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46Y1 -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46Y1
KR0127346Y1 KR2019950016937U KR19950016937U KR0127346Y1 KR 0127346 Y1 KR0127346 Y1 KR 0127346Y1 KR 2019950016937 U KR2019950016937 U KR 2019950016937U KR 19950016937 U KR19950016937 U KR 19950016937U KR 0127346 Y1 KR0127346 Y1 KR 0127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monitor
hinge point
monitor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500U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16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346Y1/ko
Publication of KR970007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시 액정모니터가 정상상태 이거나 역전상태 이거나에 상관없이 상기 액정모니터의 상부면과 양측면의 3면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차단된 면으로 외부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부품수의 절감을 기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안은 액정모니터몸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양측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주는 일측빛가리개 및 타측빛가리개와,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에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상부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주는 상하빛가리개와,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빛가리개의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선택적으로 록킹시켜 주는 힌지점록킹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제1도(a) 및 (b)는 종래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b)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제6도는 본고안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는 상하빛가리개가 액정모니터몸체의 상부를 가린 상태도.
(b)는 상하빛가리개가 액정모니터몸체의 하부를 가리기 위해 회동되는 상태도.
(c)는 상하빛가리개가 액정모니터몸체의 하부를 가린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액정모니터몸체 12. 일측빛가리개 13. 타측빛가리개
14. 상하빛가리개 15. 가이드돌기 16. 장공
17. 이동판 18. 경사면 19. 록킹홈
20. 판스프링수납홈 21. 판스프링
본고안은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시 액정모니터가 정상상태 이거나 역전상태 이거나에 상관없이 상기 액정모니터의 상부와 양측부를 차단시켜 상기 차단된 면으로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는 촬영에 의해 피사체를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기기로서, 자기테이프에 기록되는 피사체를 촬영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액정모니터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액정모니터는 특히 야외에서 촬영시 빛이 들어가게 되면 영상이 어두어져 식별이 어렵게 되므로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차광장치를 갖추고 있다.
종래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는 첨부도면 제1도(a)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정모니터몸체(1)의 내측면 좌,우로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2)(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액정모니터몸체(1)의 내측면 상부로는 상부빛가리개(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촬영시에는 촬영자가 상부빛가리개(4)의 끝단부를 손으로 잡은 다음 잡아당기면 상기 상부빛가리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므로 액정모니터몸체(1)의 상부가 가려짐과 함께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2)(3)의 끝단부를 손으로 잡은 다음 잡아당기면 상기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2)(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므로 액정모니터몸체(1)의 양측부가 가려지고 이에따라 제1도(a)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정모니터몸체(1)의 3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차단된다.
또한 첨부도면 제1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정모니터몸체(1)의 내측면 좌,우로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2)(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액정모니터몸체(1)의 내측면 상,하로는 상부 및 하부빛가리개(4)(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촬영시에는 촬영자가 상부 및 하부빛가리개(4)(5)의 끝단부를 손으로 잡은 다음 잡아당기면 상기 상부 및 하부빛가리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므로 액정모니터몸체(1)의 상부 및 하부가 가려짐과 함께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2)(3)의 끝단부를 손으로 잡은 다음 잡아당기면 상기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2)(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므로 액정모니터몸체(1)의 양측부가 가려지고 이에따라 제1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정모니터몸체(1)의 4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차단된다.
