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025Y1 -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 Google Patents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025Y1
KR0129025Y1 KR2019960017510U KR19960017510U KR0129025Y1 KR 0129025 Y1 KR0129025 Y1 KR 0129025Y1 KR 2019960017510 U KR2019960017510 U KR 2019960017510U KR 19960017510 U KR19960017510 U KR 19960017510U KR 0129025 Y1 KR0129025 Y1 KR 0129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torque converter
friction facing
pacing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882U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17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025Y1/ko
Publication of KR980003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8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0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프릭션 페이싱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확대되는 마찰재 제거부위를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프릭션 페이싱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토크 컨버터 프론트 커버 내측면에 경사면을 가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공이 용이해지며, 프릭션 페이싱의 보다 좋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토크 컨버터의 작동 원리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사용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정면도.
(b)도는 (a)도의 측단면 부분이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출재 제거부위 DC : 댐퍼 클러치
FC : 프론트 커버 FF : 프릭션 펭싱
I : 임펠러 S : 스테이터
T : 터어빈
본 고안은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의 프릭션 페이싱(Friction Facing
)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 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토크 컨버터의 프론트 커버와 접촉 및 이격되는 프릭션 페이싱에 편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와, 상기 토크 컨버터에 연결된 변속기어 메카니즘과,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상기 변속기어 메커니즘의 기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유압 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토크 컨버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직결되어 회전되는 임펠러(I)와, 지동 변속기의 입력축에 직결되고 상기 임펠러(I)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터어빈(T)과, 일정한 작동 범위 내에서 상기 임펠러(I)를 출발하여 터어빈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고 회수되는 오일의 방향을 전환하여 다시 임펠러(I)의 회전력을 증대하도록 하는 스테이터(S)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크 컨버터의 임펠러(I)로 전달된 엔진의 출력은 상기 터어빈(T)을 통해 변속기어 메커니즘(미도시)으로 전달되는 바, 상기 변속기어 메커니즘은 다수의 선기어와 링기어 및 캐리어로 구성되는 유성기어 장치로서, 상기 각 기어들의 회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어들 간의 상대 운동에 의해 터어빈(T)으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적절한 변속비로 변환되어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토크 컨버터는 동력 전달 과정에서 임펠러(I)와 터어빈(T)의 속도차가 큰 경우 임펠러(I)의 토크를 증폭하여 터어빈(T)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지만, 임펠러(I)와 터어빈(T)의 속도가 비슷한 주순에 이르게 되면 유체 클러치로 작동되어 토크 변환비 1미만의 동력 전달 효율을 갖게 되는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동력 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일정한 범위 이상에서는 댐퍼 클러치를 채용하여 임펠러(I)의 동력을 터어빈(T)에 직접 전달하도록 한다.
즉, 임펠러(I)가 일체로 연결된 프론트 커버에 터어빈(T)을 직결시키도록 한 것으로,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의 듀티 제어를 받는 댐퍼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적정한 시기에 터어빈(T)을 임펠러(I)측에 직결시킨다.
이때, 상기 댐퍼 클러치가 임펠러(I)와 터어빈(T)을 직결시키는 것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클러치(DC)에 프릭션 페이싱(FF)을 설치하여, 이를 임펠러(I)와 일체로 연결된 프론트 커버(FC)에 접촉시킴으로써 구현되는데, 상기 댐퍼 클러치(DC)와 프론트 커버(FC)는 고속 회전을 하므로 원심력에 의해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프릭션 페이싱(FF)과 프론트 커버(FC)의 접촉압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된다.
