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17B1 -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17B1
KR0130817B1 KR1019920010616A KR920010616A KR0130817B1 KR 0130817 B1 KR0130817 B1 KR 0130817B1 KR 1019920010616 A KR1019920010616 A KR 1019920010616A KR 920010616 A KR920010616 A KR 920010616A KR 0130817 B1 KR0130817 B1 KR 013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cr
line
standard
com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672A (ko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1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17B1/ko
Publication of KR94000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S-GCR신호, SC-GCR신호, 페데스탈신호로 구성되는 GCR신호를 포함하는 TV영상신호에서 GCR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필드에 존재하는 GCR라인과 표준 GCR신호를 인가받아 그 신호들이 동일한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GCR라인에 GCR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논리합회로와,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필드의 GCR라인에 어떤 GCR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하는 수단을 구비한 GCR신호판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TV신호의 필드에 GCR신호가 존재하는지 그 여부를 검사하며 또한 필드에 포함된 GCR신호가 어떤 GCR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GCR신호를 구성하는 기본파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CR신호를 구성하는 기본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CR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GCR신호 판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부의 상세블록도.
제6도는 GCR신호의 허용범위를 나타내는 도식.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9,10 : 롬(ROM) 11,12,13 : 비교기
14 : 논리합회로 15 : 식별자(Indentifier)판정부
21,22 : 래치(Latch) 23 : 배타적 NOR회로
24,25 : 카운터기 26 : 판정기
본 발명은 TV영상신호에 포함된 GCR(Ghost Cancel Reference ; 이하 GCR이라 함)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필드단위로 구성되는 GCR신호에 대해 각 필드에 존재하는 GCR라인의 샘플링데이타를 검사하여 각 GCR신호의 존재유무를 판정하며 동시에 각 GCR라인에 어떤 GCR신호가 포함되는지를 식별하는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TV방송신호는 지상방송인 관계로 전송채널을 통과하면서 반사체에 의한 전송신호의 반사, 전송매체인 공기의 비이상적인 채널특성에 의한 왜곡, 그리고 부가잡음 등에 의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한다. TV방송신호는 다중경로채널을 통과하면서 경로에 따른 시간지연의 차 및 신호의 감쇄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신 TV에서는 한 화면에 여러개의 화상이 겹쳐서 나타나는 고스트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고스트현상은 다른 부가잡음보다 화질저하에 주는 영향이 크다. 특히, 문자다중방송과 같은 정보서비스매체의 경우 보다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전송부호가 고스트신호에 의해 다른 부호로 잘못 해석되는 경우 엉뚱한 글자나 도형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스트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의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의 하나로서 TV신호의 송신시 소정의 GCR신호를 함께 실어서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이 GCR신호를 검출하므로써 전송채널특성에 의한 신호의 왜곡정도를 분석하여 고스트성분을 제거하는 기술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송신측에서는 방송하고자 하는 TV영상신호에 소정의 GCR신호를 삽입하여 발송한다. 제1도에는 종래에 사용되는 GCR신호의 기본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의 (a)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GCR파형이고, (b)는 폐데스탈(Pedestal)파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2가지 기본파형이 TV영상신호의 각 필드의 소정위치에 일정규칙으로 삽입된다. 즉, GCR신호를 구성하는 2개 기본파형은 일본의 경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인 18H 및 281H에 각각 삽입되며, 이러한 GCR신호는 8개 필드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GCR신호 판별방식에서는 GCR신호의 S/N비가 낮기 때문에 수신측에서 TV영상신호에 포함된 GCR신호를 검출할 때 노이즈성분에 의해 오검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N비가 개선된 새로운 GCR신호가 삽입되어 전송된 TV영상신호에서 GCR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GCR신호가 삽입되어 전송된 TV 영상신호에서 GCR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TV영상신호중에서 GCR신호를 삽입하는 GCR라인에 포함된 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GCR라인의 신호와 소정의 표준 GCR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상기 소정의 표준 GCR신호중 