그러나 종래 제1도의 (a)와 같이 액정모니터몸체의 3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상부와 양측부로 입사되는 광량이 가장 많음을 감안할 때 촬영자가 액정모니터를 역전시킨 상태로 촬영을 행할 경우 상부빛가리개가 하부로 위치되므로 상부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은 차단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상부빛가리개를 분리한 후 다시 창착하여 상부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도록 하여야 하고 이로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뒷따랐던 문제점이 있고, 제1도의 (b)와 같이 액정모니터 몸체의 4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촬영자가 액정모니터를 정상상태로 촬영을 행하던 역전상태로 촬영을 행하던 상관없이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는 있지만 촬영자가 액정모니터의 화면을 시청할 때 매우 답답함을 느끼게 됨은 물론 부품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촬영시 액정모니터가 정상상태 이거나 역전상태 이거나에 상관없이 상기 액정모니터의 상부면과 양측면의 3면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차단된 면으로 외부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부품수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 형태에 따르면 액정모니터몸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한지축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양측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주는 일측빛가리개 및 타측빛가리개와,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에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상부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주는 상하빛가리개와,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빛가리개의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선택적으로 록킹시켜 주는 힌지점록킹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본고안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고안은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고안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고안 차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고안 차광장치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이고 제6도는 본고안 차광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고안은 액정모니터몸체(11) 내에 회동가능하게 일측빛가리개(12) 및 타측빛가리개(13)를 설치하여 상기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12)(1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액정모니터몸체(11)의 양측면을 가려주도록 하고,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에는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갖도록 상하빛가리개(14)를 설치하여 상기 상하빛가리개가 상,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액정모니터몸체(11)의 상하부면을 선택적으로 가려주도록 하며,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의 양측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힌지점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점록킹수단이 상하빛가리개(14)의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선택적으로 가압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상부빛가리개가 상,하부힌지점중 어느 하나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힌지점록킹수단은 액정모니터몸체(11) 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돌기(15)와, 상기 각 한쌍의 가이드돌기에 안내되도록 장공(16)이 일체 형성되어 상하빛가리개(14)의 열림에 따라 상,하부로 선택 이동하는 이동판(17)과, 상기 각 이동판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이동판(17)이 상부로 이동할 때 상하빛가리개(14)의 상부힌지점을 가압시켜 주고 하부로 이동할 때 상하빛가리개(14)의 하부힌지점을 가압시켜 주는 경사면(18)과, 상기 각 이동판(17)의 외측면에 형성된 록킹홈(19)과, 상기 액정모니터몸체(11) 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판스프링수납홈(20)과, 상기 각 판스프링수납홈 내에 수납되어 이동판(17)이 상,하부로 이동할 때 록킹홈(19)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이동판(17)의 상,하부이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판스프링(21)으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상태로 촬영을 행할때는 액정모니터몸체(11) 내에 설치된 상하빛가리개(14)가 상부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린상태로 있으므로 상기 상하빛가리개에 의해 액정모니터몸체(11)의 상부가 가려짐과 함께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12)(13)가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린상태로 있으므로 상기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12)(13)에 의해 액정모니터몸체(11)의 양측부가 가려지므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3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차단된다.
또한 촬영자가 액정모니터를 역전시켜서 사용하고자 할 때 상하빛가리개(14)가 상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열려있는 상태 그대로 있을 경우에는 액정모니터를 역정시키는 순간 상기 상하빛가리개가 액정모니터몸체(11)의 하부를 가리게 되므로 상기 액정모니터몸체(11)의 상부가 개방상태에 있게되고 이와같은 상태로 촬영을 행하면서 자기테이프에 기록되는 화상을 액정모니터를 통해 시청하게 되면 상기 액정모니터몸체(11)의 상부 개방부로 외부의 광이 입사됨에 따라 화상의 식별이 매우 어렵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같이 액정모니터를 역전시켜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역전시키기 전에 상기 액정모니터의 하부를 가려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상하빛가리개(14)를 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열어 놓아야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정모니터를 역전시키기 전에 촬영자가 열려져 있는 상하빛가리개(14)와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12)(13)를 닫은 다음 상기 상하빛가리개(14)를 하부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다시 열으면 되는데, 이때 액정모니터몸체(11) 내의 양측에 설치된 이동판(17)이 상기 상하빛가리개(14)의 열림력을 받아 일체 형성된 장공(16)에 의해 각 한쌍의 가이드돌기(15)에 안내되면서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따라 이동판(17)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18)이 상하빛가리개(14)의 하부힌지점을 가압시켜 주므로 상기 상하빛가리개(14)는 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열려 액정모니터몸체(11)의 하부를 가려준다.
이와같이 하여 상하빛가리개(14)가 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완전히 열려 액정모니터몸체(11)의 하부를 가려준 상태에서는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의 양측에 형성된 판스프링수납홈(20) 내의 판스프링(21)이 이동판(17)의 외측면에 형성된 록킹홈(19)으로 끼워지므로 상기 이동판(17)은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판스프링(21)에 의해 록킹되고 이에따라 이동판(17)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액정모니터를 역전시킬 때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한 다시 원 상태로 되돌아가지는 않는다.
