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990Y1 - 헤드드럼 조립체 - Google Patents

헤드드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990Y1
KR0128990Y1 KR2019950031037U KR19950031037U KR0128990Y1 KR 0128990 Y1 KR0128990 Y1 KR 0128990Y1 KR 2019950031037 U KR2019950031037 U KR 2019950031037U KR 19950031037 U KR19950031037 U KR 19950031037U KR 0128990 Y1 KR0128990 Y1 KR 0128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head
drum
air
sam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385U (ko
Inventor
조부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31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990Y1/ko
Publication of KR970019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3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드럼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상부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홈과 상기 헤드창이 상기 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테이프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드럼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상부드럼상에 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에어홈을 통해 방지함으로써, 종래 상부드럼상에 평향하게 형성된 에어홈을 통한 에어윤활효과에 비하여 좀더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도모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헤드창 또한 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안정된 기록/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제품 즉, 테이프 레코더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킨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헤드드럼 조립체
제1도는 종래 헤드드럼 조립체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드럼 조립체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축 20 : 헤드
30 : 상부드럼 31 : 에어홈
32 : 헤드창 40 : 하부드럼
41 : 리드면
본 고안은 헤드드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이송을 좀더 안정화 시킬 수 있는 헤드드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일반적인 헤드드럼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회전축(1)의 상단에는 그 내면에 헤드(2)가 마련된 상부드럼(3)이 압입 설치되며, 회전축(1)의 하단에는 하부드럼(4)이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지지된다.
이때 전술한 상부드럼(3)의 외주면상에는 소정간격으로 평행한 에어홈(3a)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 하면에는 헤드(2)가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헤드창(3b)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하부드럼(4)의 외주면에는 주행되는 테이프(T)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리드면(4a)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헤드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특히 상부드럼(3)의 외주면상에 마령된 다수의 에어홈(3a)은, 테이프(T)가 상부드럼(3)의 표면에 접촉주행되는 과정에서 정전기등에 의해 테이프(T)가 상부드럼(3)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즉, 일종의 공기윤할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에어홈(3a)을 통해 테이프(T)가 상부드럼(3)에 접촉되어 주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모에 의한 미세한 이물질이 에어홈(3a)의 내부로 유입되어 드럼 표면의 흡집을 방지하는 역할을 부가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헤드드럼 조립체에 있어서는, 에어홈이 상부드럼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어, 즉, 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테이프가 접촉주행되는 과정에서 효과적인 에어윤활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헤드창의 형상도 상부드럼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즉, 에어홈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또한 원활한 테이프의 접촉주행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경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프가 드럼표면에 접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헤드와 테이프가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는 헤드드럼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헤드드럼 조립체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압입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에어홈이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 헤드가 소정량 돌출되는 헤드창이 마련된 상부드럼과, 상기 회전축에 베어링 지지되며, 그 외주면에 주행되는 테으프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리드면이 형성된 하부 드럼을 포함하는 헤드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홈과 상기 헤드창이 상기 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에어홈이 상부드럼의 표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즉, 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동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좀더 효과적인 에어윤활효과를 얻음으로서, 테이프의 안정된 주행을 도모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헤드창이 에어홈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테이프와의 터치가 부드럽게 행하여져 안정된 테이프의 기록/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헤드드럼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본 고안에 따른 헤드드럼 조립체는, 회전축(10)의 상단에는 그 내면에 해드(2)가 마련된 상부드럼(30)이 압입 설치되며, 회전축(10)의 하단에는 하부드럼(4)이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베어링지지된다.
이때 전술한 상부드럼(30)의 외주면상에는 소정간격으로 평행한 에어홈(31)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 하면에는 헤드(2)가 소정량 돌출되도록 헤드창(32)이 마련된다.
또한 전술한 하부드럼(4)의 외주면에는 주행되는 테이프(T)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리드면(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상부드럼(30)상에 형성되는 에어홈(31)과 헤드창(32)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부드럼(30)상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즉, 테이프(T)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드럼 조립체는, 테이프(T)가 소정의 주행모드에 의해 이송되고, 동시에 상부드럼(3)이 회전되면서, 그 내면에 마련된 헤드(2)를 통해 기록/재생을 행함에 있어서, 상호간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에 의해 테이프(T)가 상부드럼(30) 및 하부드럼(40)에 달라붙을 우려가 있는 것이나, 상부드럼(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즉, 테이프(T)의 주행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 에어홈(31)을 통해 에어윤활효과를 얻음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헤드창(32)이 에어홈(31)과 동일방향 즉, 테이프(T)의 주행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테이프(T)와 헤드(20)의 접촉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정된 기록/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드럼 조립체에 의하면, 테이프가 주행되는 과정에서 드럼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상부드럼상에 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에어홈을 통해 방지함으로써, 종래 상부드럼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에어홈을 통한 에어윤활효과에 비하여 좀더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도모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헤드창 또한 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안정된 기록/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제품 즉, 테이프 레코더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킨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압입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에어홈의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 헤드가 소정량 돌출되는 헤드창이 마련된 상부드럼과, 상기 회전축에 베어링 지지되며, 그 외주면에 주행되는 테이프의 하단부가 접축되는 리드면이 형성된 하부드럼을 포함하는 헤드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럼(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홈(31)과 상기 헤드창(32)이 상기 테이프(T)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드럼 조립체.
KR2019950031037U 1995-10-30 1995-10-30 헤드드럼 조립체 KR0128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037U KR0128990Y1 (ko) 1995-10-30 1995-10-30 헤드드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037U KR0128990Y1 (ko) 1995-10-30 1995-10-30 헤드드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385U KR970019385U (ko) 1997-05-26
KR0128990Y1 true KR0128990Y1 (ko) 1998-12-15

Family

ID=1942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037U KR0128990Y1 (ko) 1995-10-30 1995-10-30 헤드드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9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385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36361A (ja) 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KR0128990Y1 (ko) 헤드드럼 조립체
US4238088A (en) Guide for a thin tape-like recording medium, particularly a magnetic tape
KR860008528A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3510604A (en) Drum construction for helical scan tape recorder
KR900001139B1 (ko) 가이드 드럼 장치
KR920013345A (ko) 로터리 헤드드럼
JPS6316032Y2 (ko)
US5774307A (en) Head drum assembly designed to prevent a magnetic tape from adhering to a drum surface
KR200145215Y1 (ko) 테이프 레코더
JPH0229914A (ja) 回転ヘツドシリンダ装置
JP279619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ドラム装置
KR200143769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20014929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드럼
KR970001838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 롤러
JPS5939324Y2 (ja) 固定ガイドドラム
KR10019100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실린더 모드 변환장치
JPH0449164B2 (ko)
JPS5977663A (ja) 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KR200142934Y1 (ko) 핀치 롤러 조립체
KR012899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 롤러 조립구조
JPH043355A (ja) 回転ヘッド装置
JPS59193570A (ja) 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JPH08329571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用ヘッドドラム組立体
JPH0366056A (ja) 回転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