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77Y1 -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77Y1
KR0129577Y1 KR2019950022218U KR19950022218U KR0129577Y1 KR 0129577 Y1 KR0129577 Y1 KR 0129577Y1 KR 2019950022218 U KR2019950022218 U KR 2019950022218U KR 19950022218 U KR19950022218 U KR 19950022218U KR 0129577 Y1 KR0129577 Y1 KR 0129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shutter
shock
fi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001U (ko
Inventor
박갑일
Original Assignee
박갑일
박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일, 박지성 filed Critical 박갑일
Priority to KR2019950022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77Y1/ko
Priority to US08/542,271 priority patent/US5673740A/en
Priority to JP7264141A priority patent/JP2698562B2/ja
Priority to CN95224105U priority patent/CN2256926Y/zh
Publication of KR970010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46Bottom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비상문(21)의 상단부와 일측단부 및 하단부의 보텀바아(80)에 차연완충수단(30)(40)(50)을 설치하여 비상문(21)의 개폐로 인한 충격의 완충과 소음을 감소시키며,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등의 연기 유입으로 인한 질식사를 방지하고, 비상문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시켜 비상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제1도는 본 고안과 관련한 선행기술의 셔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비상문의 상단부에 차연완충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차연완충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비상문의 일측단부에 설치하는 차연완충수단의 사시도.
(b)는 차연완충수단을 비상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c)는 차연완충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제5도 (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차연완충수단을 비상문 하단부의 보텀바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셔터 20 : 셔터판
20a : 셔터부재 21 : 비상문
30,40,50 : 차연완충수단 31 : 보강판
32 : 완충재 41 : 고정판
42 : 보강부재 43 : 통공
44 : 차연완충부 45 : 외측차연부
45' : 단부 46 : 내측차연부
51 : 차연완충재 60 : 셔터박스
70,71 : 가이드레일 80 : 보텀바아
31 : 삽입홈
본 고안은 방화셔터용 차연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셔터판의 일측부에 설치한 비상문에 차연완충장치를 설치하여 비상문의 개폐로 인한 충격의 완충과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시키며 비상문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셔터용 차연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대형건물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일정 구역을 차단시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셔터는 다수개의 셔터부재가 연결된 셔터판이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셔터박스 내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송되며, 이 셔터판의 일측부에는 비상문이 설치된 구조이므로, 화재발생시 셔터가 내려지면 비상문이 설치된쪽의 무게 편중으로 셔터의 무게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여 비상문이 설치된 부분이 처짐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셔터가 신속히 내려지지 못하여 방화셔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셔터가 내려진 경우에도 건물내의 사람은 셔터의 일측부에 설치된 비상문을 통해 외부로 나갈 수는 있으나, 외부로 나가는 비상구를 빠른 시간내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비상구쪽에 화재가 번졌을 시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등의 연기가 셔터에 설치된 비상문의 틈새를 통해 건물내 모든 구역으로 유입되어 인명을 질식시키게 되었고, 또한 비상문의 개폐시 비상문과 셔터의 접촉으로 인해 비상문의 상단부가 심하게 파손되며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이 이미 선출원한 실용신안출원 제94-26781의 경우에는 셔터의 무게를 균일하게 하여 셔터의 상하 이송을 원활하게 하므로 화재 발생시 셔터의 고장으로 인한 화재의 번짐을 방지한 효과는 있으나,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등의 연기가 비상문과 셔터판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지는 못하므로 이 유입된 연기에 의해 미처 화재발생지역을 빠져나가지 못한 사람등을 질식시키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되어져 왔으며, 또한 비상문의 개폐시 비상문의 상단부가 셔터판과 접촉하게 되어 비상문을 파손시키며,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어져 왔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셔터판의 일측부에 설치한 비상문의 상단부와 일측단부 및 하단부의 보텀바아에 차연완충수단을 설치하여 비상문의 개폐로 인한 충격의 완충과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며 비상문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셔터부재(20a)로 이루어진 셔터판(20)과 이 셔터판(20)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수단들이 설치 구비되어 있는 셔터박스(60)와 상기 셔터판(2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70)(71)과 상기 셔터판(20)의 일측부에 이 셔터판(20)과 함께 승강되도록 비상문(21)이 설치된 셔터(10)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21)의 상단부와 일측단부 및 비상문(21)과 접촉하는 부분의 보텀바아(80)에는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의 완충과 소음발생을 줄이고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등의 연기유입을 차단시키기 위해 차연완충수단(30)(40)(50)을 설치하며, 비상문(21)의 상단부에 설치하는 차연완충수단(30)의 경우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완충재(32)를 결착한 보강판(31)을 용접이나 볼트등의 기타 체결구에 의해 비상문(21)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비상문(21)의 개폐시 이 비상문(21)에 가해지는 충격의 완충과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차단 및 비상문(21)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시키도록 한 것이며, 상기 비상문(21)의 배면 일측단부에 설치하는 차연완충수단(40)의 경우에는 제4도 (a)(b)(c)에서와 같이 차연완충수단(40)의 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해 보강부재(42)를 매입설치하여 고무나 합성수지재의 완충물로 몰딩한 고정판(41)을 형성하고 이 고정판(41)에는 볼트나 나사등의 체결구(90)에 의해 차연완충수단(4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통공(4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41)의 일단에는 화재발생시 발생하는 연기가 다른 구역으로 유입할 수 없도록 하면서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측부에는 내측에 다른 차연완충수단(40)의 내측차연부(46)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직으로 