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32B1 - 승용 완구 - Google Patents
승용 완구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8032B1 KR0128032B1 KR1019940002096A KR19940002096A KR0128032B1 KR 0128032 B1 KR0128032 B1 KR 0128032B1 KR 1019940002096 A KR1019940002096 A KR 1019940002096A KR 19940002096 A KR19940002096 A KR 19940002096A KR 0128032 B1 KR0128032 B1 KR 0128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ssis
- spring
- control
- wheel
- front whe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6—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in the form of a bicycle, with or without riders there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가 완구의 몸체 상부네 앉아서 상하로 움직이면, 완구가 탄력적으로 바운딩하면서 마치 실제 동물을 타고 즐기는 것 처럼 박진감있게 전진하고,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완구의 진행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용 완구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외관은 섬유직물이나 플라스틱 성형물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과 굴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안장(11)이 등부위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물형상의 몸체(10)와, 몸체(10)의 내부에서 머리쪽과 앞다리쪽으로 연장되고 앞다리쪽으로 연장되고 앞다리 중간부에 전면걸고리(21)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와 전,후진구동전환레버(2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면섀시(20)와, 몸체(10)의 내부에서 뒷다리쪽으로 연장되고 뒷다리 중간에 후면걸고리(31)가 형성되어 전면섀시(20)의 전면고리(21)에 인장스프링(41)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몸체(10)의 안장(11) 하단과 연동되고 조절바(42)에 의해 굴절폭이 제어되도록 하는 구동장치(40)와, 몸체(10)의 앞다리에 앞바퀴브라켓(51)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치되어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앞바퀴(캐스터:caster)(50)와, 몸체(10)의 뒷다리에 뒷바퀴브라켓(51a)으로 장치되어 구동방향이 전환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뒷바퀴(50a)와, 전면섀시(20)의 하단부와 앞바퀴브라켓(51) 사이에 장치되고 전면섀시(20)의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에 연동되어 앞바퀴(5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주행방향전환장치(60)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몸체를 부분절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앞바퀴를 나타낸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레버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뒷바퀴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전진래칫을 나타낸 측면도.
(b)는 후진래칫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몸체 11 : 안장
20 : 전면섀시 22 : 주행방향조절손잡이
23 : 전,후진구동전환레버 30 : 후면섀시
40 : 구동장치 42 : 조절바
44 : 제어턱 45 : 탄력스프링
50 : 앞바퀴 50a : 뒷바퀴
57 : 작동레버 60 : 방향전환장치
61 : 베어링브라켓 62 : 푸쉬로드
본 발명은 동물형상을 가지는 승용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자가 완구의 몸체 상부에 앉아서 상하로 움직이면, 완구가 탄력적으로 바운딩하면서 마치 실제 동물을 타고 즐기는 것 처럼 박진감있게 전진하고,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완구의 진행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용 완구는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의 몸체 하부가 스프링에 의새 베이스에 탄지되거나, 앞. 