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19B1 - 고스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스트 제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19B1
KR0130819B1 KR1019920008071A KR920008071A KR0130819B1 KR 0130819 B1 KR0130819 B1 KR 0130819B1 KR 1019920008071 A KR1019920008071 A KR 1019920008071A KR 920008071 A KR920008071 A KR 920008071A KR 0130819 B1 KR0130819 B1 KR 013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host
signal
gcr
data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447A (ko
Inventor
오진성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19B1/ko
Publication of KR93002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방송신호의 전송시 다중경로채널에 의해 발생되는 고스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스트제거기준신호로서 상호 보수관계에 있는 한쌍의 의사랜덤데이타열로 이루어진 CS-GCR신호를 사용하고, 수신측에서 검출되는 CS-GCR데이타와 미리 저장된 표준 CS-GCR데이타와를 부분 선형콘볼루션하여 고스트성분에 관한 데이터를 구한다. 그런 다음, 고스트성분의 데이터에 따라 고스트제거용 필터의 필터계수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므로써 TV영상신호에 포함된 고스트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스트 제거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고스트제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2도는 종래의 GCR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스트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의 장치의 일부에 대한 상세 블럭도.
제5도는 제3도의 장치의 다른 일부에 대한 상세 블럭도.
제6도는 제3도의 장치의 또 다른 일부에 대한 상세 블럭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GCR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제9a도 내지 제9d도는 고스트의 감소상태를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10 : 디지탈필터 13, 120 : GCR검출부
14 : GCR지장부 16, 150 : 필터계수조정부
130 : 선형상관기 140 : 고스트검출부
본 발명은 TV방송신호의 전송시 발생되는 고스트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GCR(Ghost Cancel Reference : GCR이라 함)신호를 사용하여 고스트성분에 따라 적응적으로 필터링하므로써 고스트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스트제거장치이다.
현재의 TV방송신호는 지상방송인 관계로 전송채널을 통과하면서 방사체에 의한 전송신호의 반사, 전송매체인 공기의 비이상적인 채널 특성에 의한 왜곡, 그리고 부가잡음에 의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한다. TV방송신호는 다중경로 채널을 통과하면서 경로에 따른 시간지연의 차 및 신호의 감쇄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신 TV에서는 한 화면에 여러개의 화상이 겹쳐서 나타나는 고스트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고스트현상은 다른 부가잡음보다 화질저하에 주는 영향이 크다. 특히, 문자다중방송과 같은 정보서비스매체의 경우 보다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전송부호가 고스트신호에 의해 다른 부호로 잘못 해석되는 경우 엉뚱한 글자나 도형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같은 고스트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의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서 TV신호의 송신이 GCR신호를 함께 실어서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이 GCR신호를 검출하므로써 전송채널특성에 의한 신호의 왜곡정도를 분석하여 고스트성분을 제거하는 기술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고스트제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제1도의 장치는 다중경로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TV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서, GCR신호가 포함된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11)와, 가변적인 필터계수제어신호에 따라 복합형상신호에서 고스트신호를 제거하는 디지탈필터(12)와, 디지탈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GCR신호를 검출하는 GCR검출부(13)와, 표준 GCR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GCR저장부(14)와, 검출된 GCR신호와 표준 GCR신호간의 오차값을 발생하는 오차발생부(15)와, 오차발생부(15)에서 공급되는 오차값(e)에 따라 디지탈필터(12)의 필터계수를 제어하는 필터계수조정부(16)와, 디지탈필터(12)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부(17)로 이루어진다.
