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81Y1 -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81Y1
KR0129781Y1 KR2019920026182U KR920026182U KR0129781Y1 KR 0129781 Y1 KR0129781 Y1 KR 0129781Y1 KR 2019920026182 U KR2019920026182 U KR 2019920026182U KR 920026182 U KR920026182 U KR 920026182U KR 0129781 Y1 KR0129781 Y1 KR 0129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knockout
punch
upper holder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26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775U (ko
Inventor
김창갑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20026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81Y1/ko
Publication of KR940014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 금형 넉아웃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크(Shank) 및 상부 홀더(Holder)의 구조를 변경개선한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복합 금형 넉아웃 취출장치는 종축방향으로 평행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홀더와 그 상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종축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생크(Shank)와, 그 하면부에 적층화되어 상기 상부 홀더에 결합되는 펀치 고정판과 다이(Die)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와 생크사이에 밀판이 안착되고, 상기 생크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한 넉아웃 핀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부 홀더 및 펀치 고정판에는 상하유동이 가능한 밀핀이 동일축 선상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 고정판의 하면부 중심축상의 피어싱(Piercing) 펀치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적 특성을 가진 본 고안의 복합 금형 넉아웃 취출장치는 종래와 같이 상부 홀더 내부에 밀판 안착을 위한 공동부를 혈성시킬 필요가 없고, 펀치 밀림이 없어 펀치 받침판이 불필요하게 된다.

Description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제1도는 종래의 복합 금형의 넉아웃(Knock out) 취출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넉아웃 핀(Knock out pin) 2 : 밀 판
3 : 밀 핀(pin) 4 : 넉아웃(Knock out)
5 : 피어싱 펀치(Piercing punch) 6 : 펀치 고정판
7 : 다이(Die) 8 : 생크(Shank)
9 : 펀치 받침판 10 : 상부 홀더(Holder)
본 고안은 복합 금형의 넉아웃(Knock out)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크(Shank) 및 상부 홀더(Holder)의 구조를 변경 개선한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한 제품이 완성되어져 나오기까지는 여려가지 작업공정을 거치게 된다. 물론, 아주 단순한 공정 한 두 단계를 거쳐 곧바로 시중으로 나오는 제품도 있지만, 대개는 여러 가지 복합공정을 거쳐 완제품이 된다.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산품들 중에서 많은 수가 공작기계 혹은 그와 관련된 유사 기계장치들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이를테면, 손톱깎기의 경우 선반(旋盤)등의 공작계로 할 수 있는 작업이 거의 다 포함되어 있다. 즉, 소정 두께의 철판을 설계치의 크기로 잘라내는 절단작업, 어떤 형태를 위한 벤딩(bending)작업, 구멍을 뚫는 펀칭작업등 하나의 손톱깎기가 완성되어 나오기 까지는 여러 작업공정을 두루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어떤 재료를 단계적으로 가공형성하여 완성된 제품이 있는가 하면, 미리 어떤 형태로 만들어진 형틀(mold)에 의해 한번에 소망하는 형태의 물건을 제작해내는 금형작업(molding)에 의한 제품도 꽤 있다.
첨부 도면의 제1도에는 그와 같은 금형작업에 사용되는 금형(Die)중에서 컴파운드 다이(Compound Die)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축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생크(Shank)(8)가 상부 홀더(10)에 탭에 의해 스크류체결로 축중심부에 직립 고정되어 있고, 넉아웃 핀(Knock out pin)(1)은 상기 생크(Shank)(8)의 관통공 및 상부 홀더(10)에 걸쳐 삽입되어 있으며, 그 하단이 상부 홀더(10) 내부의 공동부에 안착되어 있는 밑판(2)에 닿아 있다. 그리고, 그 밑판(2) 하부에 펀치 받침이(9)이, 그 하부에 펀치 고정판(6)이, 그리고 그 하부에 다이(7)가 위치해 있고, 밑핀(3)이 상기 펀치 받침판(9)과 펀치 고정판(6)의 관통공에 연속 삽입되어 그 상단 밑판(2)의 하면부에 접해있고, 하단은 넉아웃(4)에 닿아 있다. 한편, 천공(穿孔)을 위한 피어싱(Piercing) 펀치(5)는 상기 펀치 받침판(9)의 하면상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 컴파운드 다이의 넉아웃 취출과 관련해서 그 작용을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프레스(press) 기계에 설치되어 있는 넉아웃 바(Knock out bar)가 상기 넉아웃 핀(1)을 누르면 이 넉아웃 핀(1)의 하단에 접해 있는 밑판(2)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그 밑판(2)은 연속해서 밑핀(3)을 누르게 되고. 이 힘은 상기 밀핀(3)의 하단에 접해 있는 타발이 완료된 넉아웃(4) 구조물에 전달되어 결국 그 구조물을 다이(7) 밖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넉아웃 취출장치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부 홀더(10)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동부를 가공 형성시켜야 하고, 이 공동부로 인해 피어싱(Piercing) 펀치(5)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펀치 받침판(9)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부 홀더(10)에 생크(Shank:8)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홀더(10)의 몸체에 나사형 텝을 형성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홀더 및 생크(Shank)의 구조를 변경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구성을 단순화시킨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는, 종축방향으로 평행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진 상부 홀더와 그 상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종촉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 형태의 생크(Shank)와, 그 하면부에 적층화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펀치 고정판과 다이(Die)를 구비하는 복합금형 넉아웃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와 생크사이에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밀판이 안착되고, 상기 생크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한 먹아웃 핀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부 홀더 및 펀치 고정판에는 상하유동이 가능한 밀핀이 동일축 선상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 고정판의 하단부 중심축상의 피어싱(piercing) 펀치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복합 금형 넉아웃 취출장치에 대한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장치의 중심부에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상부 홀더(10)가 위치하고, 그 상면부에 단면의 모습이 역Y자형인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생크(Shank:8)가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생크(8)의 낮은 원통형 측벽을로 둘러 싸인 공동부에는 소정 두께 및 폭을 가진 밀판(2)이 안착되어 있고, 그 측벽에는 생크 고정용 나사구멍(11)형성되어 있어 나사 혹은 볼트조임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홀더(10)에도 그 하면부의 펀치 고정판(6)을 결합시키기 위한 텝홀(12)이 형성되어 볼트체결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부 홀더(10)의 중심축선에 평행한 관통공이 중심축선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축 양편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바로 상기 상부 홀더(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펀치 고정판(6)에도 상부 홀더(10)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몸체에 걸쳐 하나의 동일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에는 밀핀(3)이 두 개의 몸체에 걸쳐서 각각 삽입되어, 그 밀핀(3)의 상단은 상기 밀핀(2)의 하면부에, 그리고, 그 하단은 넉어웃(Knock out)(4)에 각각 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펀치 고정판(6)의 중심부에는 피어싱(Piercing) 펀치(5)가 고정정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있어서, 프레스(Press)기계에 설치되어 있는 넉아웃 바(Knock out bar)가 넉아웃 핀(1)을 누르면 생크(8)속에 설치된 밀판(2)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이 밀핀(2)은 구 하면부에 있는 밀핀(3)을 누르게 되고, 이 하강하는 밀핀(3)에 의해 넉아웃(4) 구조물은 다이(7) 밖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금형 넉아웃(Knock out) 취출장치는 밀판을 생크내에 설치하므로써 종래와 같이 상부 홀더 내부에 밀판 안착을 위한 공동부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이러한 공동부가 없기 때문에 펀치 밀림이 없어 펀치 받침판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단순화로 인한 경제적으로 이득의 효과가 종래에 비해 월등하게 될 것이다.