뒤 다리 하단에 연결되는 곡면의 요람이 양측에 형성되고, 완구의 머리 양쪽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승용 완구는 손잡이를 잡고 몸체에 앉아서 몸을 흔들어 목마가 전후로 흔들리거나 상하로 흔들리도록 되며,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흔들리거나 요람에 의해 전후로 흔들리기만 하고,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쉽게 실증을 내게되고, 실제로 승마를 하는 기분이 들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고 한차원 더 개발하여 종래에 없던 탄발력에 의해 구동하는 방법을 사용한 새로운 기술을 발명하므로써 더욱 박진감 넘치는 오락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의 안장에 연동되도록 구동장치를 구성하고, 구동장치에 의해 전진하는 바퀴의 이동방향을 가변시켜 주는 방향전환장치를 장치하여, 탑승자가 몸체 상부에 앉아서 상하로 움직이면, 탄력적으로 바운딩하면서 전진하고,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방향전환장치가 작동되어 바뮈의 진행방향을 가변시키도록 하는 승용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의 외형은 섬유직물이나 플라스틱성형물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과 굴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탄력스프링의 중간부에 위쪽으로 접합되어 있는 안장(11)이 등부위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물형상의 몸체(10)와, 몸체(10)의 내부에서 판스프링을 중심으로 코일스프링이 나선형으로 감아져서 두 개의 스프링의 양측끝은 서로 접합되어 일체로 되어 있고 이러한 탄력스프링을 중심으로 일측에 전면섀시가 접합되고 타측의 탄력스프링에 후면섀시가 접합되어서 굴절과 복원이 가능하게 전,후면섀시의 머리쪽과 앞다리쪽으로 연장되고 앞다리 중간부에 전면걸고리(21)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와 전,후진구동전환레버(2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면섀시(20)와, 몸체(10)의 내부에서 뒷다리쪽으로 연장되고 뒷다리 중간에 후면걸고리(31)가 형성되어 전면섀시(20)의 전면걸고리(21)에 인장스프링(41)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후면섀시(30)와, 전면걸고리(21) 상부의 전면섀시(20)와 후면걸고리(31) 상부의 후면섀시(30) 사이에 연결되어 몸체(10)의 안장(11) 하단과 연동되고 조절바(42)에 의해 굴절폭이 제어되도록 하는 구동장치(40)와, 몸체(10)의 앞다리에 앞바퀴브라켓(51)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치되어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앞바퀴(캐스터:caster)(50)와, 몸체(10)의 뒷다리에 뒷바퀴브라켓(51a)으로 장치되어 회동방향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뒷바퀴(50a)와, 전면섀시(20)의 하단부와 앞바퀴브라켓(51) 사이에 장치되고 전면섀시(20)의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에 연동되어 앞바퀴(5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방향전환장치(60)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몸체는 섬유직물 또는 합성수지성형물로 말, 호랑이, 사슴, 개 등의 동물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된다.
구동장치(40)는 전면섀시(20)의 전면걸고리(21)와 후면섀시(30)의 후면걸고리(31) 인장스프링(41)의 양단부가 인장하중을 가지고 탄지되고, 인당스프링(41) 상부에서 탄력스프링(45)과 코일스프링(43)의 양단이 각기 전면섀시(20)와 후면섀시(30)에 굴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전, 후걸고리(21)(31)는 인장스프링(41)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걸고리(21)와 후면걸고리(31) 상부에서 각기 체결홈들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제어턱(44)이 서로 접촉가능하도록 전면섀시(30)에 각각 부착되고, 양측의 제어턱(44) 체결홈에 각각 조절바(42)의 일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조절바(42)의 타단부가 서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구동장치(40)는 탑승자가 안장(11)에 앉아 상하로 움직이면, 탑승자의 위치에 따른 운동에너지의 변화에 따라 전면섀시(20)와 후면섀시(30)의 하단부가 전후면쪽으로 신축을 반복하게 된다. 즉, 안장(11)을 통해 전해지는 하중이 탄력스프링(45)과 코일스프링(43) 보다 크게 되면, 전면섀시(20)와 후면섀시(30)가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전,후면섀시(20)(30)는 인장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수축된다. 또한, 제어턱(44)에 체결되는 조절바(42)는 절곡되게 연결되는 양쪽의 바가 수평하게 펴지게 되어 전면섀시(20)와 후면섀시(30)의 확장을 제어하게 되며, 조절바(42)의 일단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제어턱(44)의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신축의 폭을 조절하게 된다. 