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795Y1 - 자동차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쓰레기통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795Y1
KR0128795Y1 KR2019950036420U KR19950036420U KR0128795Y1 KR 0128795 Y1 KR0128795 Y1 KR 0128795Y1 KR 2019950036420 U KR2019950036420 U KR 2019950036420U KR 19950036420 U KR19950036420 U KR 19950036420U KR 0128795 Y1 KR0128795 Y1 KR 0128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rame
stopper
co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6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140U (ko
Inventor
김국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6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795Y1/ko
Publication of KR970022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Seae)의 백시트에 내삽되어 뒷좌석의 승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시트의 백시트 후면에 내삽되어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ㆍ폐되며, 프레임의 전면부를 복개해주는 상부커버와; 이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프레임 좌ㆍ우측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대응하게 좌ㆍ우측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가 면접되어 슬라이드되면 인출ㆍ수납되는 수납통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쓰레기통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프런트시트의 일측면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 상부커버의 힌지구조를 보인 일부단면예시도.
제4a,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의 결합구성을 보인 일부 단면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통의 손잡이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쓰레기통 20 : 상부커버
22, 32 : 손잡이 24 : 힌지
26 : 스프링 262,264 : 스토퍼
30 : 수납통 34 : 힌지
322 : 걸림구 342 : 홈
38 : 가이드 40 : 프레임
42 : 통로 44 : 힌지홈
46,202 : 스토퍼홈
본 고안은 자동차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Seat)의 백시트에 내삽되어 뒷좌석의 승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승객의 몸이 편안한 자세로 유지되게 승객 한사람 한사람을 위한 시트이고, 대부분의 시트는 이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한사람씩 시트가 나누어져 있어 버킷 시트 또는 세퍼레이트 시트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는 제1도에서와 같이 백 시트(12)와 쿠션 시트 및 헤드 레스트(11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 레스트(110)는 시트(100)의 백 시트(120) 위에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베개와 같은 부분이며, 예전에는 장착되지 않았으나 추돌사고등으로 인하여 승객의 목부상이 문제시되어 승객의 목의 부상방지와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백 시트(110)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있고, 착ㆍ탈이 가능한 것도 있으며,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것도 있다. 또한, 백 시트(110)와 일체로 되어 붙어 있는 것을 하이 백 시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기 백 시트(110)는 탑승자의 등부분이 면접되고, 전ㆍ후 가변되어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적절한 운전을 할 수 있는 목적 외에, 후식을 위해 뒤로 젖혀서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쿠션 시트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면접되며, 모양이나 쿠션은 장거리 주행시 피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인체공항적으로 설계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시트의 후면에는 망으로 이루어진 포켓이 설치되어 책 또는 신문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시트(Seat)의 후면을 이루는 백 시트로 망으로된 포켓 만이 설치되어 있어 장거리 주행시 발생되는 쓰레기를 모아두거나 담아둘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못하여 차창 밖으로 버리거나 시트의 하부에 버리게 되어 도로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차 실내를 오염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시트의 백시트로 쓰레기통을 설치하여 뒷좌석의 승객들이 발생되는 쓰레기를 수납보관 하였다가 일정한 장소에서 버릴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할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보호에도 일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시트의 백시트 후면에 내삽되어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ㆍ폐되며, 프레임의 전면부를 복개 해주는 상부커버와, 이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프레임 좌ㆍ우측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대응하게 좌ㆍ우측 외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가 면접되어 슬라이드 되며 인출ㆍ수납되는 수납통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상부커버를 개ㆍ폐하여 쓰레기를 넣으면 이 쓰레기를 수납통으로 떨어져 모이게 되고, 쓰레기가 충진되면 수납통을 인출하여 버리면 되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쓰레기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쓰레기통(10)은 시트의 백시트 후면에 내삽되어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프레임(40) 과 상부커버(20) 및 하부의 수납통(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얇은 패널로 하부의 좌ㆍ우측으로 힌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40)에 형성된 힌지홈(44)에 축설되고, 상부 중앙으로는 손잡이(22)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통로(42)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24)로는 제3도에서와 같이 양끝단부가 직각으로 서로 대향되게 절곡되는 스토퍼(262,264)가 일체로 된 스프링(26)을 감합하고, 이 스프링(26)의 스토퍼(262, 264)중 스토퍼(262)는 힌지홈(44)의 중심선상으로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협소한 공간인 스토퍼홈(46)의 끼워서 결합하며, 타측의 스토퍼(264)는 힌지(24)가 돌설되는 상부커버(20)의 근방에 형성되는 스토퍼홈(202)에 끼워서 결합한다. 상기 수납통(30)은 개ㆍ폐되는 상부커버(20)로 투입되는 쓰레기가 떨어져 모이게 되는 것으로, 좌ㆍ우측의 외면으로 제4도에서와 같이 가이드(38)가 일체로 형성되며 프레임(40)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8)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되면서 인출ㆍ수납되는 것이다. 또한, 수납통(30)의 중앙 상부로는 홈(342)이 형성되고, 그 상부로 힌지(34) 결합되는 손잡이(32)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2)는 제5도에서와 같이 수직상의 전면부와 이 전면부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다시 상부로 절곡되는 걸림구(322)가 상부커버(20)의 내측에 면접되고, 힌지(3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걸림구(322)가 상부커버(20)에서 착ㆍ탈되어 수납통(30)이 인출되며, 수납된 수납통(30)이 결착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자동차 실내에서 쓰레기가 발생되면 쓰레기통(10)의 상부커버(20)에 형성된 손잡이(22)를 잡아 당겨서 쓰레기를 넣는다. 그러면 쓰레기는 내부의 공간부인 통로(42)를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통(30)에 떨어져 모이게 되고, 쓰레기가 충진되면 손잡이(32)를 회전시켜 걸림구(322)가 상부커버(20) 내측면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인출하며, 인출된 수납통(30)의 쓰레기를 일정한 장소에 버리면 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힌지(24)에 결합된 스프링(26)의 스토퍼(262,264)에 의해 탄발력이 생겨 열린 상태에서 자동으로 닫히게 되고, 수납통(30)은 손잡이(32)의 걸림구(322)가 상부커버(20)에서 착ㆍ탈됨과 동시에 좌ㆍ우측 외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38)가 프레임(40)의 가이드홈(48) 따라 슬라이드 되며, 인출ㆍ수납된다.
다시 설명하면 쓰레기를 상부커버(20)를 열어서 넣고, 넣어진 쓰레기는 수납통(30)에 담기게 되며, 쓰레기가 충진되면 손잡이(32)를 회전시키면서 잡아 당겨서 인출하여 담겨진 쓰레기를 일정한 장소에 버리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차실내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편리하고 청결하게 모아지도록 하여 일정량이 되면 용이하게 일정한 장소에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 실내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으며, 주행중 쓰레기가 도로에 버려지게 되는 것을 예방하여 환경보호에도 일조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3)

