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151Y1 -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151Y1
KR200178151Y1 KR2019950006610U KR19950006610U KR200178151Y1 KR 200178151 Y1 KR200178151 Y1 KR 200178151Y1 KR 2019950006610 U KR2019950006610 U KR 2019950006610U KR 19950006610 U KR19950006610 U KR 19950006610U KR 200178151 Y1 KR200178151 Y1 KR 200178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er
hole
cover
pa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136U (ko
Inventor
이중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06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151Y1/ko
Publication of KR960035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4Mode transformers or mode stirrers
    • H05B6/745Rotatable stirr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렌지의 고주파 분산용 스터러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스터러 커버가 조리실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주파가 효율적으로 조사되지 못하므로 음식물 조리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캐비티 상판의 내측으로는 요입부를 포밍 형성하고, 그 요입부에 형성한 축공의 외부에서 모터 축을 삽입한 후 내부에서 스터러팬의 구멍과 회동구의 삽지부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구의 이면에는 중심돌부를 하향으로 형성한 다음, 그 중심돌부가 끼워져 회동되도록 한 홈이 형성된 수지물을 스터러 커버에 부설하면서 그 스터러 커버로 상기 요입부를 덮도록 캐비티 상판에 고정설치하여 된 것으로, 스터러팬이 설치되는 캐비티 상판에 요입부를 형성하였으므로 그 요입부로 인해 전파분산효과는 보다 향상되어 음식물 조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스터러팬 설치 구조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판 112 : 요입부
114 : 축공 116 : 걸림공
120 : 스터러팬 122 : 구멍
130 : 스터러 커버 132 : 수지물
134 : 회동홈 140 : 모터
142 : 축 150 : 회동구
152 : 삽지부 154 : 중심돌부
156 : 걸림편
본 고안은 전자 렌지의 고주파 분산용 스터러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캐비티 상판으로 요입부를 포밍 형성한 후 그 요입부에 스터러팬을 설치함으로써 요입부에 의해 전파 분산 효과를 보다 향상시켜 음식물 조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 전자 렌지의 스터러팬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렌지는 마그네트론으로 부터 발진되는 전자파, 즉 고주파 에너지나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양자의 방법 중 전자, 곧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에 있어, 그 고주파 에너지를 음식물에 좀 더 균일한 상태로 조사시켜 주기 위해서는 상기 고주파 에너지의 통로가 되는 도파관의 개구부쪽에 스터러팬을 설치해 주고 있는데, 이때 스트러 팬을 회동시켜 주는 방식에 있어 첫째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과 둘째로 냉각팬에 의해 생성된 바람으로 구동되는 것 두가지 형태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동되는 스터러팬의 설치 구조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는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캐비티 상판(10)에는 축공(12)을 형성하고, 그 축공(12)에는 스터러팬(20)과 간격 유지봉(40)을 차례로 끼워지도록 한 축(22)을 삽입 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스터러팬(20)을 씌우면서 스터러 커버(30)를 캐비티 상판(10)에 별도의 체결 수단으로 체결토록 하였다. 이때, 상기 스터러 커버(30)는 조리실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었다.
일단,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 에너지의 통로가 되는 도파관의 개구부쪽 상판(10)에 스터러팬(20)을 설치하여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난반사시켜 주도록 하고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설치된 스터러팬(20)은 유전체 물질의 보다 유용한 효과를 주고 있으나 음식물 요리에 그리 큰 향상을 가져다 주지는 못했었다.
이러한 현상은 렌지 설계에 있어 전계 밀도가 캐비티 내에서 항상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캐비티를 설계하는 데 있어, 정당한 규격으로 설계하게 된다면 전자파의 균일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렇게 캐비티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상기 스터러팬(20)을 이용하여 고주파 에너지의 균일 분산효과를 향상시켜 주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스터러팬(20)을 설치했을 경우, 고주파 에너지를 분산시켜 줄 수 있었으나 그 효과가 미흡해서 효율적인 음식물 조리를 할 수 없었다.
