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609Y1 - 자동차의 룸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룸램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609Y1
KR0128609Y1 KR2019940010544U KR19940010544U KR0128609Y1 KR 0128609 Y1 KR0128609 Y1 KR 0128609Y1 KR 2019940010544 U KR2019940010544 U KR 2019940010544U KR 19940010544 U KR19940010544 U KR 19940010544U KR 0128609 Y1 KR0128609 Y1 KR 0128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lder
room lamp
lamp cover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848U (ko
Inventor
최낙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0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609Y1/ko
Publication of KR950032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8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룸램프의 램프커버에 고정설치되어 전구가 착탈가능하도록 된 홀더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룸램프 내의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이로인한 단선의 염려와 조립시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룸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홀더(26)를 수평부(28)와 수직부(27)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수직부(27)의 일측에 탄성편(29)을 형성하고, 이와 조립되는 램프커버(21) 일측 수직벽(23)에는 상기 탄성편(29)이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홈(30)을 구성하여 된 것이고, 상기 제2 홀더(21)의 수평부(28) 일측에 룸램프 내의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돌기(35) 및 벤딩부(34)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룸램프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룸램프를 일부 절정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룸램프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룸램프에서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램프커버 22 : 전구
23 : 수직벽 26 : 제2홀더
29 : 탄성편 30 : 걸림유지홈
34 : 벤딩부 35 : 가이드돌기
37,38,39 : 와이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구홀더의 조립성을 좋게하고 룸램프 내의 와이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룸램프의 전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룸램프는 대부분이 차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 야간운행중 검문에 응하거나 지도 등을 볼 때 사용하게 되고, 또한 자동차 도어의 개폐시 자동으로 온, 오프되어 도어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일반적인 룸램프의 구조를 제1도에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같이 룸램프(1)는 크게 전구(2)와 이 전구(2)를 차내의 천정에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되는 램프커버(3)로 구성된다. 상기 전구(2)는 램프커버(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커버(3)의 수직벽(4) 양측에 도전성 재질의 제1 및 제2 홀더(5)(6)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홀더(5)(6)에 전구(2)의 양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홀더(5)(6)는 램프커버(3)의 양측 수직벽(4)과 리벳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홀더(5)(6)에는 일측이 개구된 홈이 구비되어 전구(2)가 홈에 착탈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홀더(5)(6)에는 제1 및 제2 와이어(7)(8)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7)(8)를 한곳에 모아 피복한 메인와이어(10)는 컨넥터(9)에 접속되며, 상기 컨넥터(9)는 램프커버(3)의 외부에 마련되어 램프를 온, 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치(도시 안됨)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룸램프(1)는 램프커버(3)의 양측 수직벽(9)에 제1 및 제2 홀더(5)(6)를 리벳팅하여 고정시키게 된 것이므로 조립성이 나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램프커버(3)내에서 메인와이어(10)가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동되어 단선의 염려가 있고 조립작업에 불편을 주게 되며, 제1 및 제2 홀더(5)(6)에 접속된 제1 및 제2 와이어(7)(8)도 지지되어 있지 않아 유동으로 인한 단선의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 룸램프의 램프커버에 고정설치되어 전구가 착탈가능하도록 된 홀더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룸램프 내의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이로인한 단선의 염려와 조립시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의 룸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차내의 천정에 고정되는 램프커버와, 상기 램프커버의 양측 수직벽에 각각 고정설치 되는 제1 및 제2 홀더와,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전구와, 상기 램프커버 내에 구비된 컨넥터와 전구의 양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할기 위한 와이어들로 구성된 자동차 룸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를 수평부와 수직부로 절곡형성하되,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탄성편을 형성하고, 이와 조립되는 램프커버의 일측 수직벽에는 상기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홈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룸램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2 홀더의 수평구 일측에 룸램프 내의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한 가이드돌기 및 벤딩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룸램프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룸램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룸램프에서 제2 홀더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룸램프(20)는 크게 차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램프커버(21)와 이 램프커버(21) 내에 설치되는 전구(22)로 구성된다.