먼저, 송신측에서는 복합영상신호에 GCR신호를 삽입하여 송신하게 되는데, GCR신호는 8개 필드 단위로 구성되고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삽입된다. 제2도는 8개 필드에 삽입도는 GCR 신호의 파형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2도의 GCR신호는 소정 크기의 파형을 갖는 신호(SGCR)와 페데스탈신호(SPED)를 한쌍으로 하며, 이들 2개신호는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인 18H(여기서, H는 수평주사기간) 및 281H에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은 GCR신호가 포함된 복합영상신호를 송신측에서 전송하면, 수신측에서 이를 수신하여 제1도와 같은 고스트제거장치로 공급한다. 그러면 A/D변환부(11)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탈필터(12)로 공급한다. 디지탈필터(12)는 필터계수조정부(16)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필터의 탭계수가 조정되어, 복합영상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을 필터링한다. GCR검출부(13)는 디지탈필터(12)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복합영상신호에서 GCR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GCR저장부(14)는 송신측에서 삽입한 GCR신호와 동일한 표준GCR신호를 미리 저장한다. 오차발생부(15)는 GCR검출부(13) 및 GCR 저장부(14)에서 각각 GCR신호를 공급받아 이들 신호의 오차값을 발생한다. 그러면 필터계수조정부(16)는 오차발생부(15)에서 공급되는 오차값에 따라 가변적으로 필터계수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디지털 필터(12)로 공급한다. 이때, 필터계수제어신호는 오차발생부(15)의 오차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변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고스트제거장치는 S/N가 낮은 GCR신호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필터링시 고스트성분과 고스트이외의 다른 노이즈성분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TV방송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S/N비가 향상된 소정의 GCR신호를 사용하고 고스트성분과 고스트이외의 다른 노이즈성분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하므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고스트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고스트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고스트제거를 위한 소정의 기준신호(GCR신호)를 TV영상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송신수단과, 고스트위치데이타와 필터계수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수신된 TV영상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수단과, 필터수단에서 출력되는 TV영상신호에서 GCR(고스트제거기준)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GCR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GCR 신호와 미리 저장된 표준 GCR신호로 부터 고스트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수단과, 고스트데이타 산출수단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고스트위치데이타를 검출하여 필터수단으로 공급하는 수단과, 고스트데이타 산출수단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고스트가 제거하는 방향으로 필터수단의 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필터계수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필터계수조정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스트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3도의 장치는 고스트성분이 포함된 복합영상신호(VCG)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100)와, 고스트위치데이타와 필터계수제어신호에 따라 A/D 변환부(100)로 부터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VCG)에서 고스트성분을 제거하는 디지탈필터(110)와, 디지탈필터(110)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에서 GCR신호를 검출하는 GCR검출부(120)와, 미리 저장된 표준 GCR검출부(120)에서 검출되는 GCR신호에 대해 고스트위치에 따라 부분선형콘볼루션(partial linear convolution)을 수행하는 선형상관기(130)와,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고스트위치데이타를 출력하는 고스트검출기(140)와,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디지탈필터(110)의 필터계수를 조정하는 필터계수조정부(150)와, 디지탈필터(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복합영상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160)로 이루어진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제3도이 장치에 대한 일부 상세도이고,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GCR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며, 제9도는 반복횟수에 따라 고스트성분이 제거되는 파형을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은 고스트제거를 위한 기준신호로서 제7도와 같은 한쌍 (S-GCR, SC-GCR)의 의사랜덤열(pseudo-random seguence)을 갖는 CS-GCR(Complementary Seguence-GCR)신호를 사용한다. CS-GCR신호는 S-GCR파형과 SC-GCR파형, 그리고 페데스탈파형으로 구성된다. S-GCR파형과 SC-GCR파형은 각각 소정 개수의 데이터별로 이루어지며, 이 한쌍의 파형은 상호 보수의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S-GCR파형과 SC-GCR 파형은 다음의 표1 및 표2와 같이 각각 640개 데이터로 이루어진 의사랜덤열로 구성된다.
