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068Y1 -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의 설치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068Y1
KR0126068Y1 KR2019950017408U KR19950017408U KR0126068Y1 KR 0126068 Y1 KR0126068 Y1 KR 0126068Y1 KR 2019950017408 U KR2019950017408 U KR 2019950017408U KR 19950017408 U KR19950017408 U KR 19950017408U KR 0126068 Y1 KR0126068 Y1 KR 0126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board
back panel
trim
trimboar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7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849U (ko
Inventor
오제혁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17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068Y1/ko
Publication of KR97000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62D33/1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comprising means for the suspension of the superstructure on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림보드의 조립시 안정된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트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의 백패널 트림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트림보드의 고정구조는 위치결정구조가 없어 체결홈 어림짐작으로 더듬어서 찾을 수 밖에 없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와, 트림보드 후면을 지지해주는 별도의 부재가 없어 트림보드 후면에 개단면부분이 형성되어 트림보드가 변형에 대하여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백패널(1)과, 크로스 멤버(2)와 트림보드(3)로 이루어지는 화물차의 후면부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1)과 트림보드(3)의 연결부 사이에 트림보드(3)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단턱(4)이 형성되고, 트림보드(3)의 체결홈이 형성된 트림보드 브라켓(6)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트림보드 후면에 체결홈과 단턱을 갖춘 트림보드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트림보드의 상하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과 관련된 화물차의 백패널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 설치구조를 보인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패널 2 : 크로스 멤버
3 : 트림보드 4 : 단턱
5 : 체결홈 6 : 트림보드 브라켓
10 : 캐빈 11 : 리어윈도우
12 : 웨더스트립 13 : 화스너
14 : 체결홈
본 고안은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림의 조립시 안정된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트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의 백패널 트림보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0)과 적치대로 이루어지며, 캐빈(10)의 후면부 바디구조는 소정의 위치에 리어윈도우(11)가 위치하고, 그 주위로 강판재질의 백패널(1)이 형성된다.
백패널(1)의 내측면 일단에는 차량의 좌우방향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2)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리어윈도우(11)와 백패널(1)의 연결부에는 웨더스트립(12)이 삽입되어 차실내에 외부 공기나 소리가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며, 백패널(1)의 안쪽에는 차실 내장재인 트림보드(3)가 설치되는 바, 그 고정방법은 백패널(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크로스 멤버(2)의 돌출부와 화스너(13)로 체결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트림보드(3)의 고정구조는 트림보드(3) 조립시 백패널(1)의 일단에 위치결정구조가 없어 화스너(13) 조립시 체결홈(14)을 어림짐작으로 더듬어서 찾을 수 밖에 없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트림보드(3)의 재질이 합성수지재의 성형품으로서 일정정도 단단하지만 트림보드(3) 후면을 지지해주는 별도의 부재가 없어 트림보드(3) 후면에 개단면부분이 형성되어 트림보드(3)가 변형에 대하여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트림보드 후면에 단턱과 체결홈을 갖춘 트림보드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단턱에 트림보드를 밀착시켜 체결홈의 위치를 손쉽게 찾아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트림보드 브라켓이 트림보드의 후면을 지지하게 하여 트림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백패널(1)과, 크로스 멤버(2)와 트림보드(3)로 이루어지는 화물차의 후면부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1)과 트림보드(3)의 연결부 사이에 트림보드(3)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단턱(4)이 형성되고, 트림보드(3)의 체결홈(5)이 형성된 트림보드 브라켓(6)을 설치한 것이다.
예시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의 백패널 트림보드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통상적으로 화물차 캐빈(10)의 후면에 설치되는 리어윈도우(11) 하단에 백패널(1)과 트림보드(3)의 선단면이 웨더스트립(12)에 삽입되어 연결고정되고 백패널(1) 내측면에 백패널(1)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크로스 멤버(2)가 설치되는 것은 주지된 바와 같으며, 본 고안의 트림보드 브라켓(6)은 상단부는 트림보드(3)와 백패널(1)이 결착되는 연결부와 함께 고정되면, 트림보드 브라켓(6)의 하단부는 백패널(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2)의 일단과 용접으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며, 트림보드 브라켓(6)의 단면형상은 트림보드(3)의 후면에 결착되도록 단턱(4)이 형성되며, 트림보드(3)를 고정하는 화스너(13)의 체결홈(14)이 형성된다.
즉, 트림보드(3) 조립시에는 트림보드(3)를 트림보드 브라켓(6)에 밀착시키면 트림보드(3)의 굴곡부와 트림보드 브라켓(6)의 굴곡부가 서로 맞물려 상하위치가 결정되므로 좌우위치만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트림보드(3)의 체결구와 트림보드 브라켓(6)의 체결홈(14)을 일치시켜 화스너(13)로 체결하게 된다.
또한, 주행중 트림보드(3)는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크로스 멤버(2)와 웨더스트립(12)에 고정된 트림보드 브라켓(6)의 단턱(4)에 트림보드(3)의 굴곡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상하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트림보드 브라켓(6)이 트림보드(3)의 후면부를 넓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합성수지재의 성형물인 트림보드(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트림보드 후면에 체결홈과 단턱을 갖춘 트림보드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트림보드의 상하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