상기 램프커버(21)에는 수직벽(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벽(23)의 양측에 전구(22)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제1 및 제2 홀더(25)(26)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홀더(25)는 수직벽(23)의 일측에 스크류로 고정되고, 상기 제 2 홀더(26)는 수직벽(23)의 타측에 끼워맞춤식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홀더(26)를 수직부(27)와 수평부(28)로 나뉘어 지도록 절곡형성하되, 수직부(23)의 일측에 탄성편(29)을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수직벽(23)의 타측에는 상기 탄성편(29)이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유지홈(30)을 형성하며, 또한 제2 홀더(26)의 수직부(27) 타측에는 단턱(31)을 형성하고, 수직벽(23)에는 상기 단턱(31)이 끼워지는 지지홈(32)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홀더(26)를 램프커버(21)의 수직벽(23)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홀더(25)(26)에는 전구(22)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착탈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 홀더(25)(26)는 도전성재료로 제조되고, 전구(22)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일측이 개구된 홈(33)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홀더(25)(26)는 램프커버(21)에 구비된 컨넥터(36)와 제1 및 제2 와이어(37)(38)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컨넥터(36)는 램프커버(21)의 외측에 구비된 스위치(도시안됨)와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구(22)의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2 홀더(26)의 수평부(28) 일측에는 벤딩부(34) 및 가이드돌기(35)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벤딩부(34)에는 제1 및 제2 와이어(37)(38)를 한곳에 모은 메인와이어(39)가 삽입되어 보호지지되고, 가이드돌기(35)에는 수평부(28)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38)가 삽입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룸램프는, 램프커버(21)에 제2 홀더(26)를 조립할 때 제2 홀더(26)의 탄성편(29)과 단턱(31)을 램프커버(21)의 수직벽(23)에 형성된 걸림유지홈(30)과 지지홈(32)에 끼우게 되면, 탄성편(29)의 탄성변형에 의해 제2 홀더(26)가 램프커버(21)에 견고히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리벳팅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홀더(26)의 수평부(28)에 형성된 벤딩부(34)에 의해서는 램프커버(21)내의 컨넥터(36)와 연결되는 메인와이어(39)를 지지할 수 있게되므로 메인와이어(39)의 유동이 방지되어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단선의 염려와 조립작업시의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35) 사이에 제2 와이어(38)를 끼운후 수평부(28)에 고정하게 되면, 가이드돌기(35)에 의해 제2 와이어(38)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역시 단선 등의 염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룸램프에 의하면, 전구가 착탈되어지는 제2 홀더의 조립성이 용이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램프커버 내의 와이어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보호지지 됨으로써 조립시 방해되지 않으며 단선의 염려가 해소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차내의 천정에 고정되는 램프커버(21)와, 상기 램프커버(21)의 양측 수직벽(23)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1 및 제2 홀더(25)(26)와, 상기 제1 및 제2 홀더(25)(26)에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전구(22)와, 상기 램프커버(21) 내에 구비된 컨넥터(36)와 전구(22)의 양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37)(37)(39)들로 구성된 자동차 룸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26)를 수평부(28)와 수직부(27)로 절곡형성하되, 상기 수직부(27)의 일측에 탄성편(29)을 형성하고, 이와 조립되는 램프커버(21)의 일측 수직벽(23)에는 상기 탄성편(29)이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홈(30)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룸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26)의 수평부(28) 일측에 룸램프 내의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한 가이드돌기(35) 및 벤딩부(34)를 형성하여 되는 자동차의 룸램프.
KR2019940010544U 1994-05-13 1994-05-13 자동차의 룸램프 KR0128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544U KR0128609Y1 (ko) 1994-05-13 1994-05-13 자동차의 룸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544U KR0128609Y1 (ko) 1994-05-13 1994-05-13 자동차의 룸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48U KR950032848U (ko) 1995-12-16
KR0128609Y1 true KR0128609Y1 (ko) 1998-10-15

Family

ID=1938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544U KR0128609Y1 (ko) 1994-05-13 1994-05-13 자동차의 룸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6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48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6609A (en) Vehicle interior light
JP3629377B2 (ja) サンバイザの照明構造
JPH0678032U (ja) バイザーカバーアセンブリ
JP3465551B2 (ja) サンバイザのアセンブリ構造及びサンバイザの装着方法
CA2142404C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US20040252514A1 (en) Lamp unit mounting structure
KR0152569B1 (ko) 커넥터 설치구성체
US5238214A (en) Holding device for a connector associated with an electrically controlled automotive mirror
JP3679306B2 (ja) 室内装備取付ブラケット
KR0128609Y1 (ko) 자동차의 룸램프
JP4223920B2 (ja) 室内照明灯
JPH0648648Y2 (ja) ホールプラグ
US4910648A (en) Illuminated visor mounting bracket
JPH0220117Y2 (ko)
JPH0127532Y2 (ko)
KR970002664Y1 (ko) 차량의 사이드턴 램프 장착구조
KR0127259Y1 (ko) 차량용 룸램프컨넥터의 취부구조
KR19980065591U (ko) 자동차의 룸 램프 고정구조
JP2555771Y2 (ja) 車両用灯具
KR0131949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장착구조
JPH0717590Y2 (ja) 車両用室内灯
JPH0714067Y2 (ja) 車両用灯具
KR970006756Y1 (ko) 자동차의 도어 와이어링 하니스 장착구
KR200160659Y1 (ko) 도어스 커프트림
JP2001023418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