앞바퀴(50)는 일방향으로만 구동되도록 내부에 클러치베어링(B)이나 래칫휠이 장착되며, 캐스터와 같이 킹핀(king pin)의 원리로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방향전환장치(60)는 중심부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되는 베어링브라켓(61)이 전면섀시(20)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베어링브라켓(61)의 중심부 내주면에 앞바퀴브라켓(51)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베어링(52)이 삽입되어 단턱에 지지되며, 베어링브라켓(61) 일측에 하부가 개구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앞바퀴브라켓(51) 상단면에 소정의 각도마다 삽입홈(53)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작동공간 내부에는 푸쉬로드박스(63)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푸쉬로드박스(63) 상단면에 전면섀시(20)의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가 케이블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푸쉬로드박스(63) 내부에 앞바퀴브라켓(51)의 삽입홈(53)에 삽입되도록 하는 푸쉬로드(62)가 하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푸쉬로드박스(63) 내부에서 제1압축스프링(65)이 푸쉬로드(62) 상단에 밀착되게 장착된다. 또한, 푸쉬로드박스(63) 내부의 제1압축스프링(65)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조절나사(66)가 푸쉬로드박스(63) 상단면에 나사체결되고, 스프링조절나사(66)의 상단부가 베어링브라켓(61)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작동공간 내부에 푸쉬로드박스(63) 상단면을 탄지하는 제2압축스프링(67)이 장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방향전환장치(60)는 제2압축스프링(67)의 탄발력에 의해 푸쉬로드박스(63)가 작동공간 하부에 위치되고, 푸쉬로드박스(63) 내부에서 제1압축스프링(65)의 탄발력에 의해 푸쉬로드(62)가 하부로 돌출되어 바퀴브라켓(51)의 삽입홈(53)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를 회동시키면, 케이블에 의해 푸쉬로드박스(63)가 연동되어 상부로 이동되어, 푸쉬로드(62)가 바퀴브라켓(51)의 삽입홈(53)에서 분리되게 된다. 또한, 스프링조절나사(66)는 좌우로 회전시켜 삽입깊이를 가변시키므로, 제1압축스프링(65)의 탄발력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뒷바퀴브라켓(51a)에 체결되는 뒷바퀴(50a)는 제3도와 제4도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내주면에 래칫(54)이 형성되고, 래칫(54)에 일방향제어스토퍼(55)가 복원스프링(56)에 의해 각각 탄지되며, 뒷바퀴(50a)의 타측에는 방향이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래칫(54)이 형성되어, 각기 일방향제어스토퍼(55)와 복원스프링(56)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장치되고, 양측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가 각기 작동레버(57)를 통해 전,후진구동전환제버(23)에 연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작동레버(57)는 양단부가 절곡 연장되어 중간부가 핀에 의해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일단부가 케이블을 통해 전,후진구동전환레버(23)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2개의 구속막대가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어 양쪽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에 구속가능하게 위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뒷바퀴(50)는 복원스프링(56)의 탄발력에 의해 일방향제어스토퍼(55)가 래칫(54)의 이(爾) 사이에 밀착되어, 래칫(54)의 돌출방향에 따라 한쪽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뒷바퀴(50a)는 전,후진구동전환레버(23)에 연결되는 작동레버(57)가 회전되어, 일단부가 상부로 움직이면, 타단부의 구속막대가 일측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를 눌러 래칫(54)에서 분리시키고 반대쪽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가 복원스프링(56)의 탄발력에 의해 래칫(54)의 이 사이에 밀착되어 한쪽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 하도록 하며, 작동레버(57)의 일단부가 하부로 움직이면, 타단부의 구속막대가 타측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를 분리시키고 일측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가 복원스프링(56)의 탄발력에 의해 일측의 래칫(54)에 밀착되어 반대쪽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전,후진구동전환레버(23)의 위치를 중간에 두면, 작동레버(57)의 구속막대가 양쪽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를 모두 눌러주는 상태가되어, 래칫(54)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양쪽 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한 중립상태가 된다. 