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801Y1 -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801Y1
KR0127801Y1 KR2019950014095U KR19950014095U KR0127801Y1 KR 0127801 Y1 KR0127801 Y1 KR 0127801Y1 KR 2019950014095 U KR2019950014095 U KR 2019950014095U KR 19950014095 U KR19950014095 U KR 19950014095U KR 0127801 Y1 KR0127801 Y1 KR 0127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welding
welding nut
steel
w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274U (ko
Inventor
송관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4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801Y1/ko
Publication of KR970002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1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계구조용합금강(SCM430, 435)과 같은 고강재 용접너트(10)와; 상기 고강재 용접너트(10)의 삽설시 지지하는 받침부(21)와 삽설된 고강재 용접너트(10)를 고정시키는 압압부(22)와 삽설되어 고정된 고강재 용접너트(10)를 체결판(30)에 부착시키는 용접부(23)로 된 스틸(steel)과 같은 용접재 파지구(20)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판에 고강재의 용접너트를 용접부착하므로써 용접너트의 나사산 파손이 반영구적으로 방지되어 용접너트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고안의 용접너트와 파지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b)는 (a)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강재 용접너트 20 : 파지구
21 : 받침부 22 : 압압부
23 : 용접부 30 : 체결판
본 고안은 용접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너트의 재질을 고강도로 하여 나사산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 고강재 용접너트의 용접성을 좋게 한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너트는 쉬트메탈(sheet metal) 또는 구조물(이하 체결판이라 칭함)의 이면에 주로 용접되는데, 이렇게 용접너트가 부착된 쉬트메탈(sheet metal) 또는 구조물에 부품을 상기 용접너트에 스크루를 체결하여 설치한다.
그런데, 상기 체결판에 용접부착된 용접너트는 스틸재로서 강도가 그리 강하지 못해서 스크루를 체결하여 조이다 보면 상기 용접너트의 나사산이 자주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스틸재의 용접너트는 체결판과의 용접성은 좋아 잘 부착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나사산이 파손된 용접너트를 제거하고 새 용접너트를 상기 체결판에 용접부착하여야 하는데, 상기 용접너트가 용접부착되는 곳이 주로 체결판의 표면이 아닌 이면이기 때문에 우선 용접너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판을 먼저 뜯어낸 다음에 이면의 용접너트를 제거하고 재용접해서 부착해야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또한 이에따라 작업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용접너트의 제거 및 용접부착의 작업성이 떨어져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강도가 뛰어난 고강도의 용접너트를 사용하려다 보니 상기 고강도의 용접너트는 또한 그 재질상 체결판에 잘 용접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용접너트의 강도향상을 고려하면 강도가 떨어지는 일반용접너트는 사용할 수가 없고, 용접부착성을 고려하면 고강도의 용접너트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고려해 강도 향상을 위한 고강도의 용접너트와 체결판과의 용접성을 위해 별도의 용접재를 사용하므로써 용접너트의 나사산 파손을 방지하여 용접너트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고강재의 용접너트를 별도의 용접재 파지구에 삽설하여 고정하고, 상기 파지구를 체결판에 용접부착하여 설치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과 그 작용효과를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고안의 용접너트와 파지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b)는 (a)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실시예는, 기계구조용 합금강(SCM430, 435)과 같은 고강재 용접너트(10)와, 상기 고강재 용접너트(10)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파지구(20)로 구성된다.
상기 용접너트(10)는 내부에 일반 너트와 마찬가지로 내경나선이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다른 부위보다 큰 지름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호를 부여않음)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파지구(20)는 위를 향하여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부에는 압압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아래에 받침부(21)를 형성하며 외부의 아랫쪽 끝 모서리부위에 용접부(23)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압압부(22)의 높이를 상기 용접너트(10)의 플랜지 형성높이보다 크며 그 내부 지름은 상기 용접너트(10)의 플랜지와 같거나 다소 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21)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구멍은 상기 용접너트(10)의 암나사골지름보다 같거나 크고 또한 상기 플랜지의 직경보다 작어야 한다.