다시말해, 유입되는 공기가 불규칙하게 유입되어 스터러팬(20)의 동작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고, 또한 상기처럼 스터러 커버(30)가 조리실 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주파가 효율적으로 조사되지 못하기 때문에 조리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파분산 효과를 최대로 향상시켜 음식물 조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 전자 렌지의 스터러팬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캐비티 상판의 내측으로는 요입부를 포밍 형성하고, 그 요입부에 형성한 축공의 외부에서 모터 축을 삽입한 후 내부에서 스터러팬의 구멍과 회동구의 삽지부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구의 이면에는 중심돌부를 하향으로 형성한 다음, 그 중심돌부가 끼워져 회동되도록 한 홈이 형성된 수지물을 스터러 커버에 부설하면서 그 스터러 커버로 상기 요입부를 덮도록 캐비티 상판에 고정 설치하여 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 전자 렌지의 스터러팬 설치 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처럼, 본 고안은 캐비티 상판(110)의 내측으로는 요입부(112)를 포밍 형성하고, 그 요입부(112)에 형성한 축공(114)의 외부에서는 모터(140) 축(142)을 삽입한 후 내부에서는 그 축(142)으로 스터러팬(20)의 구멍(122)과 회동구(150)의 삽지부(152)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구(150)의 이면에는 중심돌부(154)를 하향으로 형성한 다음, 그 중심돌부(154)가 끼워져 회동되도록 한 회동홈(134)이 형성된 수지물(132)을 스터러 커버(30)에 부설하면서 그 스터러 커버(30)로 상기 요홈부(112)를 덮도록 캐비티 상판(110)에 고정 설치하여 된 것이다.
상기 스터러팬(20)의 구멍(122) 주변에는 수개의 걸림공(124)을 형성한 후 그 걸림공(124)에 걸려지게 상기 회동구(150)의 표면에 수개의 걸림편(156)을 입설한다.
상기 모터(140)의 축(142)과 스터러팬(20)의 구멍(122) 그리고 회동구(150)의 삽지부(152)는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회동될 수 있게 각이 진 형태로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작동 상태를 보면서 이에 따른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캐비티 상판(110)으로 형성한 요입부(112)의 축공(114)에는 외부쪽에서 모터(140)의 축(142)을 삽입시켜 준다. 이어 그 내부쪽으로 돌설되는 축(142)은 스터러팬(20)의 구멍(122)을 통해 회동구(150)의 삽지부(152)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회동구(150) 이면으로 형성한 중심돌부(154)는 수지물(132)의 회동홈(134)에서 회동되게 설치하되 그 수지물(132)은 스터러 커버(30)에 부설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처럼 수지물(132)을 별도로 구비하여 스터러 커버(30)에 부설하게 된것은 그 스터러 커버(30)의 재질이 운모판(Mica sheet)으로 되어 있어 상기의 회동홈(134)을 형성해 줄 때 상기 스터러 커버(30)가 파손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스터러팬(2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렌지를 작동함에 따라 모터(140)가 작동되어 그 축(142)에 의해 스터러팬(120)이 회동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구(150)도 함께 회동되는 것이다. 특히 그 회동구(150)는 스터러 커버(130)에 부설된 수지물(132)의 회동홈(134)에 상기 회동구(150)의 중심돌부(154)가 위치한 상태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고안의 스터러팬(20)은 그 회전이 일정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요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캐비티 상판(110)으로 요입부(112)를 포밍 형성하였기 때문에 고주파 분산 효과는 사실상 더욱 증대되어 음식물 조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터러팬(120)의 구멍(122) 주변에는 수개의 걸림공(124)을 형성한 후 상기 회동구(150)의 표면에 수개의 걸림편(156)을 입설하여 상기 걸림공(124)을 걸림편(156)이 삽입되어 상기 스터러팬(120)에 회동구(150)가 견고히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모터(140)의 축(142)과 스터러팬(120)의 구멍(122) 그리고 회동구(150)의 삽지부(152)는 각이 진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 데, 이는 상기의 부품들이 단지 원통형으로 되었을 경우 이것이 서로 유동될 수 있는 소지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 원활히 회전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전자 렌지의 스터러팬 설치 구조에 따르면, 스터러팬이 설치되는 캐비티 상판에 요입부를 형성하였으므로, 그 요입부로 인한 전파분산 효과는 보다 향상되어 음식물 