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076Y1 - 히터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히터식 가습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076Y1
KR0125076Y1 KR2019950054481U KR19950054481U KR0125076Y1 KR 0125076 Y1 KR0125076 Y1 KR 0125076Y1 KR 2019950054481 U KR2019950054481 U KR 2019950054481U KR 19950054481 U KR19950054481 U KR 19950054481U KR 0125076 Y1 KR0125076 Y1 KR 0125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humidification chamber
heater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434U (ko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54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076Y1/ko
Publication of KR970044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통의 일측에 무화관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물통의 내용적을 향상시키고 또한 구조를 간소화한 히터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상부에 물받이와 히터가 감긴 가습실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와 상기 가습실이 포함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놓이고 상기 물받이 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 그리고 상기 가습실과 대응되도록 상기 물통의 타측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노즐이 놓이는 무화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히터식 가습기
제1도는 종래 히터식 가습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물통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히터식 가습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물받이
12 : 가습실 14 : 히터
20 : 물통 21 : 급수구
22 : 무화관 23 : 노즐
본 고안은 히터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의 일측에 무화관을 일체로 형성하여 가습실에서 증발되는 수증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서, 물통의 물 저장량이 증가되도록 하고 또한 구조를 간소화한 히터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터식 가습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물받이(2)가 설치된 본체(1)와 물받이(2)에 놓인 물통(6)으로 구성된다. 한편 물통(6)은 저면 일측으로 물받이(2)에 돌출된 돌기(2a)에 눌려 물이 간헐적으로 유출되는 급수구(7)가 마련되고 물받이(2)의 일측에는 물통(6)의 물이 담수되는 가습실(5)이 마련된다.
즉 물받이(2)와 가습실(5) 사이에 수관(3)이 연결되어 물받이(2)의 물이 가습실(5) 내부로 공급되고 또한 가습실(5)의 외주면에는 히터(4)가 설치된다. 한편, 가습실(5)의 상부에 증발되는 수증기를 상부쪽으로 안내하는 무화관(8)이 놓이고 무화관(8)의 상단에는 실내로 수증기를 토출시키는 노즐(8a)이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히터식 가습기는 물통(6)의 물이 급수구(7)를 통하여 간헐적으로 물받이(2) 내부로 급수되고 또한 급수된 물은 수로(3)를 따라 가습실(5)로 공급된다. 이때 가습실(5)의 외주면에 설치된 히터(4)가 가열되면 가습실(5)에 담수된 물이 가열되면서 증발되어 수증기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되는 수증기는 무화관(8)을 따라 상단에 설치된 노즐(8a)을 통하여 실내로 방출되면서 실내가 가습된다.
그러나 본체(1) 상부에 물통(6)과 무화관(8)이 함께 설치됨으로 물통(6)의 내용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빈번하게 물을 보충하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물통(6)과 별도로 무화관(8)을 제작해야 됨으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통의 일측에 무화관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물통의 내용적을 향상시키고 또한 구조를 간소화한 히터식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상부에 물받이와 히터가 감긴 가습실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와 상기 가습실이 포함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놓이고 상이 물받이 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 그리고 상기 가습실과 대응되도록 상기 물통의 타측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노즐이 놓이는 무화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물통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히터식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은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물받이(11)가 설치되고 또한 물받이(11) 타측에 가습실(12)이 형성된다.
한편 물받이(11)와 가습실(12)은 수로(1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가습실(12)의 외주면에는 가습실(12)에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4)가 권회된다.
한편 본체(10) 상부에 물받이(11)와 가습실(12)이 동시에 덮히도록 물통(20)이 놓인다. 한편 물통(20)은 저면 일측에 형성된 급수구(21)가 물받이(11)에 돌출된 돌기(15)에 눌려 물받이(11)로 물이 유출되고 또한 유출된 물은 수로(13)를 따라 가습실(12)로 급수된다.