S-GCR신호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와,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상기 소정의 표준 GCR신호중 SC-GCR신호를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와,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상기 소정의 표준 GCR신호중 페데스탈신호를 비교하는 제3비교단계와, 상기 세 비교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GCR라인에서 GCR신호의 존재유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세 비교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GCR라인에서 어떤 GCR신호가 들어있는지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CR신호판별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V영상신호중에서 GCR신호를 삽입하는 GCR라인에 포함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판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가 동일한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 1비교수단과, 수신되는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C-GCR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C-GCR신호가 동일한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 2비교수단과, 수신되는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가 동일한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3비교수단과, 상기 세 개의 비교수단에서 출력하는 이진신호들을 입력받아 그 신호들을 논리합연산하여 생성되는 GCR라인에서의 GCR신호 존재유무에 관한 정보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논리연산수단과, 상기 세 개의 비교수단에서 출력하는 이진신호들을 입력받아 GCR라인에 어떤 GCR신호가 들어있는지를 식별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식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 신호판별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GCR신호의 기본파형들을 나타낸다. 제2도의 (a)는 S-GCR파형, (b)는 SC-GCR파형, 그리고 (c)는 페데스탈파형을 각각 나타낸다. S-GCR파형과 SC-GCR파형은 각각 소정 개수의 데이터로 구성된 랜덤데이타열로서, 서로 보수의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파형들로 이루어지는 CS-GCR(Complementary Sequence-GCR)신호가 제3도에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GCR신호는 8개 필드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이루어지며 각 필드의 소정 주사선에 제2도의 (a),(b) 및 (c)파형이 일정 규칙을 갖고 차례로 삽입된다. 또한, GCR신호가 삽입되는 주사선의 앞 주사선에는 임의의 고정파형(A+,A-,B+,B-)을 갖는 신호가 삽입되어 GCR신호 검출시 서로 상쇄된다(여기서, 고정파형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님).
제4도에는 이와 같은 GCR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4도의 장치는 GCR라인의 신호를 인가받아 표준 GCR신호와 비교하는 수단과 비교수단에서 출력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필드에 GCR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논리합회로(14) 및 비교수단에서 출력하는 데이터로 부터 각 필드(field)에 있는 GCR신호의 식별자(Identifier)를 판정하는 식별자판정부(15)를 구비한다. 상술의 비교수단은 GCR 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Rs)를 비교하는 제1비교부(11),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Rsc)를 비교하는 제2비교부(12) 및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RPED)를 비교하는 제3비교부(13)를 GCR라인의 신호가 입력하는 단자(a)에 대하여 병렬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1비교수단(11)은 표준 S-GCR신호를 내장한 제1롬(ROM)(8)에 연결되며 제2비교수단(12)은 표준 SC-GCR신호를 내장한 제2롬(9)에 연결되고 제3비교수단(13)은 표준 페데스탈신호를 내장한 제3롬(10)에 연결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부의 상세블록도로서, 세 개의 비교부(11,12,13)에 대하여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비교부는 표준 GCR신호를 저장하는 제1래치(21) 및 GCR라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래치(22)와 상기 래치들의 출력을 논리연산하는 배타적NOR회로(23)와 배타적 NOR회로(23)의 출력신호를 카운팅하는 제1카운터기(24)를 구비한다. 또한 비교부는 래치(21, 22) 및 카운터기(24)에 인가되는 클럭신호(CLK)를 카운팅하는 제2카운터기(25)와 두 개의 카운터기(24, 25)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GCR신호 일치여부를 판정하는 판정기(26)를 포함한다.
상술의 표준 GCR신호는 송신측에서 생성되는 GCR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전혀 왜곡이 없는 GCR신호이며, GCR라인은 GCR신호가 들어 있는 수평주사선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 송신될 때의 GCR신호는 대기중을 통과하는 과정 또는 수신측의 전송채널을 통과하면서 신호의 왜곡 또는 지연등으로 인하여 원래의 GCR신호와는 어느 정도 다른 GCR신호로 변형되어 비교수단에 의하여 비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산업공합의 품질관리분야에서 제품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축차발췌검사법을 이용하는 비교부(11,12,13)를 구상하여 송신측에서 송출되는 GCR신호가 전송과정에서 허용범위이내의 왜곡을 갖는 경우는 GCR신호로 인정한다.
축차발췌검사법에서 사용하는 식을 아래에 표시한다.
