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970Y1 -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970Y1
KR0126970Y1 KR2019950014524U KR19950014524U KR0126970Y1 KR 0126970 Y1 KR0126970 Y1 KR 0126970Y1 KR 2019950014524 U KR2019950014524 U KR 2019950014524U KR 19950014524 U KR19950014524 U KR 19950014524U KR 0126970 Y1 KR0126970 Y1 KR 0126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prings
rollers
right roll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699U (ko
Inventor
서정규
강영규
윤석주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50014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970Y1/ko
Publication of KR970001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4Spring-supported sets, e.g. permitting troughing of a load-carrying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의 일구성 부품인 벨트의 이상(異常) 경사주행을 자동으로 교정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斜行)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갯수의 롤러와, 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스탠드 및 이들을 지지하는 앵글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앵글바디의 중앙부의 회전축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요동체와, 이 요동체는 롤러를 받아들여서 지지하는 안착홈부(22) 및 다수개의 2단 도르래(26)를 삽입하는 삽입구멍(23)을 가지며, 이동홈부(32), (42) 스프링(34), (44)를 각각 가지는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와, 상기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는 각각의 가동편(38'), (48')의 걸이구멍(38a), (48a)을 통하여 상호 스프링(34), (44)을 연결하고 있으며, 오른나사 및 왼나사 방식의 리드스크류(54), (54')와 이들 리드스크류(54), (54')에 나사맞춤된 너트체(56), (56') 및 상기 요동체(20)의 고정편(24)에 접속되는 고정판(52), 핸들(58)로 구성되는 폭 조정기구(50)와, 상기 좌ㆍ우 롤러스탠드(30), (40)의 각각에는 상기 스프링(34), (44)의 텐션을 조정하기위한 조정보울트(37) 및 이 조정보울트(37)를 고정하는 고정편(38), (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좌ㆍ우 롤러 스탠드에 의하여 자동으로 사행이 교정되는 것이며, 폭 조정기구를 부가 설치하므로서 더욱 강력한 사행 조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a) 및 (b)는 본 고안의 롤러스텐드 폭 조정장치의 설명도.
제3도는 종래 장치의 일부 절단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글바디 12 : 회전축
20 : 요동체 22 : 안착홈부
23 : 삽입구멍 24 : 고정편
26 : 2단 도르래 30 : 좌측 롤러 스탠드
32 : 이동홈부 34, 44 : 스프링
37, 47 : 조정 보울트 39, 49 : 접속편
38, 48 : 고정편 38', 48' : 가동편
40 : 우측 롤러 스탠드 46 : 지지편
38a, 48a : 스프링 걸이구멍 52 : 고정판
54, 54' : 리드스크류 56, 56' : 너트체
58 : 핸들
본 고안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컨베이어의 일구성 부품인 벨트의 이상(異常) 경사주행을 자동으로 교정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斜行)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산업현장에는 원재료, 예를들면 제철업분야에서는 석탄이나 코크스, 석회석이나 철광석등을 소결공장이나 코크스공장 또는 전기로 등으로 이송하여 투입시킬 때에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컨베이어란 일정한 거리를 자동적ㆍ 연속적으로 재료나 물품을 운반하도록 구성한 기계장치를 말하며, 공장내에서는 부품 또는 반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또는 제품 출하를 위해서 사용하고 있고, 항만, 광산, 제철소 등에서는 석탄이나 광석화물을 운반하고 있고, 건설현장에서는 자갈이나 모래 등을 운반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컨베이어는 제철소에서 광석을 운반하는 것이다. 컨베이어는 구동원에 의한 벨트의 주행이 필연적이며, 이 주행은 적재중량에 기인하여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사주행을 수반한다. 따라서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이른바 사행조정장치를 부가하여 운전하는 것이 상례이며 더구나 오늘날에는 이 조정장치는 자동으로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제3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사행조정장치의 대표적인 예를 설명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벨트컨베이어는 벨트(100)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102)에 인접하도록 벨트(100)의 아래에, 진행방향애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중앙에 설치한 다수 개의 캐리어롤러(107),(108)와, 상기 캐리어롤러(107)와 대응하여 벨트(100)의 양측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110)로 이루어진 스탠드장치(109)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여 사행을 조정하는데, 이 경우의 벨트(100)의 사행량의 조정범위는 벨트(100) 폭의 5%이내로 한정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조정 롤러스탠드장치(109)의 앵글바디(103) 양쪽끝에 가이드롤러(110)를 1개씩 부착하여 벨트(100)의 주행중에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사행구동)되면, 쏠리는 방향쪽에 부착된 가이드 롤러(110)에 벨트(100)가 접촉되며, 이 접촉상태로 벨트(100)가 구동되므로 벨트(100)의 구동력이 가이드롤러(110)에 작용되고 또한 스탠드장치(109)의 앵글바디(103)를 밀어서 앵글바디 중간부에 설치된 로터(112)를 축으로 하여 앵글바디(103)가 전후방향으로 경사각도를 형성하면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앵글바디(103)의 각도변화 운동으로 벨트(100)의 배면부에서는 캐리어롤러(107),(108)와의 접촉저항이 발생하는데 각도의 크기에 따라 접촉저항의 크기차 또한 큰 차이를 보이게 되며, 접촉저항의 크기차는 벨트(100)가 사행되는 쪽보다 그 반대방향쪽이 크게 되어 벨트(100)는 접촉저항이 큰 쪽으로 끌려 당겨짐에 따라 사행이 조정된다.