한편 가습실(12)과 물받이(11)의 수위가 일치된 상태에서 급수구(21) 저면까지 물이 차면 수압에 의해 급수구(21)가 일시적으로 막히게 되고 또한 히터(14)의 가열로 물이 증발되어 수위가 떨어지면 급수구(21)가 열리면서 물이 재차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또한 가습실(12) 직 상부의 물통(20)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상의 무화관(22)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무화관(22) 상단에 수증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노즐(23)이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물통(20)이 본체(10)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급수구(21)가 돌기(15)에 눌려 개방되면 물이 물받이(11)로 공급된다. 또한 물이 물받이(11) 및 수로(13)를 통하여 가습실(12) 내부에 담수된 상태에서 수위가 급수구(21)의 저면과 일치되면 수압에 의해 급수구(21)가 일시적으로 막히면서 물의 공급이 중지되고 또한 히터(14)의 가열로 물이 증발되면서 수증기화 되면 수위가 떨어지고 이때 급수구(21)가 개방되면서 물이 재차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한편 히터(14)가 가열되면 가습실(12) 내부의 물이 끓으면서 증발됨과 동시에 수증기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되는 수증기는 물통(20)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무화관(22)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 다음 노늘(23)을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물통(20)은 중공상의 무화관(22)을 제외하고 본체(10) 상부와 동일 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용적이 증가되어 물의 저수량이 향상된다. 따라서 가습기를 사용할 때 물을 자주 보충하지 않아도 됨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 면적과 동일하게 물통이 형성된 상태에서 무화간이 일체로 구비됨으로 물통의 내용적이 증가됨에 물을 자주 보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구성이 간소화되어 제작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 상부에 물받이와 히터가 감긴 가습실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11)와 상기 가습실(12)이 포함되도록 상기 본체(10) 상부에 놓이고 상기 물받이(11)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20), 그리고 상기 가습실(12)과 대응되도록 상기 물통(20)의 타측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노즐(23)이 놓이는 무화관(22)을 구비하는 히터식 가습기.
KR2019950054481U 1995-12-30 1995-12-30 히터식 가습기 KR0125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481U KR0125076Y1 (ko) 1995-12-30 1995-12-30 히터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481U KR0125076Y1 (ko) 1995-12-30 1995-12-30 히터식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434U KR970044434U (ko) 1997-07-31
KR0125076Y1 true KR0125076Y1 (ko) 1998-11-02

Family

ID=1944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481U KR0125076Y1 (ko) 1995-12-30 1995-12-30 히터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0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434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6174B1 (en) Improved steam inhaler
KR0125076Y1 (ko) 히터식 가습기
US5628131A (en) Steam surge system for an electric steam iron
KR100198718B1 (ko) 가습기
KR100423261B1 (ko) 복합식 가습기
JP3981902B2 (ja) 加湿器
KR0138289Y1 (ko) 이동형 가스 난방기기의 가습장치
KR0132615Y1 (ko) 가습기의 히터브래킷
KR200297944Y1 (ko) 가습기의 온수 역류방지장치
KR0182435B1 (ko) 가습기의 유로장치
JPH0229362Y2 (ko)
JPH0427446Y2 (ko)
JP2503176Y2 (ja) 液体噴霧装置
JPH1163583A (ja) 加湿装置
JPH08121824A (ja) 加湿器
KR200360038Y1 (ko) 가습기의 가열장치
KR19980013127U (ko) 가습기의 유로장치
KR0139393Y1 (ko) 냉온수기 결합형 가습기
KR0122732Y1 (ko) 물통과 분무관이 일체로 된 가습기
KR0139831Y1 (ko) 가습기의 히터
KR20230164620A (ko) 가열식 간편세척 가습기
JPH076908Y2 (ja) 吸入器
JPS5910498Y2 (ja) 暖房機の加湿装置
JP2550939B2 (ja) 液体加熱気化装置
JPS562864A (en) Liquid atom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