X1 = S·n + h2
X2 = S·n - h1
위에서 나타낸 식들의 변수들을 전송과정에서의 GCR신호 왜곡과 관련하여 정의한다. X₁과 X₂는 GCR신호의 일치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GCR라인의 신호에서 추출한 데이터와 표준 GCR신호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의 개수가 X1이상이면 표준 GCR신호와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며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의 개수가 X2이하인 경우는 GCR라인에 놓인 신호와 표준 GCR신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n은 GCR라인 데이터열에서 추출한 데이터와 표준 GCR신호 데이터열에서 추출한 데이터의 비교횟수를 나타낸다. 또한, 송신측에서 발생하는 GCR신호의 왜곡정도를 P1으로 표시하며 그 신호를 수신측에서 오인할 확률을 α로 나타내고, 수신측에서 수신되는 GCR신호의 왜곡정도를 P2로 표시하며 수신측에서 이런 왜곡이 있는 GCR신호를 표준 GCR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허용할 확률을 β로 나타낸다. 실제로는 송신측에서 발생하는 GCR신호는 왜곡이나 지연이 없으므로 송신측에서 발생하는 GCR신호의 왜곡정도는 0%이다. 따라서 송신측에서 1% 이하의 왜곡을 갖는 GCR신호를 송출하며 수신측에서는 신호를 오인할 확률5%로 GCR신호를 수신한다고 정한다. 또한, 수신측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6%의 왜곡을 가진 것으로서 표준 GCR신호와의 비교에 의해 GCR신호로 허용되는 확률이 10%인 경우로 정한다. 즉, P1=0.01, α=0.05, P2= 0.06, β=0.1로 정한다. 상술한 확률값들은 시스템의 신뢰도 및 GCR신호의 왜곡에 관련된 값으로 이러한 확률값들을 조정함으로써 노이즈나 고스트에 의한 영향을 시스템에 반영하여 시스템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GCR신호의 왜곡정도를 나타내는 상술의 확률값들을 위 식(3), (4), (5)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h1=1.2211, h2=1.5678, S=0.02811을 얻는다. 또한, n=0과 n=100 즉, GCR라인의 신호에서 추출한 데이터와 표준 GCR신호 데이터열에서 추출한 데이터의 비교를 0회 실시한 경우와 100회 실시한 경우의 X1과 X2값을 식 (1) 및 식 (2)을 이용하여 구해보면 아래와 같다.
n = 0일 때
X₁= S·n + h₂= 0 + 1.5678 = 1.5678
X₁= S·n - h₂= 0 - 1.2211 = -1.2211
n = 100일 때,
X₁= 0.02811 × 100 + 1.5678 = 4.3788
X₂= 0.02811 × 100 - 1.2211 = 1.5899
위에서 계산한 값들을 이용하여 n과 X의 그래프로 나타내면 제6도와 같다. 제6도는 GCR신호의 허용범위를 나타내는 도식으로서, 추출되는 GCR라인에 놓인 신호의 데이터열과 표준 GCR신호 데이터열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의 비교횟수(n)를 수평축으로 하고, 비교에서 발생한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의 발생횟수(X)를 그 수직축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5도에서 n=44이상이며 동시에 X2이하인 영역은 GCR라인의 신호를 표준 GCR신호와 동일하다고 판정하는 영역이다. 반면에 X1이상의 영역에 속하는 경우는 그 신호를 표준 GCR과 다른 것으로 판정하고, X1과 X2사이의 영역은 GCR신호 일치여부를 명확하게 결정하지 못하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제6도를 보다 명료하게 표시하면 아래 표1과 같다.
위의 표에서 n의 범위는 추출한 데이터의 비교횟수를 나타낸 것으로 비교횟수의 범위가 2∼15인 경우에 2개 이상의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발생하면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GCR는 다른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n이 0∼43의 범위를 갖는 경우는 X의 값에 따라 제5도 X과 X사이 또는 X이상에 해당한다. n의 범위가 44∼80의 경우에는 비교되는 추출데이타가 모두 동일하여야만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GCR신호는 동일하다고 판정한다.
입력단자(a)로 인가되는 GCR라인에 놓인 신호는 4fsc의 주파수간격으로 샘플링된 데이터이다. 이런 데이터형태를 갖는 GCR라인의 신호가 TV영상신호의 필드에서 검출되어 제1비교부(11)에 입력되면, 제5도의 구성을 갖는 제1비교부(11)에서는 다른 단자(b)로 입력하는 표준 S-GCR신호와 상술한 소정의 필드에서 검출되는 GCR라인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이진신호를 출력한다.
