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566B1 -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566B1
KR0128566B1 KR1019940024533A KR19940024533A KR0128566B1 KR 0128566 B1 KR0128566 B1 KR 0128566B1 KR 1019940024533 A KR1019940024533 A KR 1019940024533A KR 19940024533 A KR19940024533 A KR 19940024533A KR 0128566 B1 KR0128566 B1 KR 0128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er
cover
fan
opening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279A (ko
Inventor
김완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2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566B1/ko
Publication of KR96001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4Mode transformers or mode stirrers
    • H05B6/745Rotatable stirr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 도파관의 개구부가 위치된 캐비티 상판에 설치되는 스터러 커버에 관한 것으로, 스터러팬이 설치되는 위치는 고주파를 최적으로 분산시켜서 분산효과를 좋게 해야 하고 임피던스 매칭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측으로 개방부(151)가 형성된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에는 캐비티 측벽(110)의 흡기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이 안내되며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가이드벽(152)(153)을 서로 대향되게 입설하고, 상기 스터러 커버(150)에 형성된 후방쪽 입벽(154)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스터러팬(140)(142)을 회전시킨 바람이 조리실로 배출되도록 배기공(156)(157)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으로, 투윈 스터러팬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고주파를 적절하게 분산시키게 되므로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제1도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스터러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측벽 112 : 흡기공
120 : 도파관 122 : 개구부
130 : 상판 140, 142 : 스터러팬
150 : 스터러 커버 151 : 개방부
152,153 : 가이드벽 154 : 입벽
156,157 : 배기공 158 : 보조 가이드벽
본 발명은 전자렌지 도파관의 개구부가 위치된 캐비티 상판에 설치되는 스터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스터러 커버의 상면에는 가이드벽을 입설하고 주연에 현성된 입벽의 양측 모서리에는 배기공을 형성함으로써 투윈 스터러팬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전장실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에서 고주파가 출력된다. 이후 이 고주파를 도파관을 통해 조리실로 보내게 되는데, 이렇게 보내진 고주파를 음식물에 조사시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고주파를 반사할 수 있는 수지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스터러팬을 설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터러팬은 단순히 고정된 상태로 있는 것보다 회동시키는 것이 그 반사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방법은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강제로 회전시키는 것과 냉각팬의 바람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스터러팬을 한 개 설치하는 방법보다는 수개 설치하는 방법이 고주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난반사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양호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냉각팬을 이용하여 스터러팬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있어, 그 스터러팬이 설치되는 위치는 고주파를 취적으로 분산시켜서 분산효과를 좋게 해야 하고, 인피던스 매칭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더군다나 흡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스터러팬을 적절하게 회전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투윈 스터러팬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이 더욱 미묘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이들 문제점은 더욱 크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윈 스터러팬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고주파를 적절하게 분산시키게 되므로 최적의 요리를 할 수 있는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이 개구된 스터러 커버의 상면에는 캐비티 측벽의 흡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이 안내되며 한쌍의 스터러팬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벽을 서로 대향되게 입설하고, 상기 스터러 커버에 형성된 후방쪽 입벽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스터러팬을 회전시킨 바람이 조리실로 배출되는 배기공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전자랜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는 본 발명의 스터러팬 커버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으로 개방부(151)가 형성된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에는 캐비티 측벽(110)의 흡기공(112)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이 안내되며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가이드벽(152)(153)을 서로 대향되게 입설하고, 상기 스터러 커버(150)에 형성된 후방쪽 입벽(154)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스터러팬(140)(142)을 회전시킨 바람이 조리실로 배출되는 배기공(156)(157)을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에는 보조 가이드벽(158)을 입설하여 스터러팬(140)(142)의 회전효과를 높여 준다.
그리고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은 도파관(120)의 개구부(122) 중심에서 거리가 λ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고주파를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캐비티 측벽(110)에 형성된 흡기공(112)의 일측으로 상기 스터러 커버(150)의 개방부(151) 일부가 위치되게 하여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캐비티 측벽(110)에 형성된 흡기공(112)으로 유입된 바람이 스터러 커버(150)의 개방부(151) 방향으로 유입되게 되면, 그 바람은 전방의 가이드벽(152)을 따라 안내되면서 일측의 스터러팬(140)(142)을 회동시키고 난 다음 배기공(156)으로 배출되는 동시에 그 바람은 후방의 가이드벽(153)을 따라 타측 스터러팬(140)(142)을 회전시키고 난 후 배기공(157)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조리실에 고주파를 골고루 조사시킴으로써 그 고주파로 인해 조리되는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하기 위해서 스터러팬(140)(142)을 두 개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스터러팬(140)(142)은 각각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에 형성한 회전축에 끼워져 별도의 모터나 냉각팬의 바람을 이용하여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스터러팬(140)(142)이 고주파를 적절하게 분산시켜 줄 수 없으므로, 분 발명에서는 그 원활한 회전을 위해 일단 상기 스터러 커버(150)의 개방부(151) 일부가 캐비티 측벽(110)의 흡기공(112)에 일측으로 위치되게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냉각팬으로 인해 발생된 바람은 스터러팬(140)(142)의 개방부(151)에 있어, 일부는 막힌 상태가 되는 것이고, 나머지 일부는 열린 상태가 되어 그 열린부분으로만 바람이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스터러 커버(150)의 주연으로 형성된 후방쪽 입벽(154)의 모서리에는 배기공(156)(157)을 각각 형성해 준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터러팬(140)(142)을 회전시킨 바람은 각각의 배기공(156)(157)을 통해 조리실 내로 배출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터러팬(140)(142)의 회전을 더욱 원활히 해주기 위한 방편으로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에는 가이드벽(152)(157)을 서로 대향되게 형성해 준다. 이것은 일측 가이드벽(152)으로는 상기 흡기공(112)을 통해 유입된 바람이 안내되어 일측 스터러팬(140)을 회전시켜 주면서 배기공(156)을 통해 조리실 내로 배출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터러팬(140)을 회전시킨 바람은 타측 스터러팬(142)을 회전시켜 준 이후 배기공(157)을 통해조리실 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 상기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 일측에는 보조 가이드벽(158)을 입설해 준다. 이는 상기 바람의 유입이 보다 확실하게 안내되므로, 스터러팬(140)(142)의 회전속도를 향상시켜 주어 고주파의 분산성을 높게 해 준다.
