치시켜 록킹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각 권취드럼(11a, 11b, 11c)을 개별적으로 유압모터(12a, 12b, 12c)에 축설하였으므로 그 회전속도를 적절히 변속하여 어망권양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중소형 어선의 어망권양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프레임(9)과 상기 프레임(9)에 어망을 권양할 수 있는 유압모터(12a, 12b, 12c)와 연결된 수개의 권취드럼(11a, 11b, 11c)을 축설하되, 상기 권취드럼(11a, 11b, 11c)은 어망을 개략()형으로 권양토록 설치하여 어망권양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하여 원활한 권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권취드럼(11a, 11b, 11c) 외면부에는 요철면(13)과 논슬립층(14)을 형성하여 권양시에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또한 각 권취드럼(11a, 11b, 11c)의 권취속도를 유압모터(12a, 12b, 12c)로서 조절할 수 있어서 매우 능률적으로 어망을 권양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어망권양기(1)의 프레임(9)에 수개의 권취드럼(11a, 11b, 11c)을 축설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프레임(9)의 지지를 위한 축봉(6)이 축관(3) 내부에서 회전상태로 축설되어 조절플렌지(5)에서 조절공(7)과 고정훅(19)에 의해 프레임(9)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3개의 권취드럼(11a, 11b, 11c)은 각각 개별적으로 유압모터(12a, 12b, 12c)의 샤프트(18)에 축설되어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선박의 어망권양기.
  2. 권취드럼(11a, 11b, 11c)에는 요철면(13)을 형성하여 이에 고무판으로된 논슬립층(14)을 피복하여 접지되는 어망이 미끄러짐 없이 권양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선박의 어망권양기.
KR2019960011676U 1996-05-07 1996-05-07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KR0130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676U KR0130967Y1 (ko) 1996-05-07 1996-05-07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676U KR0130967Y1 (ko) 1996-05-07 1996-05-07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75U KR970060275U (ko) 1997-12-10
KR0130967Y1 true KR0130967Y1 (ko) 1998-12-01

Family

ID=1945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676U KR0130967Y1 (ko) 1996-05-07 1996-05-07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6197A1 (en) * 2001-03-17 2002-10-03 Gumjoo Mariner Co., Ltd Net hauling equipment for fishing vessels
CN102524201A (zh) * 2010-10-28 2012-07-04 船舶油压技研株式会社 起网机
KR101529781B1 (ko) * 2013-09-27 2015-06-29 신명식 그물 인양장치
KR101580503B1 (ko) * 2015-10-07 2015-12-29 전승훈 포장 및 출하가 용이하도록 논슬립부가 구비된 바이브레이터 호스용 감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6197A1 (en) * 2001-03-17 2002-10-03 Gumjoo Mariner Co., Ltd Net hauling equipment for fishing vessels
CN102524201A (zh) * 2010-10-28 2012-07-04 船舶油压技研株式会社 起网机
KR101529781B1 (ko) * 2013-09-27 2015-06-29 신명식 그물 인양장치
KR101580503B1 (ko) * 2015-10-07 2015-12-29 전승훈 포장 및 출하가 용이하도록 논슬립부가 구비된 바이브레이터 호스용 감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7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5344B2 (ja) クレーン
KR102530779B1 (ko) 크레인을 위한 호이스팅 블록
US3034767A (en) Powered warping block for hauling crab pots and the like
KR0130967Y1 (ko) 중소형 어선의 어망 권양기
JP3861258B2 (ja) 魚網の自動揚網方法
EP0661232B1 (en) A lifting device
KR101189897B1 (ko) 선박 인양용 크레인
JPH04911B2 (ko)
JPS58170694A (ja) 軸上下舵柄
KR200328763Y1 (ko) 어선용 그물인양기(양망기)
KR200195330Y1 (ko) 안강망 어선용 크레인
KR200376285Y1 (ko) 중소형 선박용 어망권양기
US3861534A (en) Davit, particularly for marine use
CN217535267U (zh) 一种船用起重机的平衡装置
KR200357757Y1 (ko) 소형선박양륙시스템
JPH0333260Y2 (ko)
CN112056281A (zh) 一种渔船抛网机构及其作业方法
KR100277293B1 (ko)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KR100587232B1 (ko) 선박용 양망기
KR200186696Y1 (ko) 어선용 어망권양기
CN217921009U (zh) 一种汽车轮毂吊装机构组合平台
CN2603006Y (zh) 起锚机
JP2782621B2 (ja) 魚の船上引揚装置
JPH0345570Y2 (ko)
JPH071975Y2 (ja) 底引き漁船に使用される揚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