  1. 백패널(1)과, 크로스 멤버(2)와 트림보드(3)로 이루어지는 화물차의 후면부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1)과 트림보드(3)의 연결부 사이에 트림보드(3)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단턱(4)이 형성되고, 트림보드(3)의 체결홈이 형성된 트림보드 브라켓(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 설치구조.
KR2019950017408U 1995-07-14 1995-07-14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의 설치구조 KR0126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408U KR0126068Y1 (ko) 1995-07-14 1995-07-14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408U KR0126068Y1 (ko) 1995-07-14 1995-07-14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849U KR970004849U (ko) 1997-02-19
KR0126068Y1 true KR0126068Y1 (ko) 1998-10-01

Family

ID=1941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7408U KR0126068Y1 (ko) 1995-07-14 1995-07-14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0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849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845A (en) Motor vehicle windshield cowl plate
JPH08310313A (ja) 自動車用ピラーガーニッシュ支持構造
KR19990023541A (ko) 자동차의 차체 칼럼용 에너지 흡수 덮개
KR0126068Y1 (ko) 화물차 백패널 트림보드의 설치구조
US5655811A (en) Front fender reinforcing structure
KR930005859B1 (ko) 차량의 카울 톱 가니쉬(cowl top garnish) 부착구조
JP3778049B2 (ja) ウィンドサイドモールとカウルルーバの接続構造
JP3706930B2 (ja) 自動車用バンパカバー
JP2001071938A (ja) 車両用カウルルーバ後端の固定構造
JP3433709B2 (ja) フロントウインドモールの取付構造
JPH0723296Y2 (ja) ドアーウェザーストリップ、及びその取付構造
KR200192382Y1 (ko) 자동차용 쿼터 인너 어퍼 센터 필러 트림의 보강구조
JP3865177B2 (ja) 樹脂部品の構造
JPS6242857Y2 (ko)
KR100439791B1 (ko) 자동차 리어 도어용 인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KR0136346Y1 (ko) 자동차 가니쉬 몰딩의 들뜸방지구조
KR0152743B1 (ko) 도어의 코너 브라켓 취부구조
KR970002552Y1 (ko) 자동차의 뒤범퍼고정용 브라켓
JPH08119000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け構造
CN115352532A (zh) 一种车辆a柱结构及车辆
KR0152742B1 (ko) 도어 샤시 취부구조
JP2505015Y2 (ja) トラックキャブの前端部車体構造
JPH0629068Y2 (ja) ドアトリム構造
KR0120174B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와 대쉬판넬의 결합구조
JPS61285120A (ja) スライドドア上部のル−フレ−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