상기 용접부(23)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끝부는 아래로 더욱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어 상기 받침부(21)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지지하게 된다.
(b)는 상기 파지구(20)의 용접부(23)가 체결판(30)에 용접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파지구(20)의 압압부(22)내에 용접너트(1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압압부(22)가 상기 용접너트(10)의 플랜지 상측면을 감싸안은 모습으로 소성변형되어 용접너트(10)를 체결판(30)에 고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먼저 상기 고강재 용접너트(10)를 파지구(20)내에 끼워 고정하여 받침부(21)에 의해 지지시키고, 지지된 용접너트(10)를 압압부(22)로 눌러고정시켜 용접너트(10)를 파지구(20)에 설치한후, 파지구(20)를 체결판(30)에 용접부착하여 고강재 용접너트(10)를 체결판(30)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체결판에 용접재 파지구를 이용하여 고강재 용접너트를 부착하므로써 종래의 스틸과 같은 용접너트를 사용할 경우 나사산 파손으로 인한 용접너트 제거 및 재용접 부착해야하는 문제점과 고강재 용접너트를 사용할 경우 용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용접너트의 나사산 파손을 방지하여 용접너트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되고자 하는 체결판을 향하는 하부에 다른 부위보다 큰지름으로 플랜지를 형성하는 고강재의 용접너트와; 이 용접너트의 플랜지 지름과 상응하는 내부지름을 하며 용접너트가 안착된후 플랜지의 윗면을 소성변형으로 크램핑하는 압압부를 형성하고, 이 원기둥의 바닥은 너트의 암나사골지름보다 크고 플랜지보다 작은 구멍을 형성하며, 외부의 체결판과 접하는 부위에 용접부를 형성하는 파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KR2019950014095U 1995-06-21 1995-06-21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KR0127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095U KR0127801Y1 (ko) 1995-06-21 1995-06-21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095U KR0127801Y1 (ko) 1995-06-21 1995-06-21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274U KR970002274U (ko) 1997-01-24
KR0127801Y1 true KR0127801Y1 (ko) 1998-12-01

Family

ID=1941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095U KR0127801Y1 (ko) 1995-06-21 1995-06-21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8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0909A (zh) * 2016-12-26 2017-05-10 重庆协成五金制造有限公司 一种螺母板安装装置及冲压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641A (ko) * 2002-01-10 2003-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용접방법 및 그 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0909A (zh) * 2016-12-26 2017-05-10 重庆协成五金制造有限公司 一种螺母板安装装置及冲压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274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38578A (ja) 取付部材を被溶接部材へ固定する固定装置
US5190424A (en) Bolt for use with resin clips
KR0127801Y1 (ko) 고강재의 용접너트 설치구조
JP2006188877A (ja) 屋根上取付け金具
CN105673643A (zh) 支撑连接件
JPH11278069A (ja) Lpgエンジン搭載車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JP3216385U (ja) 折板屋根用取付金具
US7128512B2 (en) Panel fastener system
JP4431554B2 (ja) 形鋼用蛍光灯器具取付け金具
CN216618805U (zh) 一种快速固定夹具
CN217423044U (zh) 一种大型电站锅炉照明安装固定支架
JP2005036940A (ja) 締結金具の抜け止め構造及び配管用バンド
JPH083686Y2 (ja) 長尺体吊り金具
KR100303854B1 (ko) 파이프 클램프의 베이스 플레이트
JPH0346066Y2 (ko)
KR0114106Y1 (ko) 시알티-피시피 어셈블리(CRT-PCB Assembly) 지지구
JP3917696B2 (ja) 建物の屋上等に設置される照明器具等の支持具
JPS6345696Y2 (ko)
KR200148028Y1 (ko) 대쉬패드 고정클립
KR100401832B1 (ko) 파이프 너트의 조립용 지그
CN1049033C (zh) 在墙上安装的器具
KR0124561Y1 (ko) 원형파이프 설치용 클립
KR960006310Y1 (ko) 앵커 볼트
JP2001132183A (ja) 折板屋根用の樋吊り具の取付構造
JPH108778A (ja) フェンス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