제5도에서 소정의 제어수단(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에서 발생하는 4fsc크기의 클럭신호(CLK)가 제1래치(21) 및 제2래치(22)로 인가되면, 표준 S-GCR신호의 데이터열을 저장하는 제1래치(21)에서는 인가되는 클럭신호(CLK)에 따라 4fsc 크기에 해당하는 표준 S-GCR신호의 샘플링데이타를 출력하며 또한 상술의 GCR라인의 신호를 4fsc의 샘플링주파수간격으로 샘플링된 데이터열형태로 저장하는 제2래치(22)에서는 상기 제1래치(21)와 동일한 클럭신호를 인가받아 4fsc크기에 해당하는 샘플링데이타를 출력한다. 두 개의 래치(21,2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배타적 NOR회로(23)에 의하여 논리연산되어 1 또는 0의 데이터로 출력된다. 즉, 일반적인 배타적 NOR논리(Exclusive NOR Logic)에 따라 배타적NOR회로(23)는 제1래치(21) 및 제2래치(22)의 출력데이타가 동일하면 1을 출력하며 그 출력데이타가 다른 경우는 0을 출력한다. 배타적 NOR회로(23)에서 출력하는 1 또는 0의 데이터가 제1카운터기(24)에 입력하면, 제1카운터기(24)는 상술한 클럭신호(CLK)를 인가받아 입력하는 0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판정기(26)로 출력한다. 또한 제2카운터기(25)에서는 래치에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그 데이터를 판정기(26)로 출력한다.
제6도 또는 표1을 구현한 조사테이블을 내장한 판정기(26)에서는 상술의 카운터기(24,25)의 출력신호, 즉, 샘플링데이타의 비교횟수(n)와 비교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횟수(X)를 입력받아 내장된 조사테이블(Look up table)에 의해 결정되는 GCR신호 일치여부의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한다. 즉, 비교횟수(n)와 데이터불일치횟수(X)에 따라 결정되는 GCR신호의 일치여부에 대한 결과중에서 초기상태 또는 재검사인 경우 비교를 계속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0, 그리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1의 이진신호로 각각 출력한다.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의하여 비교횟수(n)가 초기값 0에서 시작하여 계속 증가한다.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회의 샘플링데이타비교에서 모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판정기(26)에서는 GCR라인에 놓인 신호와 S-GCR신호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며 그에 해당하는 이진신호 0을 출력한다. 만일 2회의 샘플링데이타비교에서 한 번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그 경우는 일치여부를 판정하지 못하므로 0을 출력하고, 계속적으로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비교횟수를 증가시키면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횟수를 카운팅한다. 비교횟수(n)가 43회 이하인 경우에는 표1에 나타난 비교횟수와 데이터불일치횟수 사이의 관계에 따라 데이터비교횟수를 늘이거나 또는 S-GCR신호 불일치에 따른 이진신호 0을 출력한다. 비교횟수가 44회 이상인 경우중에서 그 비교횟수가 44∼88의 범위에 속하면서 데이터불일치횟수가 0이면 GCR라인의 신호는 표준 S-GCR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판정하여 이진횟수 1을 출력하며 데이터불일치횟수가 1 이상이면 불일치횟수(X)와 비교횟수(n)에 따라 결정되는 0 또는 1의 이진신호를 출력한다.
입력단자(a)로 입력하는 GCR라인의 신호가 S-GCR신호인 경우는 제2비교부(12) 및 제3비교부(13)에서는 2화의 데이터비교만으로도 GCR 신호불일치판정을 내리지만, 제1비교부(11)에서는 44회 이상의 샘플링데이타비교를 실행하여야 GCR신호일치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2비교부(12) 및 제3비교부(13)에서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비교가 이루어지면 그 결과는 1 또는 0의 이진신호로 출력된다. 즉, 제2비교부(12)에서는 입력단자(a)로 인가되는 신호에 대하여 다른 단자(c)를 통하여 제2롬(9)으로 부터 인가되는 표준 SC-GCR신호(Rsc)에 대하여 상술의 제1비교부(11)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하여 그 신호가 일치하면 1을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또한, 제3비교부(13)에서는 입력단자(a)로 인가되는 신호에 대하여 다른 단자(d)를 통하여, 제3롬(10)으로부터 인가되는 표준 페데스탈신호(RPED)를 제1비교부(11)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하여 상술의 비교부(11,12)에서 처림 1 또는 0을 출력한다.