파여 단부(45')를 형성하고 상단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형으로 형성한 외측차연부(45)를 형성하며, 하측부에는 다른 외측차연부(45)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파여지고 일단부가 반원형 형상인 내측차연부(46)를 형성한 차연완충부(44)를 상기 보강부재(42)를 몰딩한 고정판(41)의 일단부에 이 보강부재(42)의 몰딩과 동시에 직각으로 형성하여 비상문(21)의 틈새를 통한 연기의 차단과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며, 또한 셔터판(2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비상문(21)과 접촉하는 보텀바아(80)에 설치하는 차연완충수단(50)의 경우에는 제5도 (a)(b)에서와 같이 상기 보텀바아(80)에 횡으로 차연완충제(51)를 삽입 설치하기 위하여 삽입홈(81)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81)에는 고무나 합성수지등의 완충제인 차연완충제(51)를 삽입 설치하여 구비한 차연완충수단(50)을 상기 비상문(21)과 접촉하는 부분의 보텀바아(80)에 설치하여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의 완충과 소음을 줄이고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시 연기로 인한 질식사를 방지함과 동시에 비상문(21)의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차연완충수단(40)을 셔터판(20)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셔터판의 일측부에 설치한 비상문의 상단부와 일측단부 및 하단부의 보텀바아에 차연완충수단을 설치하여 비상문의 개폐로 인한 충격의 완충과 소음을 감소시키며,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등의 연기 유입으로 인한 질식사를 방지하고, 비상문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시켜 비상문의 파손을 방지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다수개의 셔터부재(20a)로 이루어진 셔터판(20)과 이 셔터판(20)을 감아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수단들이 설치 구비되어 잇는 셔터박스(60)와 상기 셔터판(20)의 승, 하강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70)(71)과 상기 셔터판(20)의 일측부에 이 셔터판(20)과 함께 승강되도록 비상문(21)이 설치된 셔터(10)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21)의 상단부와 일측단부 및 하단부의 보텀바아(80)에 차연완충수단(30)(40)(50)을 설치하여 비상문(21)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의 완충과 소음발생을 줄이고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21)의 상단부에 설치하는 차연완충수단(20)을 완충재(32)를 결착한 보강판(31)을 설치하여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의 완충과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차단 및 비상문(21)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보강부재(42)를 매입설치하여 몰딩하고 다수개의 통공(43)을 형성한 고정판(41)과, 이 고정판(41)의 일단에는 연기의 차단과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측부에는 내측에 수직으로 파여 단부(45')를 형성하고 상단 모서리부분이 라운드형인 외측 차연부(45)를 형성하며 하측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하고 일단부가 반원형인 내측차연부(46)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41)의 일단부에 보강부재(42)의 몰딩과 동시에 직각으로 연결 형성하여 차연완충부(44)를 구비한 차연완충수단(40)을 상기 비상문(21)의 일측단부에 설치하여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의 완충과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텀바아(80)에 횡으로 삽입홈(81)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81)에는 차연완충재(51)를 삽입 설치하여 구비한 차연완충수단(50)을 상기 비상문(21)과 접촉하는 부분의 보텀바아(80)에 설치하여 비상문(21)의 개폐시 충격의 완충과 소음의 감소 및 연기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KR2019950022218U 1994-10-14 1995-08-25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KR0129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218U KR0129577Y1 (ko) 1995-08-25 1995-08-25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US08/542,271 US5673740A (en) 1994-10-14 1995-10-12 Shutter equipment for a building
JP7264141A JP2698562B2 (ja) 1994-10-14 1995-10-12 建物用シャッタ装置
CN95224105U CN2256926Y (zh) 1994-10-14 1995-10-12 建筑物卷帘式门窗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218U KR0129577Y1 (ko) 1995-08-25 1995-08-25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001U KR970010001U (ko) 1997-03-29
KR0129577Y1 true KR0129577Y1 (ko) 1998-12-15

Family

ID=1942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218U KR0129577Y1 (ko) 1994-10-14 1995-08-25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917B1 (ko) * 2006-01-17 2007-06-27 박갑일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11B1 (ko) * 2005-05-19 2007-10-26 박갑일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917B1 (ko) * 2006-01-17 2007-06-27 박갑일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001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8562B2 (ja) 建物用シャッタ装置
US5188161A (en) Louverable rolling shutter
CN1665738B (zh) 电梯的门装置
AU20122317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wind load resistance and disengage-ability of overhead roll-up doors
KR10056101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US5577541A (en) Rolling door assembly having pass door arrangement
KR0129577Y1 (ko) 방화셔터용 차연 완충장치
US7360804B1 (en) Articles,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noise and/or vibrations in hotel/motel doors
KR102081994B1 (ko) 스크린 가이드슬릿의 가림구조를 갖는 방화셔터
US3681876A (en) Door frame construction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0124252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텨
JP3559901B2 (ja) 防火用引き戸
KR200395153Y1 (ko)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KR20120004121A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100928956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0127376Y1 (ko) 건물용 셔터의 비상문
KR200154820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102650286B1 (ko) 여밈대 마감재
KR20070051535A (ko) 아파트 베란다 창틀 구조.
KR102296953B1 (ko) 내풍압 단열 셔터
KR102079049B1 (ko) 자동문용 도어 프레임
US2059047A (en) Venetian blind guide construction
KR102569652B1 (ko)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