즉, 이러한 뒷바퀴(50a)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93-10200호(출원일자 1993년 6월 11일, 명칭 : 유희용 목마)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뒷바퀴(50a)가 앞방향으로만 구동하도록 조작한 상태에서, 뒷몸체(10)의 안장(11)에 앉아서 탑승자가 탄발력을 일으키면 탄력스프링(45)과 코일스프링(43)의 탄력으로 휘어지면서 전면섀시(20)와 후면섀시(30)가 굴절하게 되는 데, 이때 뒷바퀴(50a)는 뒤쪽으로 구동하지 않고 앞바퀴(50)만 앞으로 구동하다가 조절바(42)가 수평으로 퍼지면 앞바퀴(50)의 구동이 멈취지는데, 이때, 탑승자가 몸체(10)를 순간적으로 튕기듯이 뛰어 오르면 탄력스프링(45)와 코일스프링(43) 및 인장스프링(41)의 복원력과 인장력이 발생하여 굴절된 전면섀시(20)와 후면섀시(30)가 원상태로 모아지게 되는 데, 앞바퀴(50)는 클러치베어링(B)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구동하므로 후진구동이 되지 않아 앞바퀴브라켓(51) 또한 푸시로드(62)가 삽입홈(53)에 끼워져 있어서 지면에 닿은체로 고정되고, 뒷바퀴(50a)만 앞쪽으로 딸려 오면서 구동하게 되므로 1회의 작동을 맡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바퀴(50)가 래칫(54)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확장시 뒷바퀴가 뒤쪽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앞바퀴만 회전하게 되고, 수축시 앞바퀴가 정지상태로 있게 되고 뒷바퀴가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몸체(10)가 전진하게 된다.
한편, 주행중에 방향을 좌,우로 회전하고자 할 경우,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를 회동시키면, 바퀴브라켓(51)을 고정하는 푸쉬버튼(62)이 분리되어 베어링브라켓(61) 내부에 장착되는 베어링(52)을 중심을 바퀴브라켓(51)이 바퀴(5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이상태에서 탑승자가 한쪽발을 땅에 딛고 밀어버리면 앞바퀴(50)는 미는 방향으로 회전된다(킹핀의 원리). 이때, 탑승자가 임의로 회전각도를 정한후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를 놓으면, 제2압축스프링(67)의 탄발력에 의해 푸쉬로드(62)가 다른 위치의 삽입홈(53)에 삽입되어 원하는 각도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몸체(10)는 원을 그리면서 주행하게 된다. 아웅러, 후진을 할경우에는 전,후진구동전환레버(23)을 후진에 맞춰놓고 방향조절손잡이(22)를 돌린채로 일으키면 뒷바퀴(50a)는 래칫(54)과 일방향제어스토퍼(55)의 작용으로 후진구동만 하게되고,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에 연결된 앞바퀴(50)의 케이블선에의해 당겨져서 위로 올라간 푸쉬로드(62)는 앞바퀴브라켓(51)을 고정시키지 못하므로 앞바퀴브라켓(51)는 앞다리의 모아지려는 당기는 힘에 의해 베어링(52)가 회전하면서 앞바퀴브라켓(51)은 180°전하게되고, 이때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를 놓아 버리면 푸시로드박스(63)가 내려오면서 반대쪽 삽입홈(53)에 끼어져서 고정되므로 180°회전한 앞바퀴브라켓(51)의 앞바퀴(50)는 계속적인 후진구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를 돌려서 앞바퀴(50)의 게이블선에 연결된 푸시로드(62)가 당겨져서 올라간 상태에서 주행방향조절손잡이(22)를 고정시키고, 전,후진구동전환레버(23)를 중립에 맞춰놓고, 뒷바퀴(50a)내의 일방향제어스토퍼(55) 2개가 어느쪽 래칫(54)에도 걸리지 않게 중립에 맞춰지게 하면 몸체(10)가 전진도 후진도 하지 않고 앞다리와 뒷다리가 구부려졌다 펴졌다만 반복하면서 제자리에 주행하지 못하므로, 몸체(10) 탄력스프링의 상,하 탄발력만을 즐길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자가 완구의 몸체 상부에 앉아서 상하로 움직이면, 완구가 탄력적으로 바운딩하면서 전진하고,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방향전환장치가 작동되어 완구의 진행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 안장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안착되어 신축, 굴절이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서 머리쪽과 앞다리쪽으로 연장되어 주행방향조절손잡이 및 전,후진구동전환레버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면섀시와, 상기 몸체내에서 뒷다리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섀시에 