Claims (2)

  1. 종축방향으로 평행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진 홀더(10)와 그 상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종축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 형태의 생크(Shank)(8)와 그 하면부에 적층화 되어 상기 홀더(10)에 결합되는 펀치 고정판(6)과 다이(Die)(7)를 구비하는 복합금형 넉아웃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10)와 생크(8) 사이에 소정에 두께와 폭을 갖는 밀판(2)이 안착되고, 상기 생크(8)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한 넉아웃(Knock out) 핀(1)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부 홀더(10) 및 펀치 고정판(6)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한 밀핀(3)이 동일축 선상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 고정판(6)의 하면부 중심축에 피어싱(Piercing) 펀치(5)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금형 넉아웃 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8)의 선단부에 소정 높이의 원통부재에 의한 내부 공동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금형 넉아웃 취출장치.
KR2019920026182U 1992-12-23 1992-12-23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KR0129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6182U KR0129781Y1 (ko) 1992-12-23 1992-12-23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6182U KR0129781Y1 (ko) 1992-12-23 1992-12-23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75U KR940014775U (ko) 1994-07-16
KR0129781Y1 true KR0129781Y1 (ko) 1999-01-15

Family

ID=1934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26182U KR0129781Y1 (ko) 1992-12-23 1992-12-23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78B1 (ko) * 2007-09-03 2008-11-17 (주)인터플렉스 넉아웃 프레스 가공장치
KR101386455B1 (ko) * 2012-08-24 2014-04-17 주식회사 우진정공 판재의 펀칭을 위한 프레스 기계의 조립식 상부 펀칭 다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78B1 (ko) * 2007-09-03 2008-11-17 (주)인터플렉스 넉아웃 프레스 가공장치
KR101386455B1 (ko) * 2012-08-24 2014-04-17 주식회사 우진정공 판재의 펀칭을 위한 프레스 기계의 조립식 상부 펀칭 다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775U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25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end-controlling straps in sheet material
US20010039865A1 (en) Stamping die for producing smooth-edged metal parts having complex perimeter shapes
US2371565A (en) Punch and die mechanism
JPH0952141A (ja) ボルトの成形方法
KR0129781Y1 (ko) 복합 금형의 넉아웃 취출장치
IL41341A (en) Combination of readily removable punch and die members
US4932234A (en) Method of forming tappet adjusting screws
KR20090092921A (ko) 개선된 인서트 전조 다이와 이를 통한 인서트의 생산방법
US3359580A (en) Method for producing shaped-head screws and tool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09830004U (zh) 一种汽车电磁阀压板冲压成型一体模具
JP2000210732A (ja) プレス打ち抜き製品のバリなし加工方法
CN112475014A (zh) 一种双向弯曲蹬踏件多孔加工模具
US2284956A (en) Die insert
US37865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 nuts
JPH0724869A (ja) 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213531656U (zh) 一种方便模具加工定位装夹的工装
CN113305197B (zh) 一种通用式机械曲面钣金件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CN215941203U (zh) 一种铝板冲孔用加工设备
CN212792682U (zh) 一种包圆模具结构
US4276764A (en) Die set for sizing sections
US2318478A (en) Die insert
KR19990010196U (ko)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KR100188149B1 (ko) 금형의 심플레이트 펀칭용 지그
SU1250373A1 (ru) Штамп дл штамповки изделий
KR900005415Y1 (ko) 프레스 금형의 파이프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