표1은 640개의 데이터열로 구성된 의사랜덤 S열을 나타내고, 표2는 640개의 데이터열로 구성된 의사랜덤 SC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1'과 '-1'의 신호로 구성된 CS-GCR신호는 S/N비가 높고, 단단한 하드웨어로 선형콘볼루션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콘볼루션의 결과는 매우 큰 하나의 상관피크(auto-correlation peak)특성을 갖는다. 제7도의 S-GCR파형은 페데스탈파형에 표1과 같은 의사랜덤 S열의 데이터가 부가된 형태이고, SC-GCR파형은 페데스탈파형에 표2와 같은 의사랜덤 SC열의 데이터가 부과된 형태이다.
이와 같은 한쌍의 GCR파형과 페데스탈파형이 수직귀선소거기간 중의 18H 및 281H에 차례로 삽입되어 8필드가 완결단위로 되는 CS-GCR신호로 구성한다. 즉,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드의 18H 또는 281H에 S-GCR, SC-GCR 또는 페데스탈신호가 차례로 삽입된다.
한쌍의 GCR신호와 페데스탈신호는 각 필드에 대해 다음의 필드 및 4개 앞의 필드와 교대의 관계를 가지며 삽입된다. 이때, GCR신호 또는 페데스탈신호가 삽입된 수평주사기간 이전의 수평주사기간에는 고정파형의 신호(A+,A-, B+, B-)가 삽입되어 GCR신호 검출시 GCR파형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고정파형신호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필드 및 4필드 단위로 반복되어 삽입되므로, GCR신호검출시 서로 상쇄된다. 송신측에서는 이러한 CS-GCR신호를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삽입하여 발송한다. 그러면, 임의의 채널특성을 갖는 전송채널을 통해 GCR신호가 포함된 복합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GCR신호를 검출하여 전송시 발생된 고스트성분을 제거한다.
제3도의 장치에서, A/D변환부(100)는 GCR신호가 포함되고 고스트성분이 존재하는 복합영상신호(VCG)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탈 필터(110)는 A/D변환부(100)로 부터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VCG)에서 고스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서, 고스트의 위치 및 크기에 관한 데이터가 제어신호로 공급되어 디지탈필터(110)의 탭계수를 조정하므로써 수신된 복합영상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을 필터링한다. 디지탈필터(110)에서 고스트성분이 제거된 복합영상신호는 D/A변환부(160)로 공급됨과 동시에 GCR검출부(120)로 공급된다. GCR검출부(120)는 복합영상신호에서 8필드단위의 GCR신호를 검출한다. 한쌍의 CS-GCR파형 및 페데스탈파형으로 구성된 8필드의 CS-GCR신호에 대해 다음식 (1)(2)과 같은 연산을 수행하므로써, 송신측에서 각 필드의 해당 수평주사기간에 삽입했던 의사랜덤 S열 (Sg) 및 의사랜덤 SC열(Sgc)이 구해진다.
Sg = (S1-S5+S6-S2)/2
Sgc = (S3-S7+S8-S4)/2
여기서 S1 내지 S8은 제1필드 내지 제8필드에 삽입된 GCR파형 또는 페데스탈파형과 그 이전 수평주사기간에 삽입된 고정파형을 포함하는 신호이다.
GCR검출부(120)에서 검출된 한쌍의 GCR데이타(Sg, Sgc)는 선형상관기(130)로 공급된다. 선형상관기(130)는 송신측에서 삽입한 GCR신호와 동일한 표준 GCR데이타와 GCR검출부(120)에서 검출되는 GCR데이타(Sg, Sgc)에 대해 선형콘볼루션을 수행하여, 고스트의 크기와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는다. 이때, 선형상관기(130)는 고스트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피드백받아 고스트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만 부분적으로 선형콘볼루션을 수행한다. 따라서, 고스트에 관한 데이터(C(t))를 보다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 선형상관기(130)에서 콘볼루션결과 구해진 고스트 관련데이타(C(t))는 고스트검출부(140) 및 필터계수조정부(150)로 각각 공급된다. 그러면, 고스트검출부(140)는 입력되는 고스트관련데이타에서 고스트위치데이타(P)를 검출하여 선형산관기(130)와 디지탈필터(110)로 피드백시킨다. 또한, 필터계수조정부(150)는 선형상관기(130)에서 고스트데이타(C(t))를 공급받아 고스트의 크기를 감쇄시키는 방향으로 디지탈필터(110)의 필터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필터계수제어신호(△hi)를 발생한다. 그러면, 디지탈필터(110)는 고스트검출부(140) 및 필터계수조정부(150)로 부터 고스트위치데이타(P(t))와 필터계수제어신호(△hi)를 공급받아 해당위치의 고스트의 크기를 감쇄시킨다.
