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467B1 - 벨트 인장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벨트 인장기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467B1
KR0124467B1 KR1019910701829A KR910701829A KR0124467B1 KR 0124467 B1 KR0124467 B1 KR 0124467B1 KR 1019910701829 A KR1019910701829 A KR 1019910701829A KR 910701829 A KR910701829 A KR 910701829A KR 0124467 B1 KR0124467 B1 KR 012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housing
tension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761A (ko
Inventor
디 헨더슨 듀이
Original Assignee
조셉 브이 타손
데이코 프로덕츠 인코오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셉 브이 타손, 데이코 프로덕츠 인코오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조셉 브이 타손
Publication of KR92070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인장기 및 그 지지체와의 결합체, 벨트 인장기, 키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결합체는 볼트(23)에서 인장기의 회전을 방지하고 지지체에 대해서 인장기(20)를 향하도록 지지체(22)에 오프셋 개구부(74)에 수용되며 제거가능한 핀(73,73A)을 가지며 단일 볼트(23)에 의해서 지지체(22)에 장착된 벨트 인장기(20)로 구성되며, 인장기의 하우징(21)은 인장기(20)가 제거가능한 핀(73,73A)및 단일 볼트(23)에 의해서 다른 지지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체(22)의 개구부(74)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거 가능한 핀(73,73A)을 각각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벨트 인장기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무한 동력전달 벨트 등에 사용되는 새로운 인장기 및 이러한 인장기를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키트(kit)와, 이러한 인장기 및 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장착표면 수단을 가진 지지수단과, 단일 볼트수단과, 상기 지지수단 및 하우징 수단에 의하여 수용된 상기 단일 볼트수단에 의하여 장착표면 수단에 대해서 맞닿음 관계에 있는 지지수단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을 가진 벨트 인장기의 결합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볼트수단과 오프셋 관계로 장착표면 수단을 가로막는 개구수단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수단은 지지수단에 대해서 인장기를 향하도록 그리고 볼트수단에서 하우징수단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지지수단의 개구수단에 수납되고 하우징 수단으로부터 뻗어있는 제거 가능한 핀 수단을 가진 것이 알려져 있는 이러한 공지의 핀 수단은 하우징 수단내에서 내부적으로 나사식으로된 개구부에 나사식으로 위치한 나사식 생크(shank)부를 가져서, 핀 수단의 확대 헤드는 지지수단의 오프셋 개구부내에 수용된다.
또한, 무한 통로내에서 작동되도록 채택된 동력전달 벨트용 인장기가 알려져 있는바, 이 인장기는 벨트에 대해서 고정된 지지수단과, 지지수단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벨트 맞물림 수단과, 지지수단에 대해서 벨트 맞물림 수단 및 벨트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힘으로써 벨트에 대해서 가압하기 위한 벨트 맞물림 수단 및 지지수단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스프링 수단과, 벨트 맞물림 수단의 적어도 한 운동방향으로 그리고 지지수단에 대해서 벨트 맞물림 수단의 운동을 감쇄시키도록 벨트 맞물림 수단 및 지지수단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마찰감쇄수단으로 구성되고, 감쇄수단은 길이 방향축을 가지며, 지지수단은 길이 방향축을 가지며 벨트 맞물림 수단에 대해서 운동으로부터 고정된 축수단으로 구성되며, 벨트 맞물림 수단은 축수단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축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일부를 가지며 감쇄수단은 한쌍의 마찰식 맞물림하는 제1 및 2부분으로 구성되며, 제1부분은 제2부분에 대해서 축수단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동축으로 위치한 환형 패드인 마찰 재료로 구성되며, 제2스프링 수단은 소정의 스프링 힘으로 제2부분에 대해서 제1부분을 가압하며, 감쇄수단의 제1부분은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지지수단은 제1부분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수단을 수용하는 개구수단을 가진 끝캡으로 구성되며, 개구수단은 가이드 수단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단을 가진다.
예를 들면, 헨더슨(Henderson)의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를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에서 처럼 다른 지지구조체에 다른 벨트 인장기를 각각 필요로 하지 않고 다른 지지구조체에 적절하게 장착되고 향하도록된 벨트 인장기를 사용하도록 된 단일 수단을 가진 새로운 인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장기는 비교적 공통적으로 장착가능하다.
