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934Y1 - 핀치 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핀치 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934Y1
KR200142934Y1 KR2019950027564U KR19950027564U KR200142934Y1 KR 200142934 Y1 KR200142934 Y1 KR 200142934Y1 KR 2019950027564 U KR2019950027564 U KR 2019950027564U KR 19950027564 U KR19950027564 U KR 19950027564U KR 200142934 Y1 KR200142934 Y1 KR 200142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er
shaft
roller assembly
circumferential surface
hol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019U (ko
Inventor
안형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27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934Y1/ko
Publication of KR970015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Abstract

본 고안은 핀치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샤프트(31)와, 상기 샤프트(31)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슬리이브(32), 부쉬(33) 및 고무 롤러(34)를 구비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1)에 끼워지며 오일을 함유한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홀더 부재(36) 및, 상기 홀더 부재(36)의 외주면과 상기 부쉬(33)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 링 부재(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핀치 롤러 조립체는 종래 기술의 것보다 제작이 용이하므로 비용의 감소될 뿐만 아니라 회전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동 조심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캡스턴 샤프트에 대하여 일정한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핀치 롤러 조립체
제1도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주행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의 핀치 롤러 조립체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핀치 롤러 조립체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일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소거 헤드 13 : 폴 베이스 조립체
14 : 헤드 드럼 15 : 폴 베이스 조립체
17 : 핀치 롤러 18 : 캡스턴 샤프트
21 : 사프트 22 : 슬리이브
23 : 부쉬 24 : 고무 롤러
25 : 볼 베어링 26 : 캡
31 : 샤프트 32 : 슬리이브
33 : 부쉬 34 : 고무 롤러
35 : 고무 링 36 : 홀더
본 고안은 핀치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이 개선된 핀치 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핀치 롤러 조립체는 주로 자기 기록 테이프의 주행용으로 사용된다.
가장 대표적인 용도는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주행용 및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주행용을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핀치 롤러 조립체는 롤러의 외표면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기 테이프의 구동시에는 롤러가 캡스턴 샤프트에 밀착된다. 자기 테이프는 핀치 롤러와 캡스턴 샤프트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캡스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소정 속도로 주행함으로써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가 자기 헤드에 의해 독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도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비디오 테이프의 주행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디오 테이프는 소거 헤드(12), 헤드 드럼(14) 및 오디오 헤드(16)와 마찰 접촉함으로써 자기 기록의 재생 또는 기록이 행해진다. 헤드 드럼(14)의 양 측면에는 폴 베이스 조립체(13, 15)가 배치되는데, 이것은 장치의 구동시에 비디오 테이프(11)를 카세트로부터 끌어내어 소정의 궤적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헤드 드럼(14)의 원통면에 소정의 높이 및 각도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캡스턴 샤프트(18)는 캡스턴 모터(통상 데크의 하부에 배치됨)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캡스턴 샤프트(18)와 핀치 롤러 조립체(17)의 사이에 비디오 테이프(18)가 끼워진 상태로 주행하게 된다. 핀치 롤러 조립체(17)는 도시되지 아니한 기구에 의해 캡스턴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밀착되거나 이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2도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핀지 롤러 조립체(20)의 단면도가 되시되어 있다. 핀치 롤러는 베이스(27)에 고정된 샤프트(21)에 부쉬(23) 및 슬리이브(22)를 결합하고, 최 외측면에 고무 롤러(24)를 결합한 것이다. 부쉬(23)는 고무 롤러(24)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준다. 부쉬(23)와 샤프트(21) 사이에는 볼 베어링(25)이 배치됨으로써 롤러(24)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핀치 롤러 조립체(20)의 회전 운동은 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 및 그에 따른 자기 기록 정보의 재생 및 기록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부품의 정밀한 가공 및 정확한 조립을 필요로 한다. 특히 회전 운동에 있어 베어링의 기능이 중요하므로 볼의 가공이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볼 베어링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핀치 롤러 조립체의 제작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볼 베어링의 이용을 배제한 신규 구성의 핀치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 조심(自動 調心)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핀치 롤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슬리이브와, 부쉬 및 고무 롤러를 구비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며 링 형태를 지닌 홀더 부재 및, 상기 홀더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부쉬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 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더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무 링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한 면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더 부재가 상기 샤프트상에서 소정의 범위로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부재의 내주면이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홀더 부재가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대응 외주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블록면의 곡률 반경보다 커서 여유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더 부재는 윤활용 오일을 함유할 수 있는 다공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일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핀치 롤러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핀치 롤러 조립체(30)는 베이스(38)에 고정된 샤프트(31)와, 샤프트(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슬리이브(32), 부쉬(33) 및, 고무 롤러(34)를 포함한다. 샤프트(31)의 상부에는 캡(37)이 결합된다.
부쉬(33)와 샤프트(31)의 사이에는 홀더(36)와 고무 링(35)이 배치된다. 홀더(36)는 샤프트(31)에 끼워지는 중공형 링의 형태로서, 링의 원주면 내측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원주면 외측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36)는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다공부에는 윤활용 오일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윤활용 오일은 홀더(3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회전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되게 한다. 샤프트(31)의 외주면에서 홀더(36)가 배치되는 면은 원주면을 따라 오목한 면이 형성되며, 홀더(36)의 내주면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볼록면을 지닌다. 상기 오목면과 볼록면 사이에는 여유 간극이 형성되어 홀더(36)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샤프트(31)상의 자동 조심 운동이 가능하다. 이것은 제4도에 도시된 제3도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즉, 샤프트(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면의 곡률 반경은 홀더(36)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이러한 곡률 반경의 차이는 핀치 롤러 조립체(30)의 자동 조심(自動 調心)이 이루어지는데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한다. 즉, 캡스턴 샤프트의 경사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핀치 롤러 조립체(30)의 고무 롤러(34)의 전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홀더(36)는 샤프트(31) 상에서 운동함으로써 압착력이 고무 롤러(34)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한다.
고무 링(35)은 홀더(36)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크기의 직경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캡스턴 모터가 회전하게 되면 캡스턴 샤프트에 대하여 비디오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밀착한 고무 롤러(34)는 부쉬(33), 슬리이브(32), 고무 링(35) 및 홀더(36)와 함께 고정 샤프트(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홀더(36)는 고무 링(35)의 변형을 방지하고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핀치 롤러 조립체(30)가 캡스턴 샤프트에 밀착될때 홀더(36)가 없다면 고무 링(35)의 단면 형상은 원래의 원형에서 타원형을 변형될 것이지만 홀더(36)는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지닌다. 또한 핀치 롤러 조립체가 캡스턴 샤프트에 밀착하여 회전할때 고무 링은 압착력에 대한 완충 역할을 지닌다. 따라서 고무 롤러(34)가 일정한 압착력으로 캡스턴 샤프트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3도에서는 핀치 롤러 조립체(30)의 샤프트(31)가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38)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핀치 롤러 조립체(30)의 상부에서 수평 이동하는 아암등에 샤프트(31)가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핀치 롤러 조립체는 종래 기술의 것보다 제작이 용이하므로 비용의 감소될뿐만 아니라 회전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동 조심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캡스턴 샤프트에 대하여 일정한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비디오 일 실시예로써만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샤프트(31)와, 상기 샤프트(31)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슬리이브(32), 부쉬(33) 및 고무 롤러(34)를 구비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핀치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1)에 끼워지며 링 형태를 지닌 홀더 부재(36) 및, 상기 홀더 부재(36)의 외주면과 상기 부쉬(33)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 링 부재(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36)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무 링 부재(35)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한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36)가 상기 샤프트(31)상에서 소정의 범위로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부재(36)의 내주면이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홀더 부재(36)가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31)의 대응 외주면을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샤프트(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홀더(36)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면의 곡률 반경보다 커서 여유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36)는 윤활용 오일을 함유할 수 있는 다공성 플라스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용 핀치 롤러 조립체.
KR2019950027564U 1995-09-30 1995-09-30 핀치 롤러 조립체 KR200142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564U KR200142934Y1 (ko) 1995-09-30 1995-09-30 핀치 롤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564U KR200142934Y1 (ko) 1995-09-30 1995-09-30 핀치 롤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019U KR970015019U (ko) 1997-04-28
KR200142934Y1 true KR200142934Y1 (ko) 1999-06-01

