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739Y1 -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739Y1
KR0125739Y1 KR2019960019249U KR19960019249U KR0125739Y1 KR 0125739 Y1 KR0125739 Y1 KR 0125739Y1 KR 2019960019249 U KR2019960019249 U KR 2019960019249U KR 19960019249 U KR19960019249 U KR 19960019249U KR 0125739 Y1 KR0125739 Y1 KR 0125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ide door
box side
winc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854U (ko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19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739Y1/ko
Publication of KR980001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화물차의 화물칸 전방을 이루는 패널(2)에 장착된 모터(12); 상기 모터(12)축에 장착된 윈치(14); 상기 윈치(14)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은 화물칸의 측부를 이루는 박스 사이드 도어(1)의 단부에 고정된 케이블(15); 및 상기 모터의 구동(12)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낸 화물차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박스 사이드 도어 2:프런트 박스 패널
10: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11:케이스
12:모터 13:감속기어
14:윈치 15:케이블
16:스위치 21:단부
[본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물차의 화물칸 양측부를 구성하는 박스 사이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자동차의 화물칸은 전방을 이루는 프런트 박스 패널과, 양측부를 이루는 박스 사이드 도어와, 후방을 이루는 박스 리어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진다. 즉,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양측부를 따라 박스 사이드 도어(1)가 설치되어서, 이 박스 사이드 도어(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측 하단이 차체에 힌지연결되어 회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전단부가 프런트 박스 패널에 로킹장치로 고정되고, 후단부는 박스 리어 도어에 로킹장치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화물을 화물칸에 적재하려면, 작업자가 각 로킹장치를 해제시킨 다음, 박스 사이드 도어(1)를 손으로 지지하면서 천천히 회전시켜 열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박스 사이드 도어(1)는 그 자체의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상기된 종래의 방식대로 작업자가 손으로 박스 사이드 도어(1)를 지지하면서 열고 닫기가 매우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박스 사이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화물차의 화물칸 전방을 이루는 피널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장착된 윈치(winch); 상기 윈치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은 화물칸의 측부를 이루는 박스 사이드 도어의 단부에 고정된 케이블; 및 상기 모터의 구동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와 윈치 사이에 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기어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에 의해 케이블이 윈치에 감겨지거나 윈치에서 풀어지는 동작에 의해 박스 사이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므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낸 화물차의 측면도이고,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고안의 동작 설명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칸의 전방을 이루는 패널(2)에 본 고안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장치(10)가 제 3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가 패널(2)에 설치되고, 구동원인 모터(12)가 케이스(11)내에 장착된다. 모터(12)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어(13)가 모터(12)의 축에 장착되고, 감속기어(13)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윈치(14)가 케이스(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모터(12)의 구동력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케이블(15)의 일단이 윈치(14)의 외주면에 고정되어서 수 회 권취되고, 타측은 박스 사이드 도어(1)에 고정된다. 특히, 박스 사이드 도어(1)에는 열렸을 경우에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단부(21)가 형성되어, 이 단부(21)에 케이블(15)의 타측이 고정된다.
한편, 모터(12)의 구동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16)가 케이스(11)에 부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 4 도 및 제 5 도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치(16)를 눌러 모터(12)를 구동시키면, 감속기어(13)에 의해 소정의 비율로 모터(12)의 구동력이 감소된다. 이와같이 감속된 구동력에 의해, 윈치(14)가 정위치에서 회전하게 되어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5)이 풀어지는 되는 동작에 의해 박스 사이드 도어(1)가 열리게 된다. 계속 케이블(15)이 풀어지면 제 5 도와 같이, 박스 사이드 도어(1)는 완전히 열리게 된다.
반대로, 박스 사이드 도어(1)를 닫을려면, 이번에는 모터(12)의 회전방향이 위와는 반대가 되도록 스위치(16)를 눌러 모터(12)를 구동시켜, 케이블(15)이 윈치(14)에 감겨지도록 한다. 이때, 케이블(15)이 박스 사이드 도어(1)에서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형성된 단부(2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케이블(15)은 박스 사이드 도어(1)의 폭방향과 동일하지 않고 약간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케이블(15)이 보다 용이하게 당겨질 수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박스 사이드 도어(1)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매우 무거운 박스 사이드 도어(1)를 손으로 지지하면서 열고 닫을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화물차의 화물칸 전방을 이루는 패널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장착된 윈치; 상기 윈치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은 화물칸의 측부를 이루는 박스 사이드 도어의 단부에 고정된 케이블; 및 상기 모터의 구동 및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윈치 사이에 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기어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KR2019960019249U 1996-06-29 1996-06-29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KR0125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49U KR0125739Y1 (ko) 1996-06-29 1996-06-29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49U KR0125739Y1 (ko) 1996-06-29 1996-06-29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854U KR980001854U (ko) 1998-03-30
KR0125739Y1 true KR0125739Y1 (ko) 1998-09-15

Family

ID=1946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249U KR0125739Y1 (ko) 1996-06-29 1996-06-29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7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85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3887B2 (en) Drive assembly for a power closure panel
US6068321A (en) Motor vehicle including a power actuated tailgate
JP2006240611A (ja) 車両用ドアシステム
JPS58214414A (ja) 車体におけるサンル−フの安全装置
KR0125739Y1 (ko) 화물차의 박스 사이드 도어 개폐장치
JPH01314620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H01314621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S59170381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3672152B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H0439140A (ja) 自動車のバックミラー装置
KR200144109Y1 (ko) 자동차 뒷문 개폐 장치
JP3673939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200153117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자동 잠금장치
KR0184983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0182890B1 (ko) 유압을 이용한 루프 오픈 타입의 테일 게이트
KR200144108Y1 (ko) 자동차 뒷문 개폐 장치
JPH0671815U (ja) 電動式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の駆動装置
JPH0329209Y2 (ko)
KR19980049645A (ko) 밴 차량의 사이드 글래스 개폐장치
JPH035444Y2 (ko)
KR100191034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KR20020050342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카고스크린 연동구조
KR100191809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자동 잠금 장치
JPH028115B2 (ko)
KR200147471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