그리고 벨트(100)의 장력분포상태는, 스탠드장치(109)의 중간부에 끼워져 있는 캐리어롤러(107)와 양쪽 경사부에 장착된 캐리어롤러(108)는 각각 다르다. 즉, 스탠드장치(109)의 중간부의 캐리어롤러(107)가 스탠드 양 사이드 경사부에 있는 캐리어롤러(7')보다 장력을 더 크게 받게 된다.
따라서 스탠드장치(109) 중간의 캐리어롤러(107)는 양 상이드 경사부에 있는 캐리어롤러(108)보다 벨트(100)와의 접촉저항이 크므로 벨트(100)에 아무것도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활하게 주행하고 사행조정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벨트(100)에 철광석 등의 적재물을 실은 상태에서는 벨트장력과 적재물 하중이 합하여 사이드경상부의 캐리어롤러(108)에 작용되므로, 이 사이드 경사부는 스탠드장치(109)의 중간부의 캐리어롤러(107)보다 접촉저항력이 크게 된다. 따라서 스탠드장치(109)의 앵글바디(103)가 회전되어 각도변화를 일으켜도 벨트(100) 저부와 캐리어롤러(107), (108) 사이에는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히 주행하고자 하는 벨트방향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므로 사행조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롤러(107)의 가동중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를 교체시켜야 되는 경우, 벨트(10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교체작업이 어렵고, 벨트(10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 벨트(100), 캐리어롤러(107), (108) 등의 사양을 선택적으로 선택하면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데, 이들의 구조적 특성상 적재물의 대상에 따라 스탠드장치(109)를 다양하게 대응하여 설치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광석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컨베이어의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정 갯수의 롤러와, 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스텐드 및 이들을 지지하는 앵글바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앵글바디의 중앙부에 회전축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요동체와, 이 요동체는 롤러를 받아들여서 지지하는 안착홈부 및 다수 개의 2단 도르래를 삽입하는 삽입구멍을 가지며, 이동홈부 스프링을 각각 좌ㆍ우 롤러 스탠드와, 상기 좌·우 롤러 스탠드는 각각의 가동편의 걸이구멍을 통하여 상호 스프링을 연결하고 있으며, 오른나사 및 왼나사 방식의 리드스크류와 이들 리드스크류에 나사맞춤된 너트체 및 상기 요동체의 고정편에 접속되는 고정판, 핸들로 구성되는 폭 조정기구와, 상기 좌·우 롤러스탠드의 각각에는 상기 스프링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보울트 및 이 조정보울트를 고정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좌ㆍ우 롤러 스탠드를 스프링으로 상호 연결 시켰기 때문에, 벨트가 사행 이송될 때에는 벨트 아래에 설치된 롤러 스탠드가 상호 멀어지면서 회전하여 회전각을 크게함에 따라 사행이 조정되며, 벨트와 롤러의 접촉 저항을 균일하게 하여 효율적인 동력의 전달이 되도록 하므로서, 벨트의 형상에 관계없이 사행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 조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부호 10은 사각 프레임 형상의 앵글바디로서, 대략 그 중앙부에 회전축(12)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요동체(2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요동체(20)는 양측에 도시하지 않은 롤러를 받아들이는 안착홈부(22) 및 2단도르래 삽입구멍(23)을 형성하고 있고, 후술하는 롤러스탠드의 폭을 조정하는 조정기구(50)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편(24)을 설치하고 있다. 또 대략 양측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구성에는 2개 1조의 2단 도르래(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는, 상기 2단 도르래(26)의 홈부에 끼워맞춤하여 이동하는 이동홈부(32), (42)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끝단에는 탄발수단으로서의 스프링(34,) (44)을 각각 탄력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부호 36, 46은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 37, 47은 상기 스프링(34), (44)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보울트, 38, 48, 38', 48' 은 상기 보울트(37), (47)의 고정편 및 가동편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4)은 우측 롤러 스탠드(40)의 가동편(48')에 고정되고, 상기 또다른 스프링(44)은 좌측 롤러 스탠드(30)의 가동편(38')에 접속 고정되므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채 롤러 스탠드를 구성하게 된다. 부호 38a, 48a는 상기 스프링(34), (44)을 상기 각각의 가동편(38'), (48')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구멍이다.
