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392Y1 -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 Google Patents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392Y1
KR0128392Y1 KR2019960012329U KR19960012329U KR0128392Y1 KR 0128392 Y1 KR0128392 Y1 KR 0128392Y1 KR 2019960012329 U KR2019960012329 U KR 2019960012329U KR 19960012329 U KR19960012329 U KR 19960012329U KR 0128392 Y1 KR0128392 Y1 KR 0128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rass protection
connecting means
protection block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251U (ko
Inventor
민윤기
Original Assignee
민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윤기 filed Critical 민윤기
Priority to KR2019960012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392Y1/ko
Publication of KR970060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2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공사기간 및 녹지조성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과 아울러 시공범위를 확장시키는 목적과, 먼지 또는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고 토사유실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목적과, 생/광 붕괴 및 분해성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식생충 보호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면 토양속에서 붕괴 및 분해되어 환경오염 내지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구(4b) 및 볼트공(4c)을 갖는 메쉬형 스크린(4)이 내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비드부가 돌출 형성된 블록(B)과, 상기 블록(B)을 다수개 연결 고정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연결수단(30,10)을 포함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30, 10)은 각각의 모서리부 및 중앙부에 고정홀(32)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브라킷(30)과, 볼트공(12a)이 형성된 평판플레이트(12)의 중앙에 파이프 형상의 고정핀홀(14)이 부착된 구조로 된 하부브라킷(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30, 10)에 의해 고정설치된 블록(B)과 블록(B)의 사이에는 상기 블록(B)의 외측에 돌출된 비드부가 상호 결합되어 수로(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본 고안은 절/성토부 등의 법면을 녹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발생 억제와 비산방지, 토층·뗏장의 토사유실(쇠골현상)방지, 비탈면 누수처리, 훼손된 자연환경을 속성으로 복구하고 녹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성토부의 보호 또는 조경단지 조성 및 사방공사 등의 토목공사에는 표면 녹지조성과 함께 토사유실의 방지를 위해 법면보호공이 실시되는 바, 상기 법면보호공에는 절/성토부에 철망 또는 그물망을 씌워 보호하는 방법, 콘크리트 블록 및 옹벽을 설치하여 보호하는 방법,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블록을 설치하여 보호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표면 녹지조성을 위한 잔디 이식방법에는 잔디 씨앗을 살포하는 시드스프레이(seed spray)방법, 잔디 뗏장을 입히는 줄떼, 평떼 등의 방법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잔디 뗏장을 입히기 위한 종래의 블록형 식재공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녹지조성을 위한 비탈면을 절개 및 정리한 후, 블록을 설치하기위한 터파기를 실시한다.
다음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블록을 조립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한다.
그리고, 흙을 되메운 후에 정리 및 흙 다짐을 한다.
다음, 뗏장이식을 위한 터파기를 하고 뗏장을 이식한다.
다음에, 뗏장사이에 복토를 얹고 복토를 다진다.
이어서, 뗏장이 이탈되지 않도록 뗏장 꼬지를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블록형 식재공법은 현장에서 블록을 조립설치하거나 콘크리트로 블록을 설치해야 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블록에 잔디 뗏장을 이식하는 이원화된 방법으로 이루어져 시공 공정 순서가 많기 때문에 시공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과, 시공후 1∼2년 정도 경과된 후에야 녹지가 조성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시공단계 내지 녹지조성이 이루어지는 단계인 1∼2년 정도에는 먼지 또는 분진이 비산된다는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에는 표면수로 인한 세굴이 심하여 토사유실이 많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홍수의 피해가 우려된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홍수 피해나 자연훼손 등에 의한 복구기간이 길어 기술적으로 불리하다는 또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블록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에서 분해되지 않으므로, 녹지가 조성된 후에도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및 토양오염이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사기간 및 녹지조성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과 아울러 시공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먼지 또는 분진의 비산을 억제하고 토사유실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생/광 붕괴 및 분해성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식생충 보호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면 토양속에서 붕괴 및 분해되어 환경오염 내지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하는 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블록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의 개략적인 결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의 결합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연결수단인 하부브라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 연결수단인 상부브라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사각 플레이트 2a : 수로
4 : 스크린 4b : 연결조인트홀
10 : 하부브라킷 12 : 평판플레이트
12a : 볼트공 14 : 고정핀홀
20 : 볼트 22 : 슬리브
24 : 고정핀 30 : 상부브라킷
32 : 고정홀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구 및 볼트공을 갖는 메쉬형 스크린이 내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비드부가 돌출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을 다수개 연결 고정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수단은 각각의 모서리부 및 중앙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브라킷과, 볼트공이 형성된 평판플레이트의 중앙에 파이프 형상의 고정핀홀이 부착된 구조로 된 하부브라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된 블록과 블록의 사이에는 상기 블록의 외측에 돌출된 비드부가 상호 결합되어 수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의 부분별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메쉬형 스크린은 식물의 뿌리가 원지반에 토착할 수 있도록 된 통로장치이며, 지하수분과 영양분 파괴 및 증발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에 형성된 수로는 표토수 내지 빗물이 배수되는 통로이며, 구간별 토사유실(쇠골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브라킷은 블록과 블록을 하부에서 연결하는 장치이며, 원지반과 블록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상기 상부브라킷은 블록과 블록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하부브라킷을 사용할 수 없는 암반지역에서 식생토와 잔디 뗏장이 충진된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은 법면의 형태 및 지반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크기 및 다양한 모양(예컨대, 삼각형, 원형, 사각형 등)을 갖는 다수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와 같이 구비된 다수의 블록에 잔디를 이식하여 재배함으로써 모판을 만든다.