제4도는 제3도의 선형상관기(130)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선형상관기(130)는 GCR검출부에서 검출된 한쌍의 GCR데이타(Sg, Sgc)와 고스트검출부(140)의 출력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입력부와, 송신측에서 복합영상신호에 삽입하는 GCR신호와 동일한 한쌍의 GCR 데이터(S-GCR, SC-GCR)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GCR저장부(131)와, 검출된 S-GCR데이타(Sg)와 GCR저장부(131)에서 공급되는 S-GCR데이타를 고스트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부분적으로 선형콘볼루션하는 제1콘볼루션부(132)와, 검출된 SC-GCR데이타(Sgc)와 GCR저장부(131)에서 공급되는 SC-GCR데이타를 고스트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부분적으로 선형콘볼루션하는 제2콘볼루션(133)와, 제1 및 제2콘볼루션부(132, 133)에서 각각 출력되는 콘볼루션결과를 가산하는 가산기(134)와, 가산결과를 '2'로 나누는 디바이더(135)로 이루어진다. 고스트성분의 크기데이타와 위치데이타를 갖는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신호(C(t))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고스트가 발생되는 전송채널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h(t)는 전송채널의 임펄스응답, δ(t)는 주영상신호의 임펄스응답, αk는 k번째 고스트의 크기 (0≤αk≤1), τk는 k번째 고스트의 지연시간이다.
고스트신호는 주영상신호에 비해 어느 정도 시간이 지연되고 크기가 작은 상태이며, 이 고스트신호가 주영상신호에 더해져서 수신된다. 즉, 송신측에서 발송된 신호(S(t))가 식(3)과 같은 특성을 갖는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수신측에 수신된 신호(r(t))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콘볼루션연산, 식(4)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신호(r(t))는 전송하고자 하는 주신호(S(t))에 소정의 크기 및 지연시간을 갖는 고스트성분이 더해진상태가 된다. 이 수신신호(r(t))에서 CS-GCR신호를 검출하여, S-GCR데이타(Sg)와 SC-GCR데이타(Sgc)를 출력한다. 그러면, 선형상관기(130)는 검출된 S-GCR데이타(Sg)와 SC-GCR데이타(Sgc)를 미리 저장된 한쌍의 표준 CS-GCR데이타와 콘볼루션을 수행한다.
만일, 송신신호(S(t))가 이상적인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수신신호(r(t))에 고스트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은 다음과 같다.
식(5)와 같은 선형상관기의 출력(C(t))신호가 제9a도에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상관기의 출력(C(t))은 주영상신호에 해당하는 피크성분만이 존재한다.
한편, 송신신호가 다중경로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수신신호(r(t))에 고스트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은 다음과 같다.