이어서 롤러 스탠드 폭 조정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요동체(20)의 고정편(24)에 접속되는 고정판(52)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가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구성되는 리드스크류(54), (5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4), (54')에는 각각 상기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의 일측에 연결되는 너트체(56), (56')가 나사맞춤 되어 있다. 부호 39, 49는 이들 너트체(56), (56')를 접속하는 접속편이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리드스크류(54')에는 핸들(58)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핸들(58)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너트체(56), (56')의 거리가 대소 조정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를 스프링(34), (44)으로 상호 연결시켰기 때문에, 벨트가 사행 이송될 때에는 벨트 아래에 설치된 롤러 스탠드(30), (40)가 상호 멀어지면서 회전하여 회전각을 크게함에 따라 사행이 조정되며, 벨트와 롤러의 접촉 저항을 균일하게 하여 효율적인 동력의 전달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적재물(운송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롤러 스탠드의 폭을 변형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조정기구(50)의 핸들(58)을 원하는 방향, 즉, 좌ㆍ우 롤러스탠드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ㆍ우측으로 나뉘어진 리드스크류(54), (54')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기 때문에 각각의 리드스크류(54), (54')와 나사맞춤한 너트체(56), (56')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너트체(56), (56')는 상기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의 접속편(39), (49)에 각각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좌·우 롤러 스탠드(30), (40)의 폭은 변화하게 된다 (제2도 참조). 따라서 운전자는 다양한 폭으로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사행폭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 조정장치에 의하면, 상호 접속한 좌ㆍ우 롤러 스탠드에 의하여 자동으로 사행이 교정되도록 하였으며 폭 조정 기구를 부가 설치하여 더욱 그 조정이 용이한 사행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벨트의 형상에 관계없이 사행을 교정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소정 갯수의 롤러와, 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스탠드 및 이들을 지지하는 앵글바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앵글바디(10)의 중앙부에 회전축(12)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요동체(20)와, 이 요동체(20)는 롤러를 받아들여서 지지하는 안착홈부(22) 및 다수개의 2단 도르래(26)를 삽입하는 삽입구멍(23)을 가지며, 이동홈부(32), (42) 스프링(34), (44)를 각각 가지는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와, 상기 좌ㆍ우 롤러 스탠드(30), (40)는 각각의 가동편(38'), (48')의 걸이 구멍(38a), (48a)을 통하여 상호 스프링(34), (44)을 연결하고 있으며, 오른나사 및 왼나사 방식의 리드스크류(54), (54')와 이들 리드스크류(54), (54')에 나사맞춤된 너트체(56), (56') 및 상기 요동체(20)의 고정편(24)에 접속되는 고정판(54), 핸들(58)로 구성되는 폭 조정기구(50)와, 상기 좌ㆍ우 롤러스탠드(30), (40)의 각각에는 상기 스프링(34), (44)의 텐션을 조정하기위한 조정보울트(37) 및 이 조정보울트(37)를 고정하는 고정편(38), (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2019950014524U 1995-06-23 1995-06-23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KR0126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524U KR0126970Y1 (ko) 1995-06-23 1995-06-23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524U KR0126970Y1 (ko) 1995-06-23 1995-06-23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699U KR970001699U (ko) 1997-01-21
KR0126970Y1 true KR0126970Y1 (ko) 1998-10-15

Family

ID=1941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524U KR0126970Y1 (ko) 1995-06-23 1995-06-23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71B1 (ko) * 2004-12-28 2011-08-0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이어의 캐리어 롤러 교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654B1 (ko) * 1999-12-29 2002-04-15 김형국 벨트 콘베이어의 배수장치
KR101118298B1 (ko) * 2004-12-24 2012-03-2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0934863B1 (ko) * 2009-04-02 2009-12-31 포스낙(주)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사행방지장치의 벨트사행감지장치
KR101322867B1 (ko) * 2012-03-12 2013-10-28 (주) 세창기계 이송판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박스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71B1 (ko) * 2004-12-28 2011-08-04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이어의 캐리어 롤러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699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4474A1 (en) Chain conveyor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shafts
JPH11165830A (ja)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KR0126970Y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정 장치
JP3597472B2 (ja) コンベヤ・モータ駆動ユニット及びコンベヤ・システム
US809227A (en) Conveyer-belt support.
CN110304434B (zh) 提升及输送装置和具有提升及输送装置的路段输送机
US4280619A (en) Moving belt conveyor mechanism
JP7383521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蛇行調整装置、及びその蛇行調整装置を備えるベルトコンベヤ
US4696390A (en) Bulk conveyor
US5904238A (en) Duel belt conveyor system
KR20010095559A (ko) 트리퍼 부상부에서의 벨트콘베이어 뒤틀림 방지장치
JP2532452Y2 (ja) コンベアベルトの蛇行修正及び張力の調整装置
KR20120014403A (ko)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US5669483A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a workpiece along a curved path
KR20010097746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0991461B1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620132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010616B1 (ko)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자동조정장치
US2655253A (en) Supporting and auxiliary driving means for conveyer belts
JP2000072220A (ja) ベルトコンベアの粒塊物落下防止装置
CN219858872U (zh) 一种高安全性动力传送带
US20200283233A1 (en) Flexible conveyor belt assembly with chain traction system and capacity to follow a curve
KR20120061638A (ko)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CN213706753U (zh) 柔性输送带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