Family

ID=1942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564U KR200142934Y1 (ko) 1995-09-30 1995-09-30 핀치 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9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019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44043A (ja) 二方向性テ−プ前進方法および装置
US5788137A (en) Tiltable roller assembly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KR200142934Y1 (ko) 핀치 롤러 조립체
US5803335A (en) Pinch roller assembly having a rubber cushion for making a contact surface thereof pivotable
US5833125A (en) Pinch roller assembly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JP2591062B2 (ja) ピンチローラ装置
CN1131510C (zh) 磁带录像机用磁头鼓组件
KR950002403Y1 (ko) 회전 드럼 가이드 장치
JP3608290B2 (ja) テープ駆動装置
JPH08297888A (ja) テープレコーダーのピンチローラ組立体
JPH0454604Y2 (ko)
JPH0636487Y2 (ja) 回転ヘッド装置の軸受機構
KR0135853B1 (ko) 회전 자기헤드 드럼 구조체
JPH0648590Y2 (ja) ピンチローラ装置
KR200145215Y1 (ko) 테이프 레코더
KR200339958Y1 (ko) 테이프레코더의암텐션조립체
JPS5885965A (ja) 回転ヘツド式ヘツドドラム装置
JPH0449164B2 (ko)
GB2308221A (en) A pinch roller type tape drive assembly
KR200224227Y1 (ko) 회전형 헤드드럼 어셈블리
KR0119810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회전실린더장치
JPH064934U (ja) ピンチローラ装置
KR930003679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기록/재생용 헤드드럼
JPH0650833Y2 (ja) ピンチローラ装置
JPH03312A (ja) 動圧型流体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