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521Y1 -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521Y1
KR0127521Y1 KR2019950052609U KR19950052609U KR0127521Y1 KR 0127521 Y1 KR0127521 Y1 KR 0127521Y1 KR 2019950052609 U KR2019950052609 U KR 2019950052609U KR 19950052609 U KR19950052609 U KR 19950052609U KR 0127521 Y1 KR0127521 Y1 KR 0127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ower steering
gearbox
strok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2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856U (ko
Inventor
배찬권
Original Assignee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주식회사기아기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50052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521Y1/ko
Publication of KR970036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워스티어링의 시스템에서 피스톤의 구조를 개량하여 필요시 일 방향에 대해서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조향각의 범위설정을 소정량 증감 시킬 수 있고 또 불필요한 부품수를 삭제하여 제품가격과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인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밀폐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연장하여 돌출 구비되며 다소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착탈 자재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실링부재를 갖는 피스톤링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파워 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의 요부를 보인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일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어박스 2 : 피스톤
3 : 돌출부 4 : 피스톤링
4' : 실링부재 5 : 체결부재
5' : 체결홈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파워스티어링의 시스템에서 피스톤의 구조를 개량하여 필요시 일 방향에 대해서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조향각의 범위설정을 소정량 증감시킬 수 있고 또 불필요한 부품수를 삭제하여 제품가격과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은 제1도와 같은 것이다.
즉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가 중공인 기어박스(10)에는 외측에 랙기어(21)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볼 스크류(22)가 설치된 피스톤(20)이 내설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20)의 내측에는 워엄 샤프트(30)가 설치되고 이 워엄 샤프트(30)의 내측에는 로터(32)와 슬리브(3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워엄 샤프트(30)의 내측에는 토션바(40)가 구비되며 상기 토션바(40)는 상기 워엄 샤프트(3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축(31)에 의해 밀폐된다.
또 상기 기어박스(10)의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21)와 치합되는 섹터 샤프트(50)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20)의 일단부에는 플러그(6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파워스티어링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운전자의 핸들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축(31)이 회전하면 상기 토션바(40)가 조타토오크에 대응하여 비틀림 운동을 하고 상기 입력축(31)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로터(3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슬리브(33) 내부와의 오일통로를 개폐함으로써 유압상승이 발생하게 되고 이 유압은 미리 정해진 유로를 따라 상기 피스톤(20)을 밀어 직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0)의 힘에 의해 상기 섹터 샤프트(50)가 회전하며 그에 따른 타이어를 조향하며 조타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운전자가 핸들조작을 멈추면 상기 입력축(31)이 정지하게 되고 상기 토션바(40)에 의해 변위되었던 상기 로터(32)가 원위치되며 유로의 막힘이 없는 즉 기어박스(10)의 내측에 유압상승이 발생하지 않아 자동차의 직진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종래 파워스티어링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핸들조작시 유압에 의해 제한된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상기 피스톤(20)이 밀리게 되는데 상기 볼 스크류(22)가 왼나사일 경우에는 계속적인 우 조타시 상기 피스톤(20)의 좌측단 또는 상기 피스톤(20)에 체결된 상기 플러그(60)의 끝단이 상기 기어박스(10)의 내측면에 닿게 되어 더이상의 조향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일바적인 경우 제1도에서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의 하향측 스트로크(Sa)와 상향측 스트로크(Sb)가 동일하여 좌, 우 조향각이 같게되나 차종에 따라서 하향측 스트로크(Sa)가 상향측 스트로크(Sb)보다 작게 설정되어 우 조향각이 좌 조향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즉 실차에서는 최소한 우회전 반경이 크게 되므로 모델변경, 후속차종 적용 등 우 조향각을 적절히 증감시켜야 할 경우 상기 기어박스(10) 또는 상기 피스톤(20)의 균형을 수정하고 가공치수를 변경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플러그(60)의 체결시 체결토오크의 관리소홀, 이물질 유입 등으로 인하여 기밀을 유지하지 못할 우려 또한 간직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파워스티어링의 시스템에서 피스톤의 구조를 개량하여 필요시 일 방향에 대해서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조향각의 범위설정을 소정량 증감시킬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에서 적용되는 부품을 삭제하므로서 그에 따른 제조단가를 줄이고 또 제품의 증량을 줄일 수 있는 파워스티어링 스트로크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인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이 내측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밀폐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연장하여 돌출 구비되며 다소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착탈 자재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실링부재를 갖는 피스톤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워스티어링이 스트로크 조정장치의 