특히,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에서 개시한 벨트 인장기는 지지구조체에서의 협동개구부 및 벨트 인장기의 중공축수단을 통해서 통과하는 단일 볼트수단에 의해서 지지구조체에 장착되어 있다.
단일 장착 볼트수단에서 벨트 인장기의 회전방지를 위하여, 인장기의 하우징 수단은 단일 볼트수단에서 인장기의 연속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지지구조체에 인장기를 적절히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수단에 대해서 오프셋되는 지지구조체에서 개구수단내로 수용되는 연장부를 가진다.
이러한 공지의 인장기가 공급되었을 때, 하우징의 연장부는 인장기가 장착되는 특별한 지지구조체의 개구수단에 수용되는 연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확대 헤드를 가진 핀 수단의 나사식 생크부를 나사식 결합하고 하우징 수단에서 나사식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인장기의 하우징 수단은 복수의 나사식 개구부로 제공될 수 있고, 그각각은 그 안에 수용되는 특별한 핀 수단의 나사식 생크부를 가지게 되어 인장기가 특별한 지지구조체에 적절히 장착되어 향하도록 되며, 이것에 의해 인장기는 각각의 지지구조체에 대해서 적절한 나사식 개구부를 단순히 선택함으로써 서로 다른 지지구조체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핀 수단 및 일련의 지시기와 함께 본 발명의 새로운 벨트 인장기를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되어, 사용자는 자기의 자동차 엔진이 어떤 메이크 및 모델이라면, 이 사용자는인장기의 하우징 수단에서 복수의 나사식 개구부중의 하나에 핀 수단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그 특별한 엔진의 지지구조체에 인장기를 계속 장착할 때, 인장기의 하우징 수단에 부착된 핀 수단은 인장기가 특별한 엔진에 잘 향하도록 지지구조체의 오프셋 개구수단내에 수용되는 확대헤드를 가질 것이다.'
예컨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장착표면 수단을 가진 지지수단과, 단일 볼트수단, 및 지지수단 및 하우징 수단에 의하여 수용된 단일 볼트수단에 의하여 장착표면 수단에 맞닿음 관계로 지지수단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을 가지는 벨트인장기의 결합체를 제공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볼트수단에 오프셋 관계로 장착표면 수단을 막는 개구수단을 가지며, 하우징 수단은 볼트수단에서 하우징 수단의 회전을 막고 또한 지지수단에 대해서 인장기가 향하도록 지지수단의 개구수단내에 수용되고 하우징 수단으로부터 뻗어있는 어떤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가지며, 이 하우징 수단은 지지수단의 개구수단내에 수용 되도록 부착된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가지도록 채택된 복수의 장치를 가지며, 제거가능한 핀 수단은 장착 장치의 하나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무한통로에서 작용되는 동력전달 벨트용 인장기가 제공되고, 이 인장기는 종래 인장기에 제공된 각각의 베어링 수단을 제거토록 하는 단일 끝캡을 가진다.