그리고, 녹화시키기 위해 상기한 블록을 필요로하는 절/성토부를 절개 및 정리한 다음에 상기 절/성토부의 형태 및 지반의 상태 여부를 알맞는 모판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시공 즉시 녹지가 조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B)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2)의 내측 중앙부에 뗏장을 안착할 수 있도록 스크린(4)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린(4)은 스크린(4) 상단에 안착된 잔디 뗏장이 원지반에 뿌리를 내려 토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리브(4a)가 형성된 메쉬(mesh)형으로 되어 있고, 네 모서리부 및 중앙부에는 각각 파이프 형상의 연결조인트홀(4b)이 고정되어 상하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 플레이트(2)의 외측에는 비드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블록이 연결된 상태하에서 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블록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브라킷(10)에 의해 연결 고정설치되는 바, 상기 하부브라킷(1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을 이루도록 볼트공(12a)이 형성된 평판플레이트(12)의 중앙에 파이프 형상의 고정핀홀(14)이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블록 스크린(4)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조인트홀(4b)과 상기 하부브라킷(10)의 평판플레이트(12) 일측에 형성된 볼트공(12a)을 맞추어 볼트(20)로써 체결하고, 다른 볼트공(12a')에는 다른 블록 스크린(4)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조인트홀(4b')과 체결하는 방식으로하여 네 개의 블록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네 개의 블록을 연결하면, 상기 각각의 블록 모서리부 사이에는 상기 하부브라킷(12)에 부착된 고정핀홀(14)이 돌출되는 바, 여기에는 슬리브(22)가 삽입되고 이어 고정핀(24)을 압입함으로써 원지반에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결합상태하에서는 각각의 사각 플레이트(2) 외측에 돌출된 비드부가 결합되어 빗물 또는 표토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수로(2a)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을 암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모서리부 및 중앙부에 고정홀(32)이 형성된 상부브라킷(30)을 네개의 블록 모서리부 상측에 고정함으로써 네개의 블록을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블록 스크린(4)의 모서리부에 돌출 성형된 연결조인트홀(4b)에는 상기 상부브라킷(3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고정홀(32)을 맞추고, 여기에 슬리브(22)를 삽입한 다음 고장핀(24)을 압입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블록 모서리부를 상기 상부브라킷(30)으로 고정함으로써 네 개의 블록이 일체로 연결되어 암반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에는 평상시에 잔디를 재배하여 모판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시공 장소의 형태 및 지반상태 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즉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을 설치한 즉시 녹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에 의하면 시공 공정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므로 시공능률이 향상되며, 시공 즉시 녹지가 조성되므로 먼지 또는 분진의 비산과 토사유실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반절개면에도 설치하여 녹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시공범위 확장의 다른 효과도 있다.
또, 생/광 붕괴 및 분해성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식생층 보호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면 토양속에서 붕괴 및 분해되어 환경오염 내지 토양오염이 방지된다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과,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연결구(4b) 및 볼트공(4c)을 갖는 메쉬형 스크린(4)이 내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에는 비드부가 돌출 형성된 블록(B)과, 상기 블록(B)을 다수개 연결 고정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연결수단(30,10)을 포함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 10)은 각각의 모서리부 및 중앙부에 고정홀(32)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브라킷(30)과, 볼트공(12a)이 형성된 평판플레이트(12)의 중앙에 파이프 형상의 고정핀홀(14)이 부착된 구조로 된 하부브라킷(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 10)에 의해 고정설치된 블록(B)과 블록(B)의 사이에는 상기 블록(B)의 외측에 돌출된 비드부가 상호 결합되어 수로(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KR2019960012329U 1996-05-14 1996-05-14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KR0128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329U KR0128392Y1 (ko) 1996-05-14 1996-05-14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329U KR0128392Y1 (ko) 1996-05-14 1996-05-14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51U KR970060251U (ko) 1997-12-10
KR0128392Y1 true KR0128392Y1 (ko) 1998-10-15

Family

ID=1945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329U KR0128392Y1 (ko) 1996-05-14 1996-05-14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3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42B1 (ko) * 2006-11-16 2007-02-2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39B1 (ko) * 1999-05-10 2001-06-01 문영만 잔디 보호대
KR102124701B1 (ko) * 2018-10-19 2020-06-18 김진태 보수율이 우수한 밭작물 영농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42B1 (ko) * 2006-11-16 2007-02-2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51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Broome et al. Shoreline erosion control using marsh vegetation and low-cost structures
KR0128392Y1 (ko)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KR100671902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CN210782233U (zh) 一种桥梁边坡的立体绿化装置
CN211240745U (zh) 一种盐碱地排盐、防盐生态结构
JPH1132568A (ja) 乾燥地・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JP3547079B2 (ja) 法面の保護・緑化工法および法面保護・緑化用法枠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0224504B1 (ko)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KR100427588B1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KR100317471B1 (ko) 식생 및 토사유출 방지용 블록과 그 시공방법
KR100317472B1 (ko)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0046694A (ko) 녹화 마대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지의 녹화 공법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KR200242405Y1 (ko) 사면식생 설치구조
KR200163427Y1 (ko) 천연잔디산마루측구용블럭
KR100614087B1 (ko)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CN215290170U (zh) 高陡岩坡生态袋结合sns柔性防护网绿化防护结构
KR200163563Y1 (ko) 경사면의속성녹화용블럭
JP3920084B2 (ja) 切土補強面における植生構造
KR100680035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