요부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기어박스(1)의 내측에는 일단부가 밀폐된 피스톤(2)이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2)의 밀폐된 일단부는 연장하여 돌출 구비되며 다소 작은 외경을 갖춘 돌출부(3)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3)는 상술했던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밀폐되어 일반적인 종래의 플러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2)의 일측 적소에는 그 외주면이 상기 기어박스(1)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피스톤링(4)이 착탈자재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링(4)의 외주면 적소에는 적어도 한개이상의 실링부재(4')가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피스톤(2)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피스톤(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링(4)의 양측에는 상기 피스톤링(4)의 설치위치를 조정하거나 이탈을 방지하는 한쌍의 체결부재(5)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5)는 일반적인 와셔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크너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5)는 상기 피스톤링(4)의 외경보다 다소 작은 외경을 가지며 이의 외주면 적소에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체결홈(5')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기본적인 조향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파워스티어링에서의 특징부는 종래와 같이 피스톤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품인 플러그를 삭제하는 반면 피스톤의 일단부를 밀폐시켜 플러그의 기능을 대신하므로서 부품을 삭제하고 또 그에 따라 플러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었던 기밀유지의 불량에 대한 종래의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는 점이다.
또한 실차에서는 최소한 우회전 반경이 크게 되므로 모델변경, 후속차종 적용 등 우 조향각을 적절히 증감시켜야 할 경우 기어박스 또는 피스톤의 균형을 수정하고 가공치수를 변경해야 했던 종래의 번거로웠던 문제점 또한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워스티어링의 시스템에서 피스톤의 구조를 개량하여 필요시 일 방향에 대해서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조향각의 범위설정을 소정량 증감시킬 수 있고 또 불필요한 부품수를 삭제하여 제품가격과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내부가 중공인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밀폐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연장하여 돌출 구비되며 다소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착탈 자재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실링부재를 갖는 피스톤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링은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일측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링의 양측에는 상기 피스톤링의 설치위치를 조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한쌍의 체결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KR2019950052609U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KR0127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609U KR0127521Y1 (ko)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609U KR0127521Y1 (ko)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56U KR970036856U (ko) 1997-07-26
KR0127521Y1 true KR0127521Y1 (ko) 1998-10-15

Family

ID=1944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2609U KR0127521Y1 (ko) 1995-12-29 1995-12-29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5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571B1 (ko) * 2007-01-12 2008-04-16 위아 주식회사 스트로크 가변형 파워스티어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571B1 (ko) * 2007-01-12 2008-04-16 위아 주식회사 스트로크 가변형 파워스티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856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585B1 (en) Vehicle steering stabilizer with detent ramp in rotary plate
US5135068A (en) Hydraulic reaction device for power steering apparatus
US6962356B2 (en) Active toe angle adjustment mechanism
JPH0218263B2 (ko)
FR2699136A1 (fr) Dispositif de servocommande, notamment direction assisté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ITRM970212A1 (it) Complesso a reazione per servovalvola
JP3469965B2 (ja) 可変絞り弁および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4887683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ith intermediate take-off
KR0127521Y1 (ko) 파워스티어링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JP734402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4270405A (en) Steering mechanism with time derivation
US5152359A (en) Reaction pressure control mechanism of power steering apparatus
US5205372A (en) Hydraulic power steering device
CN219029530U (zh) 摩擦力矩补偿机构、转向管柱总成、线控转向系统及车辆
KR20040101796A (ko) 타이어 간섭 차단용 차량의 가변 랙 스트로크 조향장치
KR100276714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0206517Y1 (ko) 스티어링 에포트 조절장치
JPH0692246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940002083B1 (ko) 동력조향장치
JP3776271B2 (ja) 位置決め機構
KR100259536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100511737B1 (ko) 자동차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KR200211065Y1 (ko) 조향링크기구용 볼조인트
KR960000597Y1 (ko) 자동차용 동력 조향장치
KR100511738B1 (ko) 자동차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