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341Y1 -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341Y1
KR0129341Y1 KR2019930026718U KR930026718U KR0129341Y1 KR 0129341 Y1 KR0129341 Y1 KR 0129341Y1 KR 2019930026718 U KR2019930026718 U KR 2019930026718U KR 930026718 U KR930026718 U KR 930026718U KR 0129341 Y1 KR0129341 Y1 KR 0129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engine
oil
way valve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309U (ko
Inventor
박대장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6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341Y1/ko
Publication of KR950019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7/00Cont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오일의 냉각 및 과열을 방지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냉각수가 오일 팬과 연결되게 하여 이 오일 팬이 냉각 또는 과열시에 냉각수의 흐름을 조정하여 오일의 온도를 엔진의 내부온도와 함께 적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엔진과 오일 팬에 온도감지센서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온도 감지센서가 컨트롤 유닛에 연결되고 컨트롤 유닛은 원 웨이 밸브와 쓰리 웨이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컨트롤 유닛이 원 웨이 밸브와 쓰리 웨이 밸브를 개폐되게 하여 오일의 온도를 엔진과 함께 적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냉각수의 흐름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트롤 유닛 22,32 : 온도감지센서
50 : 원 웨이 밸브 60 : 쓰리 웨이 밸브
본 고안은 엔진오일의 냉각 및 과열을 방지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냉각수가 오일 팬과 연결되게 하여 이 오일 팬안의 오일이 냉각 또는 과열시에 냉각수이 흐름을 조정하여 오일의 온도를 엔진으 내부온도와 함께 적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운전중에 엔진이 과열/과냉되지 않게 냉각하여 엔진에 알맞는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냉각장치이다. 이러한 냉각장치는 라디에이터에서 얻어지는 냉각수가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헤드에 마련된 물재킷으로 두루 통한 다음 서머스탯을 거쳐 라디에이터로 유입되고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물이 다시 엔진으로 순환되어 엔진을 적정하게 냉각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겨울철과 같이 추운날씨에는 엔진의 시동시 엔진을 워밍 업 시키게 되는데, 이는 엔진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엔진의 온도를 적정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엔진의 온도상승은 실린더 내에서 연소되는 가스의 높은 열과 피스톤의 마찰열에 의해 엔진의 온도는 빠를 시간내 적정 온도에 이르게 되는 반면에, 엔진오일의 온도상승은 엔진의 상승온도에 비해 천천히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는 엔진의 시동시에 직접 엔진 오일을 가열해주는 장치가 없고 엔진오일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오일의 온도를 높여 점도를 낮추는 데이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겨울철 시동시에 엔진의 안정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엔진오일의 온도를 적동온도로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엔진의 워밍 업 시간은 더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엔진의 기동시에 라디에이터를 통해 엔진으로 순환되는 냉각수를 오일 팬과 연통되게 하고 컨트롤 유닛의 제어수단에 의해 오일 팬의 냉각수 흐름을 제어하여 오일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되게 하여 엔진오일의 과열/과냉방지와 워밍 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엔진과 오일 팬에 온도감지센서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온도감지센서가 컨트롤 유닛에 연결되고 컨트롤 유닛은 원 웨이 밸브와 쓰리 웨이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컨트롤 유닛이 원 웨이 밸브와 쓰리 웨이 밸브를 개폐되게 하여 오일의 온도를 엔진과 함께 적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냉각수의 흐름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0은 컨트롤 유닛의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 유닛(10)은 엔진(20)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22)와 오일 팬(30)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32)와 연결되어 엔진(20) 내부의 온도와 오일 팬(30)에 있는 오일의 온도를 체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 유닛(10)은 엔진(20)과 라디에이터(40)의 유체라인1(42a)에 형성된 원 웨이 밸브(50)와 쓰리 웨이 밸브(6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 유닛(10)의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형의 원 웨이 밸브(50)와 쓰리 웨이 밸브(6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도면부호 44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개폐되는 종래의 서머스탯을 도시한 것이다.