식(6)에 따른 선형상관기의 출력파형은 제9b도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신호에서 k번째 고스트성분의 신호는 주신호에서 소정시간 τk만큼 지연되어 소정의 크기(αk)를 갖는다. 따라서,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신호(C(t))로 부터 고스트의 크기 및 지연시간에 따른 위치데이타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선형상관기(130)는 고스트 검출기에서 피드백되는 고스트위치데이타에 따라 고스트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만 부분적으로 선형 콘볼루션을 수행하므로써 고스트데이타를 구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제5도는 제3도의 필터계수조정부(150)에 대한 상세 블록도를 나타낸다. 필터계수조정부(150)는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현재 신호의 고스트성분의 크기와 1회 반복전의 고스트 성분의 크기와의 오차평균값(E)을 산출하는 오차평균부(151)와, 선형상관기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현재 신호의 고스트성분의 크기와 1회 반복전의 고스트성분의 크기와의 오차값 중 최대값(em)을 검출하는 최대오차검출부(153)와, 오차평균부(151) 및 최대오차검출부(152)의 출력신호를 각각 공급받아 최적계수(x)를 발생하는 최적계수발생부(153)와, 선형상관기의 출력신호(C(t))를 공급받아 고스트 크기를 누산하는 누산기(154)와, 현재의 고스트크기와 누산된 고스트값을 소정비로 혼합하는 혼합기(155)와, 최적계수발생부(153) 및 혼합기(155)의 출력을 공급받아 디지탈필터의 필터계수를 제어하는 탭이득세팅부(156)로 이루어진다.
고스트성분의 크기를 포함하고 있는 선형상관기(130)의 출력신호는 오차평균부(151)와 최대오차검출부(152)로 각각 공급된다.
오차평균부(151)는 현재 얻어진 고스트성분의 크기(α(n))와 1회 반복전에 얻어진 고스트성분의 크기 (α(n-1))에 대해 각 고스트성분의 크기오차를 평균한 값(E)을 산출한다. 또한, 최대오차검출부(152)는 현재 고스트성분의 크기(α(n))와 전번 고스트성분의 크기(α(n-1))에 대한 오차에서 최대값(em)을 산출한다. 고스트제거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고스트성분이 점차 감쇄될수록, 오차평균값(E)과 최대오차값(em)도 점차 감소한다. 만일, 현재의 오차평균값(E(n))이나 최대오차값(em(n))이 전번 단계에서 얻어진 오차평균값(E(n-1))이나 최대오차값(em(n-1))보다 크다면, 이는 고스트성분에 의한 오차값이 아니고 다른 노이즈성분에 의해 발생된 오차값이다.
따라서, 다른 노이즈성분에 의한 오차값이 산출되면 필터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계수조정신호를 일시중단할 필요가 있다. 즉, 다른 노이즈성분에 의한 크기를 고스트제거를 위한 필터계수에 사용하는 경우 고스트성분이 잘못 제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고스트제거과정에서 고스트제거에 가장 적절한 필터계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 최적계수(x)를 발생하는 최적계수발생부(153)이다. 최적계수발생부(153)는 오차평균값(E)과 최대오차값(em)을 공급받아 0≤x≤1의 최적계수(X)를 발생한다. 그러나, 현재의 오차평균값(E(n)이나 최대오차값(em(n))이 전번 오차평균값(E(n-1))이나 최대오차값(em(n-1))보다 큰 경우, 최적계수발생부(153)는 '0'을 출력하여 필터계수가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고스트성분이 잘못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누산기(154)는 반복적으로 공급되는 선형상관기의 출력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의 크기를 계속 누산한다.
그러면, 혼합기(155)는 선형상관기에서 공급되는 현재 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의 크기(α(n))와 누산기(154)에서 공급되는 누산된 고스트크기(αAC(n))를 비례계수(y)에 따라 아래 식(7)과 같은 비율로 혼합한다.
α'(n) = yαAC(n) + (1-y)α(n)
여기서, α'(n)을 혼합기 출력, y는 비례계수(0≤y≤1)이다. 다른 노이즈가 발생하여 S/N비가 저하되는 경우, y값이 증가되어 누산된 고스트크기(αAC(n))가 탭이득세팅부(156)로 전달된다. 이와같이, 계수 'x'와 'y'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고스트제거 과정에서 다른 노이즈의 영향을 안받고 고스트가 제거되는 방향으로 적응적으로 변환되므로써 필터계수를 제어한다. 탭이득세팅부(156)는 최적계수발생부(153)와 혼합기(155)의 출력을 각각 공급받아 필터계수조정신호(△h1i, △h2i)를 출력하여 디지탈필터로 공급한다.