  1. 자동차 시트의 백시트 후면에 내삽되어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ㆍ폐되며, 프레임의 전면부를 복개해주는 상부커버와; 이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프레임 좌ㆍ우측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대응하게 좌ㆍ우측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가 면접되어 슬라이드되면 인출ㆍ수납되는 수납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20)의 좌ㆍ우측 힌지(24)에 직각으로 절곡되는 스토퍼(262,264)가 일체로 된 스프링(26)을 결합하고, 스토퍼(262)는 힌지(24)가 결합되는 프레임(40)의 힌지홈(44) 근방에 형성된 스토퍼홈(46)에 삽입하며, 스토퍼(264)는 힌지(24)가 증설되는 커버(20)에 형성된 스토퍼홈(202)에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30)은 중앙에 형성된 홈(342)의 상부로 힌지결합되는 손잡이(32)의 내측 상부에 걸림구(322)가 형성되고, 이 걸림구(322)가 힌지(34)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부커버(20)에서 착ㆍ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쓰레기통.
KR2019950036420U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쓰레기통 KR0128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420U KR0128795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420U KR0128795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140U KR970022140U (ko) 1997-06-18
KR0128795Y1 true KR0128795Y1 (ko) 1998-10-15

Family

ID=1943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6420U KR0128795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7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140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7775A (en) Glove compartment
US6478204B2 (en) Receptacle cover
US7494033B2 (en) Secured dynamic storage compartment for vehicle door
US7494170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having movable storage compartment
JP2709919B2 (ja) 車両の助手席側用のコックピット領域装置
US20050052045A1 (en) Vehicle side storage box
KR0128795Y1 (ko) 자동차용 쓰레기통
CN211918474U (zh) 杯架组件及包括其的中央控制台组件
JP3707243B2 (ja) 自動車のトリム
KR200146029Y1 (ko) 양방향 개폐형 콘솔 박스
JP5691432B2 (ja) 車両のドア構造
KR0125225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용 암 레스트
JPH11348669A (ja) 自動車の内装品
KR0157823B1 (ko) 시트의 오물수거통
JPH0111559Y2 (ko)
KR19990020864A (ko) 시트에 설치되는 휴지통
KR0115705Y1 (ko) 차량의 콘솔박스
GB207968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fascias
JPH0139222Y2 (ko)
KR19990002985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
KR10036521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0117963Y1 (ko) 컵홀더를 갖춘 자동차의 콘솔박스
DE202005010694U1 (de) Behälter
JP3283809B2 (ja) 自動車のオーバヘッドトレイ
KR19980038530U (ko) 휴지상자가 내장된 자동차의 도어트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