상술한 비교부(11,12,13)는 GCR신호를 포함하는 하나의 필드에 대하여 제1비교부(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1이면 나머지 제2비교부(12)와 제3비교부(13)는 0을 출력한다. 즉, 동일한 GCR라인에 놓인 신호를 새개의 비교부(11,12,13)가 동시에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세 개의 비교부(11,12,13)에서 출력되는 1 또는 0의 이전신호는 논리합회로(14) 및 식별자판정부(15)로 보내진다. 식별자(Identifier)는 임의의 필드에 어떤 GCR신호가 들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S-GCR신호, SC-GCR신호, 페데스탈신호를 일컫는 것이다. 논리합회로(14)는 세 개의 단자로 입력하는 이진신호를 이용하여 GCR신호가 삽입되는 수평주사구간(GCR라인)에 GCR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그 수평주사구간에 GCR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하며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또한, 식별자판정부(15)는 제1비교부(11)에서의 출력신호가 1이면, 식별자 S-GCR에 대응하는 1을 출력하며 제2비교부(12)에서의 출력신호가 1이면 식별자 SC-GCR에 대응하는 1을 출력하며 제2비교부(12)에서의 출력신호가 1이면 식별자 SC-GCR에 대응하는 10를 출력하고 제3교부(13)에서의 출력신호가 1이면 식별자 페데스탈에 대응하는 11을 출력한다. 그리고 비교부(11,12,13)모두가 0 또는 1의 신호를 출력하면 에러(error)신호 0를 출력한다. 따라서, 식별자판정부(15)의 출력신호부터 GCR라인데이타(DGCR)에 들어 있는 데이터가 S-GCR신호, SC-GCR신호, 페데스탈신호중에서 어떤 GCR신호인지를 식별한다.
상술의 축자발췌검사법에서 사용한 변수들은 고스트나 노이즈의 영향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타적NOR회로를 배타적OR회로로 변형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CR신호판별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GCR신호가 삽입되어 전송된 TV영상신호에서 각 필드의 소정주사선에 존재하는 GCR라인에 삽입된 데이터가 GCR신호인지를 검사하며 또한 그 데이터가 어떤 GCR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차발췌검사법을 이용함으로써 고스트나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TV영상신호중에서 GCR신호를 삽입하는 GCR라인에 포함된 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GCR라인의 신호와 소정의 표준 GCR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상기 소정이 표준 GCR신호중 S-GCR신호를 비교하는 제1비교단계와,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상기 소정의 표준 GCR신호중 SC-GCR신호를 비교하는 제2비교단계와,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상기 소정의 표준 GCR신호중 페데스탈신호를 비교하는 제3비교단계와, 상기 세 비교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GCR라인에서 GCR신호의 존재유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세 비교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GCR라인에서 어떤 GCR신호가 들어있는지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CR신호판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비교단계는 비교과정에 이용되는 각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의 일치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비교단계는 비교과정에 이용되는 각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C-GCR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C-GCR신호의 일치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비교단계는 비교과정에 이용되는 각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의 일치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 신호 판별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수 초기화단계는 축차발췌검사법을 이용함으로써 노이즈나 고스트의 영향에 따라 변수초기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방법.
  6.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정단계는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GCR신호에서 서로 대응하는 샘플링간격크기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비교하는 추출비교단계와, 상기 추출비교의 결과 및 변수초기값을 이용하여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GCR신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초기화된 변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 신호판별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GCR신호 존재유무검출단계는 논리연산중에서 논리합연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방법.