인장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후면섀시와, 상기 전면섀시와 후면섀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과 상,하로 연동하면서 앞,뒷다리를 굴절시키며 조절바에 의해 굴적폭이 제어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몸체의 앞다리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어 일방향만으로 구동하는 앞바퀴(캐스터)와, 상기 앞바퀴에 장치되며 상기 주행방향조절손잡이와 연동되어 앞바퀴의 회전각도를 단속 및 제어하는 방향전환장치와, 상기 몸체의 뒷다리에 장치되며 상기 전,후진구동전환레버와 연동되어 구동방향이 조절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뒷바퀴를 포함하는 승용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탄력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의 양단이 전면섀시와 후면섀시에 굴절가능하게 연결되며, 체결홈들이 다단으로 형성된 제어턱이 서로 접촉 가능하게 전면섀시와 후면섀시에 부착되고, 그 양측 제어턱의 체결홈에 상기 조절바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조절바의 타단부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방향전환장치는 일측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베어링브라켓이 전면섀시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브라켓의 중심부에 동심원상으로 삽입홈들이 상면에 형성되는 앞바퀴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베어링브라켓의 작동공간 내부에 하단부가 상기 앞바퀴브라켓의 삽입홈에 삽입가능하도록 푸쉬로드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고, 그 푸쉬로드가 상기 주행방향조절손잡이에 연동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02096A KR0128032B1 (ko) | 1994-02-04 | 1994-02-04 | 승용 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02096A KR0128032B1 (ko) | 1994-02-04 | 1994-02-04 | 승용 완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4780A KR950024780A (ko) | 1995-09-15 |
KR0128032B1 true KR0128032B1 (ko) | 1998-04-08 |
Family
ID=1937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2096A KR0128032B1 (ko) | 1994-02-04 | 1994-02-04 | 승용 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80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4410B1 (ko) * | 1999-03-20 | 2002-03-13 | 문창식 | 유아용 운동유희구 |
-
1994
- 1994-02-04 KR KR1019940002096A patent/KR01280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4780A (ko) | 1995-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8783B2 (en) | Backrest for chair | |
US6746301B1 (en) | Bouncing and dancing toy figure | |
DE69932602T2 (de) | Springendes spielzeug | |
KR0128032B1 (ko) | 승용 완구 | |
US4693697A (en) | Push-pull toy | |
JPH0231787A (ja) | 原動機無しの玩具車輛及び推進軌道 | |
CN101678238A (zh) | 带有后倾机构的秋千及其使用方法 | |
JP3124460U (ja) | フィットネス器具用シート回転制御機構 | |
US2586938A (en) | Leaping figure toy | |
US4561854A (en) | Creature with snap action jaw | |
KR101842364B1 (ko) | 무동력 승마 운동 기구 | |
KR102163186B1 (ko) | 주행 기능을 구비한 흔들목마 | |
US7115075B2 (en) | Maneuverable exercise apparatus | |
JP4255183B2 (ja) | チャイルドシート | |
JP4034707B2 (ja) | 手動式自転車 | |
KR960004834Y1 (ko) | 유희용 목마 | |
JP3675815B2 (ja) | 組立おもちゃ用旋回アーム | |
KR102091932B1 (ko) | 안전하고 간편한 접첩구조를 갖는 접이식 트램펄린 | |
KR960004833Y1 (ko) | 유아용 목마 | |
KR920000526Y1 (ko) | 행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목마 | |
CN215900921U (zh) | 儿童玩具车 | |
JPH0623590U (ja) | 動物型乗り物玩具 | |
JPH0159950B2 (ko) | ||
JPH0255076A (ja) | 乗用玩具 | |
CN110027649B (zh) | 一种车座高度调节装置、车座组件及单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