이때, 상기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은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이다. 이것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스터러팬(140)(142)이 회전하는 상태가 되어 고주파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터러팬(140)(142)의 직경을 서로 다른 상태로 형성해 주는 것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스터러 커버(150)를 캐비티 상판(130)에 설치되는 위치를 보게 되면, 본 발명의 스터러팬(140)(142)이 도파관 (120)의 개구부(122) 중심에서 그 거리가 λ이상 벗어나지 않게 설치해야 한다. 그 이유는 , 만일 그 이상 벗어나는 상태가 되면 고주파를 적절히 분산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스터러팬(140)(142)의 설치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에 따르면, 투윈 스터러팬 커버의 개방부를 캐비티 측벽의 흡기공에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스터러팬 커버의 상면에는 수개의 가이드벽을, 입벽에는 수개의 배기공를 형성함으로써 투윈 스터러팬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고주파를 적절하게 분산시키게 되므로 최적의 요리를 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전자렌지 도파관(120)의 개구부(122)가 위치된 캐비티 상판(130)에 설치되는 스터러 커버(150)에 있어서 일측으로 개방부(151)가 현성된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에는 캐비티 측벽(110)의 흡기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이 안내되며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가이드벽(152)(153)을 서로 대향되게 입설하고, 상기 스터러 커버(150)에 형송된 후방쪽 입벽(154)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스터러팬(140)(142)을 회전시킨 바람이 조리실로 배출되도록 배기공(156)(157)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 커버(150)의 상면에는 보조 가이드벽(158)을 입설하여 스터러팬(140)(142)의 회전효과를 높여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은 도파관(120)의 개구부(122) 중심에서 거리가λ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고주파를 적절히 분산 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캐비티 측벽(110)에 형성된 흡기공(112)의 일측으로 상기 스터러 커버(150)의 개방부(151) 일부가 위치되게 하여 한쌍의 스터러팬(140)(14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KR1019940024533A 1994-09-28 1994-09-28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KR012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533A KR0128566B1 (ko) 1994-09-28 1994-09-28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533A KR0128566B1 (ko) 1994-09-28 1994-09-28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279A KR960011279A (ko) 1996-04-20
KR0128566B1 true KR0128566B1 (ko) 1998-04-09

Family

ID=1939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533A KR0128566B1 (ko) 1994-09-28 1994-09-28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5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279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8708A (ko) 가열조리기
KR20050042601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 안내장치
EP1437922B1 (en) Cooking appliance and a motor mounting unit therefore
JPS5950890B2 (ja) 加熱装置
EP0768809B1 (en) Protective cover for a convection microwave oven
KR0128566B1 (ko)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JPH1163512A (ja) 電子レンジ
JP2004077107A (ja) 電子レンジ
KR0128565B1 (ko) 전자렌지용 투윈 스터리팬 설치구조
KR100474338B1 (ko) 원심팬의 임팰러구조
KR200178151Y1 (ko)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KR960010565Y1 (ko) 전자렌지 스터리팬 회전용 냉각공기 유통구조
US20030230570A1 (en) Microwave oven having side wave dispersing unit
KR100284084B1 (ko) 전자렌지
JPS62268919A (ja) 熱風循環式調理器
KR200147432Y1 (ko) 전자렌지의고주파분산용스터러팬
KR100284683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KR950009707Y1 (ko) 전자레인지의 스티러/컨벡션 겸용장치
KR100474339B1 (ko) 원심팬의 소음저감구조
KR100480106B1 (ko) 원심팬용 임팰러의 림형성구조
KR930007718Y1 (ko) 전자레인지의 스터러팬
JPH06111935A (ja) 高周波加熱装置
JPS62268920A (ja) 熱風循環式調理器
KR900002163Y1 (ko) 전자레인지의 균일 가열장치
KR100474337B1 (ko) 원심팬의 임펠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