제6도는 제3도의 디지탈필터(110)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디지탈필터(110)는 근접고스트성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111)와, 주신호성분과 떨어져 존재하는 통상고스트성분을 제거하는 제2필터(112)와, 제1필터(111) 및 제2필터(112)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113)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필터(111,112)는 다음과 같은 필터계수를 갖는다.
hi(n) = hi(n-1) + △hi
△hi = x α'(n)
여기서 h1(n)은 현재의 필터계수중 I번째 탭의 계수, hi(n-1)은 전번의 필터계수중 I번째 탭의 계수, △hi는 현재의 단계에서 얻어진 필터계수조정신호이다.
식(8)과 같이, 필터계수는 전번의 필터계수(hi(n-1))에 현재의 단계에서 얻어진 필터계수가산값(△hi)을 가산하여 얻어진다.
제1필터(111)는 주신호성분에 급접해 있는 고스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서, 전술한 탭이득세팅부(156)에서 공급되는 I번째 탭에 대한 제1필터계수가산값(△h1i)을 전번 단계의 필터계수(hi(n-1))에 가산하므로써 필터의 I번째 탭계수(hi(n))가 결정된다. 또한, 제2필터(112)는 탭이득세팅부(156)에서 제2필터계수가산값(△h2i)을 공급받아 필터의 I번째 탭계수(h1i(n))가 결정되고, 전술한 고스트검출부(140)에서 고스트의 지연시간데이타를 공급받아 가변적으로 지연시간을 조정하므로써 주신호성분과 떨어져 존재하는 고스트를 제거한다. 그런다음, 가산기(113)에서 제1필터(111) 및 제2필터(112)의 출력을 가산하므로써 고스트성분이 보다 감쇄된 복합영상신호를 얻는다.
이와 같은 고스트 감쇄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최종에는 고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영상신호를 얻을 수 있다. 제9도의 (b)내지 (d)도는 수신된 복합영상신호에 대한 고스트성분의 필터링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고스트신호가 감쇄되는 파형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스트제거장치는 고스트제거기준신호로서 한쌍의 의사랜덤데이타열로 이루어진 CS-GCR신호를 사용하므로써, 종래의 장치에 사용되는 GCR신호보다 S?N비가 높으며, 2개의 데이터값(+1, -1)으로 구성되어 GCR신호처리를 간단한 구성의 하드웨어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스트성분의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수행되는 검출된 GCR데이타와 미리 저장된 GCR데이타간의 선형콘볼루션을 고스트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수행하므로써 고스트성분의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고스트성분데이타에 따라 고스트제거용 필터의 필터계수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므로써 다른 노이즈성분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고스트성분을 제거한다.