  8. TV영상신호중에서 GCR신호를 삽입하는 GCR라인에 포함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판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가 동일한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1비교수단과, 수신되는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C-GCR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C-GCR신호가 동일한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2비교수단과 수신되는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가 동일한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3비교수단과, 상기 세 개의 비교수단에서 출력하는 이진신호들을 입력받아 그 신호들을 논리합연산하여 생성되는 GCR라인에서의 GCR신호 존재유무에 관한 정보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논리연산수단과, 상기 세 개의 비교수단에서 출력하는 이진신호들을 입력받아 GCR라인에 어떤 GCR신호가 들어있는지를 식별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식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비교수단은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GCR라인의 데이터와 표준 S-GCR신호의 데이터를 상기 클럭신호와 동일한 샘플링 시간간격단위로 입력받아 그 데이터들이 동일한 것인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1샘플링데이타비교부와, 상기 샘플링데이타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이진신호를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카운팅하는 제1카운터와, 상기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2카운터와 상기 제1카운터 및 제2카운터의 출력신호와 노이즈나 고스트의 영향을 반영하는 축차발췌검사법에 의하여 결정된 판정기준값을 사용하여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GCR신호가 동일한지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1판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2비교수단은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GCR라인의 데이터와 표준 SC-GCR 신호의 데이터를 상기 클럭신호와 동일한 샘플링 시간간격단위로 입력받아 그 데이터들이 동일한 것인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2샘플링데이타 비교부와, 상기 제2샘플링데이타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이진신호를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카운팅하는 제3카운터와, 상기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4카운터와, 상기 제3카운터 및 제4카운터의 출력신호와 노이즈나 고스트의 영향을 반영하는 축차발췌검사법에 의하여 결정된 판정기준값을 사용하여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SC-GCR신호가 동일한지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2판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제3비교수단은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GCR라인의 데이터와 표준 페데스탈신호의 데이터를 상기 클럭신호와 동일한 샘플링 시간간격단위로 입력받아 그 데이터들이 동일한 것인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3샘플링데이타비교부와, 상기 제3샘플링데이타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이진신호를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카운팅하는 제5카운터와, 상기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6카운터와, 상기 제5카운터 및 제6카운터의 출력신호와 노이즈나 고스트의 영향을 반영하는 축차발췌검사법에 의하여 결정된 판정기준값을 사용하여 GCR라인의 신호와 표준 페데스탈신호가 동일한지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제3판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판별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링데이타비교부는 샘플링주파수간격 4fsc로 샘플링된 표준 GCR신호를 4fsc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시간간격으로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저장 및 출력하는 제1래치와, 샘플링주파수간격 4fsc로 샘플링된 GCR라인의 신호를 4fsc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시간간격으로 인가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저장 및 출력하는 제2래치와, 상기 제1래치 및 제2래치의 출력신호를 배타적NOR논리에 따라 논리연산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CR신호 판별장치.
KR1019920010616A 1992-06-18 1992-06-18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KR013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616A KR0130817B1 (ko) 1992-06-18 1992-06-18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616A KR0130817B1 (ko) 1992-06-18 1992-06-18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672A KR940001672A (ko) 1994-01-11
KR0130817B1 true KR0130817B1 (ko) 1998-04-11

Family

ID=1933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616A KR0130817B1 (ko) 1992-06-18 1992-06-18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672A (ko) 199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9577A (en) System for evaluating similar objects
US4413282A (en) Television ghost signal detection during the video information interval
US4907269A (en) Process and circuit layout for the recognition of an identification sign (signum) contained in a video signal
JPH10224338A (ja) 同期検出回路
US6175391B1 (en) Digital TV receiver
KR0130817B1 (ko)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US7190739B2 (en) Regenerator circuit of serial data and method of regenerating the same
US5003390A (en) Search and lock technique for reliable acquisition of data transmitted via television signals
US6160589A (en) Video frame detector readily adaptable to video signal formats without manual programming and method for same
EP0403003B1 (en) Teletext decoders
KR100328323B1 (ko) 동기압축형스크램블링된비디오신호의보조비디오정보코드보정시스템
US6133959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ync signal from digital TV signal
KR0155730B1 (ko) 뮤트회로 및 방법
US5363145A (en) Detecting method of start signal of ghost cancelling reference signal and circuit thereof
KR0130818B1 (ko)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KR0167903B1 (ko) 데이터 추출회로
US74601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 of data signal utilizing synchronization symbols
GB2156189A (en) Digital word synchronizing arrangements
EP0062999B1 (en) Television ghost signal detection during the video information interval
EP0554041A1 (en)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digital signal code
JPH05137027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KR0124178B1 (ko) 개선된 필터계수 계산방법
KR100263707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수평 동기 신호 검출 장치
JPH05130458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2000134589A (ja) テレビジョン信号ラインサーチ方法およびラインサー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