하기의 표 1은 엔진(20)과 오일 팬(30)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22,32)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컨트롤 유닛(10)에 입력되어 컨트롤 유닛(10)이 원 웨이 밸브(50)와 쓰리 웨이 밸브(60)를 작동시키는 예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엔진(20)의 온도와 오일 팬(30)의 온도가 함께 쿨(cool)일 때 온도감지센서(22,32)의 감지신호가 컨트롤 유닛(10)에 입력됨에 따라 원 웨이 밸브(50)가 온(ON)되고 쓰리 웨이 밸브(60)의 2번 밸브(60b)는 오프(OFF)되며 1번 밸브(60a)가 온(ON)되어 유체는 유체라인1(42a)를 통해 원 웨이 밸브(50), 쓰리웨이 밸브(60)의 1번 밸브(60a)로 흘러 유체라인2(42b)를 통하여 오일 팬(30) 내부를 거쳐 엔진(20)내로 유입되어 반복적인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엔진(20)과 함께 오일 팬(20)의 오일을 일정한 온도로 상승유지시키게 되어 겨울철 시동시에 워밍 업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엔진(20)의 온도가 핫(hot)이고 오일 팬(30)의 오일 온도가 쿨(cool)일 때 온도감지센서(22,32)의 감지신호가 컨트롤 유닛(10)에 입력됨에 따라 원 웨이 밸브(50)가 오프되고 쓰리웨이 밸브(60)의 2번 밸브(60b)는 오프(OFF)되며 1번 밸브(60a)가 온(ON)되여 유체는 원 웨이 밸브(50)로 흐르지 않고 서머스탯(44)를 통해 흘러 라디에이터(40)를 지나 쓰리웨이 밸브(60)의 1번 밸브(60a)와 유체라인2(42b)로 흘러서 오일 팬(30)을 통과하여 엔진(20)으로 유입되어 재순환되는 되어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 엔진(20)이 쿨이고 오일 팬(30)의 오일이 핫일때 온도감지센서(22,32)의 감지신호가 컨트롤 유닛(10)에 입력됨에 따라 원 웨이 밸브(50)가 온되고 쓰리웨이 밸브(60)의 1번 밸브(60a)는 오프(OFF)되며 2번 밸브(60b)가 온(ON)되어 유체는 원 웨이 밸브(50)와 쓰리웨이 밸브(60)의 2번 밸브(60b)를 통해 이와 연결된 유체라인3(42c)를 거쳐 엔진으로 유입되고 재순환되어 쿨 상태인 엔진의 온도를 상승시켜준다.
또다른 한편 엔진(20)과 오일 팬(30)의 오일이 핫일 때 온도감지센서(22,32)의 감지신호가 컨트롤 유닛(10)에 입력됨에 따라 원 웨이 밸브(50)가 오프되고 쓰리웨이 밸브(60)의 1번 밸브(60a)는 오프(OFF)되며 2번 밸브(60b)가 온(ON)되어 유체는 원 웨이 밸브(50)로 흐르지 않고 유체라인1(42a)을 통해 서머스탯(44)을 거쳐 라디에이터(40), 쓰리웨이 밸브(60)의 2번 밸브(60b), 유체라인3(42c), 오일 팬(30)으로 흘러 엔진(20)으로 유입되어 재순환되면서 엔진(20)과 오일의 온도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오일 팬(20)에 있는 오일의 온도를 냉각수(유체)로 높이거나 낮추어서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여기에 국한시키는 것은 결코 아니며, 도시하지않은 트랜스 밋숀에 있는 오일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엔진의 냉각수가 트랜스 밋션 하우징에 흐르게 하여 트랜스 밋션의 오일이 쿨 상태에서 빠르게 워밍업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에 의하여 오일 팬에 있는 오일과 또는 트랜스 밋션에 있는 오일이 쿨(cool)/핫(hot)의 상태에서 컨트롤 유닛에 의해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던가 아니면 차단되게 하여 오일의 온도를 엔진 내부의 온도와 같은 시간내에 일정온도로 상승/하강되어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게 하여 워밍 업시에 시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효과로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켜주어 제품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엔진(20)의 내부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22)와 오일 팬(30)의 내부에 오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2)가 컨트롤 유닛(10)과 연결되고 이 컨트롤 유닛(10)을 유체라인1,2,3을 통해 연결된 원 웨이 밸브(50)와 쓰리웨이 밸브(6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센서(22,32)의 신호를 입력한 컨트롤 유닛(10)이 밸브(50,60)를 온/오프 시키게 하여 엔진(20)의 내부온도와 오일 팬(20)의 오일온도를 같은 시간내에 적정온도로 상승/하강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KR2019930026718U 1993-12-08 1993-12-08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KR0129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718U KR0129341Y1 (ko) 1993-12-08 1993-12-08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718U KR0129341Y1 (ko) 1993-12-08 1993-12-08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309U KR950019309U (ko) 1995-07-24
KR0129341Y1 true KR0129341Y1 (ko) 1998-12-15

Family

ID=1937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718U KR0129341Y1 (ko) 1993-12-08 1993-12-08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3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309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1507B2 (en) Cooling system for an automotive engine
WO2003095810A1 (fr) Thermostat a commande electronique
GB2245703A (en) Engine cooling system
JPH07139350A (ja) 内燃機関の冷却システム
US6516755B2 (en) Cooling circu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50205683A1 (en) Cooling circu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29341Y1 (ko)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오일의 온도 조절장치
JPS6114588Y2 (ko)
JP2004301032A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H11218024A (ja) エンジンの強制循環式水冷装置
KR100534238B1 (ko) 서머스탯 밸브의 개폐 제어 구조
JPS611817A (ja) 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KR200213860Y1 (ko) 냉열 충격시험이 가능한 오일 냉각장치
JP2737611B2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H0726955A (ja) 車両用油温制御装置
KR100210044B1 (ko) 수냉 엔진의 수온조절장치
KR20020058703A (ko) 엔진 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51956A (ko) 냉각 시스템
KR0119973B1 (ko) 자동차 엔진용 수냉식 냉각장치
KR100201440B1 (ko) 수냉엔진의 냉각장치
KR0139712Y1 (ko) 엔진의 냉각수 회로
CA2085209C (en) Cooling system for an automotive engine
JPH063202Y2 (ja) オ−トトランスミツシヨンの油温制御装置
JPH0326253Y2 (ko)
KR19990008697U (ko) 냉각수 순환제어기능을 갖는 수냉엔진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