상기와 같이 증가되는 접촉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프릭션 페이싱(FF)의 원주 외측으로 더 많은 마모가 일어나도록 하는바, 상기와 같이 편마모된 상태에서 동력 전달은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프론트 클러치(FC) 내측의 프릭션 페이싱(FF)의 접촉면에 미리 경사각(θ)을 두어 프릭션 페이싱(FF)에 발생될 편마모에 대응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론트 커버 내측면의 경사각의 가공이 없어도 프릭션 페이싱과 프론트 커버 내측면과의 접촉면을 일정하게 하여 편마모를 없앰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는 프릭션 페이싱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확대되는 마찰재 제거부위를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크 컨버터 프릭션 페이싱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릭션 페이싱(FF)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확대되는 마찰재 제거부위(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마찰재 제거부위(1)는 프릭션 페이싱(FF)의 면의 전 둘레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작동에 따라 임펠러(I)와 일체로 회전되는 프론트 커버(FC)에 터어빈(T)측을 직결시키야 할 조건이 되어, YCU가 댐퍼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댐퍼 클러치(DC)가 작동되도록 하면, 상기 프릭션 페이싱(FF)은 상기 프론트 커버(FC)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임펠러(I)와 터어빈(T)을 직결시킨다.
이때, 상기 프릭션 페이싱(FF)에 형성된 마찰재 제거부위(1)에는 ATF가 침투해 있는 상태이므로 프릭션 페이싱(FF)이 상기 프론트 커버(FC)에 접촉할 때 ATF에 의한 반력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반력은 프릭션 페이싱(FF)은 원주 외측 방향이 원심력에 의해 원주 중심 방향보다 더욱 쉽게 마모되는 편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프릭션 페이싱(FF)을 설치한 댐퍼 클러치(DC)보다 좋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토크 컨버의 프론트 커버(FC)의 내측면에 프릭션 페이싱(FF)의 편마모에 대응하기 위한 경사각(θ)을 둔 경사면을 가공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릭션 페이싱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확대되는 마찰재 제거부위를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프릭션 페이싱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토크 컨버터 프론트 커버 내측면에 경사면을 가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공이 용이해지며, 프릭션 페이싱이 보다 좋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릭션 페이싱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확대되는 마찰재 제거부위를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프릭션 페이싱 구조.
KR2019960017510U 1996-06-25 1996-06-25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KR0129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510U KR0129025Y1 (ko) 1996-06-25 1996-06-25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510U KR0129025Y1 (ko) 1996-06-25 1996-06-25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882U KR980003882U (ko) 1998-03-30
KR0129025Y1 true KR0129025Y1 (ko) 1998-12-01

Family

ID=1945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510U KR0129025Y1 (ko) 1996-06-25 1996-06-25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0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88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7313B1 (en) Reversible one-way clutch for planetary transmission
KR0129025Y1 (ko)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US4800782A (en) Accessory transmission
US4800780A (en) Accessory transmission
KR200157000Y1 (ko) 댐퍼 클러치 페이싱 구조
EP157912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4493402A (en) Hydraulic torque converter for vehicles
US4631979A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equipped with fluid and centrifugal clutch
KR0162793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리액션 샤프트 및 그 가공 방법
KR19980019579U (ko) 토크 컨버터의 프릭션 페이싱 구조
KR20000023110A (ko) 자동변속장치
EP0993098A2 (en) Device for regulating an electric generator used in a vehicle
KR0138949Y1 (ko) 자동 변속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재 연결구조
KR19980043412U (ko) 유성기어장치의 와셔구조
KR19980019577U (ko) 자동 변속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세퍼레이트 플레이트
KR101971190B1 (ko)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용 전자기 토크 컨버터
JPH0649959Y2 (ja) 自動変速機
KR19980025929U (ko) 자동변속기의 스러스트 베어링 장착구조
KR19980025691A (ko) 유성기어 장치의 피니언 윤활 구조
JPH028122Y2 (ko)
JPH0736204Y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20200058021A (ko) 전기 자동차용 건식 토크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KR960005908B1 (ko) 자동변속기의 동력단속장치
KR19990005478U (ko) 자동변속기 구조
KR19980041278U (ko) 자동차의 변속기 마운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