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536B1 -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536B1
KR100259536B1 KR1019960080704A KR19960080704A KR100259536B1 KR 100259536 B1 KR100259536 B1 KR 100259536B1 KR 1019960080704 A KR1019960080704 A KR 1019960080704A KR 19960080704 A KR19960080704 A KR 19960080704A KR 100259536 B1 KR100259536 B1 KR 100259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solenoid valve
steering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334A (ko
Inventor
류장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8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5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5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means for varying pressurised fluid supply based on need, e.g. on-demand, variable ass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는,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전기적으로 검출된 차속에 따라 컴퓨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유압을 가감하여 상기 웜축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그 외주면에 설치된 압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은 조향휠과 연동되는 웜축의 외주면에 압착부재 설치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따라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차속에 따라 스티어링을 제어하여 고속주행시 차량의 조종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조향휠, 조향축 및 컬럼등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와, 조향축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조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도록 프레임에 고정된 기어기구와, 상기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앞바퀴에 전달함과 동시에 좌우바퀴의 관계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도록 피트먼암, 드래그 링크, 너클암 및 타이로드등으로 이루어진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자동차나 저압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는 앞바퀴의 접지저항이 증대하므로 조향휠(1)의 조작력이 커지며, 신속한 조향조작을 할 수 없는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가볍고 신속한 조향조작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력조향이 사응되고 있다. 동력조향은 조향장치의 도중에 배력장치인 동력실린더와 컨트롤밸브(도시안됨)를 기어박스(2)의 내부에 설치하여 조향휠(1)의 조작력을 그의 배력작용에 의해 경감시키는 것을 일반적으로 엔진이 오일펌프(3)를 구동하여 발생한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동력조향장치는 상기 기어박스(2)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실린더(21), 볼너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동력피스톤(22), 컨트롤밸브(2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력조향장치에 의하면, 유로를 변환하는 컨트롤밸브(23)는 조향휠(1)이 장치하고 있는 웜축(24) 선단에 설치되며, 컨트롤밸브(23)을 웜축(24)으로 직접 움직여서 작동시키고 있다.
자동차의 직진시 조향휠(1)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리액션스프링(25)력에 의해 웜축(24)의 축방향 움직임은 멈추게 되어 컨트롤밸브(23)는 중립상태에 있으므로 오일펌프(3)에서의 오일은 오일리저버(4)로 되돌려지고 동력피스톤(22)은 좌우양쪽 챔버의 유압이 같기 때문에 균형을 이루어 정지하고 있다.
또, 상기 조향휠(1)을 오른쪽으로 조작하면 웜축(24)에 의해 동력피스톤(22)은 우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나 앞바퀴의 접지 저항이 섹터축(26)에 가해져 있기 때문에 동력피스톤(22)의 작동에 저항이 있으므로 웜축(24)은 리액션스프링(25)을 압축하면서 유압에 의해 동력피스톤(22)은 오른쪽으로 밀려서 섹터축(26)이 회전하여 앞바퀴를 오른쪽으로 조향시킨다.
좌회전시에는 우회전시와 반대로 작동이 이루어져 동력피스톤(22)은 왼쪽으로 움직여 앞바퀴를 왼쪽으로 조향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는 차속에 관계없이 조향휠(1)을 회전시키면, 유압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고속주행에서는 매우 작은 힘으로 스티어링이 이루어져 상기 조향휠(1)이 흔들려 조종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속에 따라 스티어링을 제어하는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는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전기적으로 검출된 차속에 따라 컴퓨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유압을 가감하여 상기 웜축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그 외주면에 설치된 압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차속센서 12 : 컴퓨터
13 : 솔레노이드밸브 14 : 압착부재
24 : 웜축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기어박스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조향휠(1)의 무게를 제어하는 것으로 저속에서는 가볍고, 고속에서는 적당한 무게의 조향감각을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11)와, 상기 차속센서(11)에서 전기적으로 검출된 차속에 따라 컴퓨터(12)의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13)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유압을 가감하여 상기 웜축(24)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그 외주면에 설치된 압착부재(14)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속센서(11)에 의해 차속이 감지되고, 컴퓨터(12)는 이 감지값을 작동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는 상기 웜축(24)의 외주면에 있는 압착부재(14)에 오일의 압력을 가감하도록 작동된다.
즉, 차량의 속도의 상승에 따라 오일압력을 상승시켜 조향휠(1)의 회전력을 무겁게 하고 반대로 속도가 하강하면 유압을 하강하여 조향휠(1)의 작동을 가볍게 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에 의하면, 조향휠과 연동되는 웜축의 외주면에 압착부재 설치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따라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차속에 따라 스티어링을 제어하여 고속주행시 차량의 조종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전기적으로 검출된 차속에 따라 컴퓨터의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유압을 가감하여 상기 웜축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그 외주면에 설치된 압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1019960080704A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10025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704A KR100259536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704A KR100259536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334A KR19980061334A (ko) 1998-10-07
KR100259536B1 true KR100259536B1 (ko) 2000-06-15

Family

ID=1949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704A KR100259536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5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334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504B2 (en) Steering apparatus
US6138788A (en) Vehicle steering system
US4779693A (en)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100192381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JP324681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259536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US20190270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steerable vehicle wheels
JP3109920B2 (ja) 操舵装置
JPS6154419A (ja)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検出装置
KR100276714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US20030226711A1 (en) Integrated differential steering actuator
KR200206514Y1 (ko) 전자석을이용한속도감응형동력조향장치
KR100461373B1 (ko) 자동차의 차속감응형 조향력 조절장치
KR19980035574A (ko) 밴드식 속도감응형 조향장치
KR100276710B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9980061141A (ko) 전기감응형 유체를 이용한 조향핸들 조작력 제어장치
KR101020538B1 (ko) 차량용 조타 토크 저감장치
KR100235013B1 (ko) 차속감응형 파워스티어링 조향장치
KR100339215B1 (ko) 인테그럴 타입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9990031178U (ko) 자동차의 동력 조향 장치
KR19980054951A (ko)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9990059214A (ko) 조향력 조절수단을 갖춘 동력조향장치
KR19980038319U (ko) 차량의 쏠림방지형 조향장치
KR100552728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100534906B1 (ko) 피니언밸브를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