조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전자 렌지의 캐비티 상판(110)에 설치되어 고주파를 분산시키도록 한 스터러팬(120)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상판(110)의 내측으로는 요입부(112)를 포밍 형성하고, 그 요입부(112)에 형성한 축공(114)의 외부에서는 모터(140) 축(142)을 삽입한 후 내부에서는 그 축(142)으로 스터러팬(120)의 구멍(122)과 회동구(150)의 삽지부(152)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구(150)의 이면에는 중심돌부(154)를 하향으로 형성한 다음, 그 중심돌부(154)가 끼워져 회동되록 한 회동홈(134)이 형성된 수지물(132)을 스터러 커버(30)에 부설하면서 그 스터러 커버(30)로 상기 요입부(112)를 덮도록 캐비티 상판(110)에 고정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렌지의 스터퍼팬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팬(120)의 구멍(122) 주변에는 수개의 걸림공(124)을 형성한 후 그 걸림공(124)에 걸려지게 상기 회동구(150)의 표면에 수개의 걸림편(156)을 입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렌지의 스터러팬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40)의 축(142)과 스터러팬(120)의 구멍(122) 그리고 회동구(150)의 삽지부(152)는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회동될 수 있게 각이 진 형태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렌지의 스터러팬 설치 구조.
KR2019950006610U 1995-04-03 1995-04-03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KR200178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610U KR200178151Y1 (ko) 1995-04-03 1995-04-03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610U KR200178151Y1 (ko) 1995-04-03 1995-04-03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36U KR960035136U (ko) 1996-11-21
KR200178151Y1 true KR200178151Y1 (ko) 2000-05-01

Family

ID=1941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610U KR200178151Y1 (ko) 1995-04-03 1995-04-03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1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40B1 (ko) 2006-10-26 2008-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40B1 (ko) 2006-10-26 2008-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36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5662A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liance with an antenna and stirrer assembly
GB2267634A (en) Microwave oven with electromagnetic wave distributor
EP0768809B1 (en) Protective cover for a convection microwave oven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200178151Y1 (ko)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US6686575B2 (en) Microwave oven having side wave dispersing unit
KR0128565B1 (ko) 전자렌지용 투윈 스터리팬 설치구조
KR200147432Y1 (ko) 전자렌지의고주파분산용스터러팬
KR0122800Y1 (ko) 전자렌지 스터러팬의 설치구조
KR950009707Y1 (ko) 전자레인지의 스티러/컨벡션 겸용장치
KR870003975Y1 (ko) 전자레인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KR0128566B1 (ko) 전자렌지의 투윈 스터러팬 커버
KR970003077Y1 (ko) 컨벡션 및 스터러겸용 팬이 구비된 전자렌지
KR200153686Y1 (ko) 전자렌지의 조리접시 받침판
KR200269395Y1 (ko) 전자레인지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960006981B1 (ko) 전자렌지의 컨백션팬 및 도파관 설치구조
KR100234743B1 (ko) 전자렌지의 균일가열장치
KR19990038201A (ko) 전자렌지의 커버 결합장치
KR200150285Y1 (ko) 전자렌지의 사절판 구조
KR200190121Y1 (ko)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커플러와 스터러 모터 샤프트 결합구조
KR0171332B1 (ko) 전자레인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KR960010565Y1 (ko) 전자렌지 스터리팬 회전용 냉각공기 유통구조
KR0181554B1 (ko) 전자렌지의 고주파 분산구조
KR200151431Y1 (ko)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