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706Y1 - 볼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볼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706Y1
KR0126706Y1 KR2019950044826U KR19950044826U KR0126706Y1 KR 0126706 Y1 KR0126706 Y1 KR 0126706Y1 KR 2019950044826 U KR2019950044826 U KR 2019950044826U KR 19950044826 U KR19950044826 U KR 19950044826U KR 0126706 Y1 KR0126706 Y1 KR 0126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astening
nut
flan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291U (ko
Inventor
하준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706Y1/ko
Publication of KR970042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얇은 철판의 결합물과 역시 비교적 얇은 두께의 결합상대물의 결합시 볼트체결부위의 응력집중을 최소화하여 결합상대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볼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체결공(12)(22)을 갖는 결합물(10) 및 경합상대물을 볼트(30) 및 너트(40)로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대물(20)의 체결공(22) 주연에 플랜지(24)를 절곡구성하고,볼트에 결합시 일측에 상기 플랜지(2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42)이 형성된 너트(4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트 체결구조
제1도는 종래의 볼트체결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볼트체결구조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결합물 20 : 결합상대물
12,22 : 체결공 24 : 플랜지
30 : 볼트 40 : 너트
42 : 수용홈
본 고안은 볼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물과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결합상대물의 결합시 볼트체결부위의 응력집중을 최소화하여 결합상대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볼트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산업분야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형태는 매우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 본 고안은 그중 비교적 두께가 얇은 박형의 철판들을 상호 체결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박형의 철판을 상호 볼트체결함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물(1)과 결합상대물(2)에 각각 체결공(1a)(2a)을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물측으로부터 볼트(3)를 삽입하여 결합상대물(2)의 후방에서 너트(4)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체결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체결구조는 상기 결합상대물(2)의 체결공(2a) 주연에 응력이 집중되어 결합상대물의 피로증가는 물론 체결시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는 너트(4)를 소정토오크 이상으로 회전시켜 체결을 이루게 되므로 너트(4)면이 결합상대물(2)의 체결공(2a) 주연을 가압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으로 비틀림 응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또한, 그 비틀림응력은 체결공주연에 고르게 작용되지 않고 어느 일부분에 국부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그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체결공(2a)으로부터 결합상대물(2)의 테두리부로 이르는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볼트체결로 인한 결합상대물의 응력집중을 미연에 방지하여 결합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결합상대물을 보호할 수 잇는 볼트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 체결공을 갖는 결합물 및 결합상대물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대물의 체결공주연에 플랜지를 절곡구성하고, 볼트에 결합시 일측에 상기 플랜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너트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너트조임시 발생하는 응력집중 현상을 플랜지에서 충분히 수용하여 피로를 줄이고 체결공의 내주연으로부터 그 바깥측으로 향하는 균열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볼트(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체결공(12)이 형성된 결합물(10)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물(10)의 체결공(12)과 동축상에 체결공(22)이 형성되는 결합상대물(20)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상대물(20)의 체결공(22)을 가공함에 있어서는 일차로 상기 체결공의 위치에 볼트의 외경보다 작은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부를 일측으로 보오링가공하여 플랜지(24)를 형성하여 플랜지(24)의 내측에 체결공(22)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트(30)가 결합물(10) 및 결합상대물(20)의 체결공(12)(22)을 관통하면 타측에서 볼트에 결합하는 너트(40)가 구비되는데, 이 너트(40)는 일측에 상기 플랜지(2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42)의 깊이는 플랜지(24)의 길이보다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너트(40)가 결합할 때 플랜지(24)의 단부가 수용홈(42)의 내면에 닿기전에 너트(40)의 측면이 결합물상대물에 먼저 접촉토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수용홈(42)의 내면이 플랜지(24)의 단부를 가압할 경우에 예상되는 강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상기 수용홈(42)의 형성하므로 인해 예상되는 너트(40)의 강도저하는 너트(40)의 높이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0)를 결합물(10) 및 결합상대물(20)의 체결공(12)(22)을 통해 삽입하고, 결합상대물(20)의 후면으로부터 너트(40) 결합하게 되면 플랜진(24)가 너트(40)의 수용홈(42)을 삽입됨과 동시에 너트(40)의 측면이 결합상대물을 가압하며 체결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40)의 가압회전으로 인해 결합상대물(20)에 발생하는 비틀림응력은 구조적으로 강도가 향상된 플랜지에서 충분히 수용하게 되므로 체결공(22)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발생되는 균열은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트 체결구조는 결합상대물에 플랜지를 구성하고 플랜지의 내측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해 볼트체결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너트체결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집중을 미연에 방지하여 결합상대물의 균열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각각 체결공(12)(22)을 갖는 결합물(10) 및 결합상대물을 볼트(30) 및 너트(40)로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대물(20)의 체결공(22) 주연에 플랜지(24)를 절곡구성하고, 볼트에 결합시 일측에 상기 플랜지(2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42)이 형성된 너트(4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42)의 깊이는 플랜지(24)의 길이보다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체결구조.
KR2019950044826U 1995-12-21 1995-12-21 볼트 체결구조 KR0126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826U KR0126706Y1 (ko) 1995-12-21 1995-12-21 볼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826U KR0126706Y1 (ko) 1995-12-21 1995-12-21 볼트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291U KR970042291U (ko) 1997-07-29
KR0126706Y1 true KR0126706Y1 (ko) 1998-12-01

Family

ID=1943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826U KR0126706Y1 (ko) 1995-12-21 1995-12-21 볼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291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102B1 (en) Studs for connecting a wheel and a brake element to a motor vehicle wheel hub unit
JP2575892Y2 (ja) プーリー直結型コンプレッサー
JP3512435B2 (ja) ボール結合リンク
JPS6030877B2 (ja) 油井管用のねじ継手
KR20050034537A (ko) 체결구 및 체결볼트
US5639176A (en) Clamping set
SK282812B6 (sk) Skrutka a kľúč na jej uťahovanie
KR20020033415A (ko) 헐거움 방지 너트
KR20080098395A (ko) 비틀림 강성의 가요성 샤프트 커플링, 특히 완전 강 커플링
JPH0579846B2 (ko)
KR100363490B1 (ko) 등속조인트의외륜과축의접합구조
KR0126706Y1 (ko) 볼트 체결구조
US7182562B2 (en) Gear bolt retention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assembly subjected to thrust and bending loading
WO2005088139A1 (ja) インサートカラー
KR20000006952U (ko) 커플링 유닛
JPH01153820A (ja) 回転体固定具
KR200181292Y1 (ko) 배관 연결장치
JP5792117B2 (ja) 固定構造
JP3268110B2 (ja) セグメントの接合構造
JP2000129910A (ja) 足場用壁つなぎ取付ボルト
JPH10288289A (ja) 押輪用調芯具
JPH11201372A (ja) ネジ継手用水圧水侵入防止プロテクタ
KR19990039586U (ko) 파이프 연결구
JP2001173594A (ja) 遠心形羽根車の軸締結部
JPS5846300Y2 (ja) 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