Claims (8)

  1. TV방송신호의 전송시 발생되는 고스트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고스트제거를 위한 소정의 표준기준신호(표준 GCR신호)를 TV영상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으로 부터 임의의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수신된 TV영상신호에서 GCR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GCR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GCR신호와 미리 저장된 상기 표준 GCR신호로 부터 고스트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고스트데이타 산출수단으로 부터 고스트데이타를 공급받아 고스트위치데이타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고스트데이타 산출수단으로부터 고스트데이타를 공급받아 고스트크기가 감쇄하도록 필터의 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필터계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필터계수조정수단과, 상기 고스트위치데이타 검출수단과 필터계수조정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고스트위치데이타와 필터계수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TV영상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을 필터링하는 필터수단을 포함하는 고스트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스트제거를 위한 소정의 기준신호(GCR신호)는 상호 보수관계에 있는 한쌍의 데이터열과 소정의 크기신호로 구성되어 TV영상신호에서 소정갯수의 필드단위로 각 필드의 소정 주사선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상기 필터계수조정수단에서 필터계수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수신된 TV영상신호의 주신호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근접고스트를 제거하는 제1필터와, 상기 필터계수조정수단에서 공급되는 필터계수제어신호와 상기 고스트위치데이타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고스트위치데이타에 따라, 수신된 TV영상신호의 주신호에 근접하지 않은 통상고스트를 제거하는 제2필터와,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스트데이타산출수단은 상기 송신수단에서 TV영상신호에 삽입한 GCR신호와 동일한 한쌍의 표준 GCR신호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GCR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하나의 GCR신호와 이에 상응하는 하나의 표준 GCR신호를 콘볼루션하는 제1콘볼루션수단과, 상기 GCR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다른 GCR신호와 이에 상응하는 다른 표준 GCR신호를 콘볼루션하는 제2콘볼루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스트데이타산출수단은 상기 고스트위치데이타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고스트위치데이타에 따라 부분적으로 콘볼루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계수조정수단은 상기 고스트데이타산출수단에서 고스트데이타를 공급받아 현재의 고스트성분과 1회반복 전의 고스트성분에 대한 오차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고스트데이타산출수단에서 고스트데이타를 공급받아 현재의 고스트성분과 1회 반복전의 고스트성분과의 오차 중에서 최대오차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고스트데이타산출수단에서 고스트데이타를 공급받아 현재의 고스트크기와 1회반복 전까지 고스트크기의 누산값을 가변적인 비율로 혼합하는 수단과, 상기 고스트크기오차평균수단과 고스트크기오차최대치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되는 계수를 발생하는 최적계수발생수단과, 상기 혼합수단과 적응계수발생수단의 출력을 공급받아 상기 필터수단의 각 필터로 필터계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은 고스트데이타산출수단의 출력값에서 고스트이외의 노이즈성분이 증가하면 고스트크기누산값의 혼합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계수발생수단은 상기 필터계수제어신호가 고스트이외의 노이즈성분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가변되는 계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KR1019920008071A 1992-05-13 1992-05-13 고스트 제거장치 KR013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071A KR0130819B1 (ko) 1992-05-13 1992-05-13 고스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071A KR0130819B1 (ko) 1992-05-13 1992-05-13 고스트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47A KR930024447A (ko) 1993-12-22
KR0130819B1 true KR0130819B1 (ko) 1998-04-11

Family

ID=1933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071A KR0130819B1 (ko) 1992-05-13 1992-05-13 고스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47A (ko)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460B1 (ko) Ntsc텔레비젼 전송에서 고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US6122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EP0538466B1 (en) A system for echo cancellation comprising a ghost cancellation reference signal
KR930010427B1 (ko) 다중로 왜곡 보정장치
KR100452860B1 (ko) 훈련 신호를 이용한 적응 등화기용 필터 탭 길이 조정장치 및 방법
JPH06233156A (ja) Tv受信機あるいはビデオレコーダに使用されるゴースト消去基準信号捕捉回路
US5179444A (en) System for echo cancellation comprising an improved ghost cancellation reference signal
JP3097731B2 (ja) Csdコードを用いたゴースト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US51112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identification and signal restoration
EP0600739A2 (en) Video ghost cancellation
KR960013223B1 (ko) 텔레비젼 신호용 고스트제거장치
KR0130819B1 (ko) 고스트 제거장치
US5311312A (en) Ghost cancell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perform a correlative operation to speed processing
US20060152630A1 (en) Video signal processor,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TV broadcasting receiving set
EP0561556A1 (en) Video signal equalizer
KR0139191B1 (ko) 고스트제거장치
US51722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identification and signal restoration
US7471341B2 (en)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for a blind ghost cancellation on an SD video
JP2940326B2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H0211069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KR0144839B1 (ko) 고스트제거장치
JP2758961B2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287132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Lei et 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blind TV ghost cancellation
KR970008093B1 (ko) 고스트 제거전후 화면 밝기 변화의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