한편 상하빛가리개(14)가 액정모니터몸체(11)의 하부를 가려준 다음에는 닫혀져 있는 일측 및 타측빛가리개(12)(13)도 다시 열어 상기 일측 타측빛가리개(12)(13)에 의해 액정모니터몸체(11)의 양측부를 가려주도록 한 후 계속해서 액정모니터를 역전시키면 상하빛가리개(14)가 상부를 가려준 상태가 되므로 역전상태에서 액정모니터몸체(11)의 상부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작용을 종합하여 보면, 액정모니터를 정상상태로 사용할 때에는 첨부도면 제6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판(17)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판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18)에 의해 상하빛가리개(14)의 상부힌지점을 가압시키므로 상기 상하빛가리개는 상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열려 액정모니터몸체(11)의 상부를 가려주고 있다가 액정모니터를 역전시켜서 사용할 때에는 역전시키기 전에 제6도(c)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판(17)을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판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18)에 의해 상하빛가리개(14)의 하부힌지점을 가압시키므로 상기상하빛가리개는 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열려 액정모니터몸체(11)의 하부를 가려준다.
그러므로 본고안은 촬영시 액정모니터가 정상상태 이거나 역전상태 이거나에 상관없이 상기 액정모니터의 상부를 하나의 상하빛가리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단된 부분으로 외부광이 들어가지 않으면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부품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액정모니터몸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양측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주는 일측빛가리개 및 타측빛가리개와,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에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힌지점을 중심으로 열림에 따라 상부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주는 상하빛가리개와,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빛가리개의 상부힌지점과 하부힌지점을 선택적으로 록킹시켜 주는 힌지점록킹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힌지점록킹수단은 액정모니터몸체 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돌기와, 상기 각 한쌍의 가이드돌기에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상하빛가리개의 열림에 따라 상,하부로 선택 이동하는 이동판과, 상기 각 이동판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이동판(17)이 상부로 이동할 때 상하빛가리개의 상부힌지점을 가압시켜 주고 하부로 이동할때는 상하빛가리개의 하부힌지점을 가압시켜주는 경사면과, 상기 각 이동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록킹홈과, 상기 액정모니터몸체 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판스프링수납홈과, 상기 각 판스프링수납홈 내에 수납되어 이동판이 상,하부로 이동할 때 록킹홈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이동판의 상,하부이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이동판에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을 통해 이동판을 가이드돌기에 끼움에 따라 이동판이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KR2019950016937U 1995-07-10 1995-07-10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KR0127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937U KR0127346Y1 (ko) 1995-07-10 1995-07-10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937U KR0127346Y1 (ko) 1995-07-10 1995-07-10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00U KR970007500U (ko) 1997-02-21
KR0127346Y1 true KR0127346Y1 (ko) 1998-12-15

Family

ID=1941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937U KR0127346Y1 (ko) 1995-07-10 1995-07-10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3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00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303A (en) Film cassette with lockable light shield
EP0398899A1 (en) Security device for a video recorder of player
JP2007020148A (ja) 映像撮影装置
US5862426A (en) Protection cover device and protection-cover-equipped apparatus
US4339193A (en) Camera door and body construction
KR0127346Y1 (ko) 캠코더용 액정모니터의 차광장치
US6257776B1 (en) Camera having a barrier slidable between positions to cover and uncover a taking lens
KR100192099B1 (ko) 테이프 카세트
JPS6140097B2 (ko)
JP2005005309A (ja) 蓋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KR920018740A (ko) 테이프 카세트
JPH08278548A (ja) フィルム確認窓を有する裏蓋開閉機構
JP2741927B2 (ja) フイルムカートリッジ
US5604557A (en) Camera
JP2688433B2 (ja) シートフィルムカセット
GB2213628A (en) Device preventing unauthorisd use of video recorder
JP2647925B2 (ja) 内視鏡用フィルムカセット
KR0113735Y1 (ko)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US4949112A (en) Sheet film cassette for photographic cameras
US5966554A (en) Apparatus adapted to film cartridge provided with opening-and-closing cover
KR0117853Y1 (ko) 제품의 렌즈 덮개장치
JP2570697B2 (ja) 小型テ−プカセツト
JPH06339091A (ja) 遮光フード
JPH028267Y2 (ko)
JP2003043560A (ja) カメラの裏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