특히, 헨더슨이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의 공지의 벨트 인장기는 개구수단을 끝 캡으로 정열시키도록 각각의 베어링 수단을 요구하는 주조 알루미늄 끝 캡을 가져, 마찰 재료의 환형패드의 안내 수단은 고정된 지지수단에 대해 인장기의 벨트 맞물림 아암의 운동을 마찰로 감쇄시키도록 동축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끝 캡은 사실상 전체적으로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자체의 베어링 수단을 제공하여 감쇄수단의 가이드 수단을 위하여 각각의 베어링 라이너 수단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고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무한통로에서 작동되도록 체택된 동력 전달 벨트용 인장기에 있어서, 상기 인장기는 벨트에 대해서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지지수단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지지수단에 의해 수용된 벨트 맞물림 수단과, 벨트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힘으로써 벨트에 대해서 그리고 지지수단에 대해 벨트 맞물림 수단을 가압하기 위하여 벨트 맞물림 수단 및 지지수단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스프링 수단, 및 벨트 맞물림 수단의 어느 한 운동방향으로 지지수단에 대해서 벨트 맞물림 수단의 운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벨트 맞물림 수단 및 지지수단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마찰 감쇄수단으로 구성되고, 감쇄수단은 길이 방향축을 가지며, 지지수단은 벨트 맞물림 수단에 대해서 운동으로부터 고정되고 길이 방향축을 가진 축수단으로 구성되며, 벨트 맞물림 수단은 축수단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축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한부분을 가지며, 감쇄수단은 한쌍의 마찰식 맞물림 하는 제1 및 제2부분으로 구성되며, 제1부분은 제2부분에 대해서 축수단 상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동축으로 배치된 마찰 재료의 환형패드로 구성되며, 제2스프링 수단은 어떤 스프링 힘으로 제2부분에 대해서 제1부분을 가압하며, 감쇄수단의 제1부분은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지지수단은 제1부분의 축방향 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수단을 수용하는 개구수단을 가진 끝 캡으로 구성되며, 개구수단은 가이드 수단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단을 가지며, 끝 캡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어 베어링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은 무한통로에서 작동되는 동력전달 벨트용의 새로운 인장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인장기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또는 이하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인장기를 만드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또는 이하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수단, 단일 볼트수단 및 벨트 인장기의 새로운 결합체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이 결합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또는 이하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신규한 벨트 인장기를 포함한 새로운 키트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키트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또는 이하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키트를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또는 이하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태양)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은 이하 설명되고 특별한 자동차용 엔진의 특별한 동력전달 벨트에 사용되는 벨트 인장기를 제공함으로써 기술되는 한편,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은 원하는 다른 배열로 벨트 인장을 주기 위해 어떤 결합체로 또는 단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형태의 사용중의 한가지만을 단지 예시한 것뿐이기 때문이다.
제1 및 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새로운 벨트 인장기는 참조번호 20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내고 단일 불트수단(23)에 의하여 수송용 차량(도시않음)의 내연기관 (도시않음)의 지지수단 또는 지지브라켓(22)에 체결 되도록 채택된 지지수단 또는 하우징 수단(21)로 구성되고, 단일 볼트수단(23)은 하우징 수단(21)의 관형축 수단(25)에서 개구부(24)에 배치될뿐 아니라 볼트수단(23)의 확대헤드(35)에 의하여 하우징 수단(21)의 끝캡(34)의 측면(33)에 대해서 와셔(32) 및 지지브라켓(22)의 측면(28)에 대해서 다른 와셔(31)을 압축시키도록 나사식 끝부분(30)이 있는 너트(29)를 가지도록 지지브라켓(22)의 대향 표면(27,28)을 통해서 정열된 개구부(26)에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벨트 인장기(20)는 전술한 헨더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에 제안된 구조 및 형태이여서, 이 특허는 참조되어 본 발명의 개시에 첨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인장기(20)의 구조의 상세한 설명란 및 지지구조체(22)에 인장기(20)를 장착하는 이유는 헨더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에 충분히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기(20)의 독특한 특징을 완전히 이해하고 그리고 인장기(20)를 지지구조체(22)에 장착하기 위한 독특한 장착 배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설명이 이하 서술될 것이다.
벨트 인장기(20)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축수단(2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부분(37)을 가진 벨트 맞물림 수단 또는 아암(36)으로 구성되고, 부분(37)은 원통형 개구부(38)를 가지며,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부분(37)용의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형 축수단(25)상에서 끼워 넣어진 관형 베어링부(38')를 끼워 맞춤식으로 수용할 뿐만 아니라, 관형 축수단(25)을 끼워 맞춤식으로 수용하고 있다.
베어링 수단(38')은 어떤 적합한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반면 축수단(25)은 금속성 재료로 형성된다.
벨트 맞물림 수단(36)은 적절한 볼트수단(41)에 의하여 한끝(40)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풀리(39)를 가지며, 이것에 의해 풀리(39)의 환형표면(42)은 제1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공지의 벨트(43)와 같은 무한 동력전달 벨트와 맞물림하도록 체택된다.
벨트 인장기(20)의 지지수단 또는 하우징 수단(21)을 케이싱(44)에 상호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컵형상 케이싱(44)에 대해서 축수단(25)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수단(25)의 끝(48)을 조이기 위하여 관형축수단(25)의 끝이 압축된다.
축수단(25)의 다른끈(49)은 끝 캡(34)을 축수단(25)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축수단(25)에 대해서 끝 캡(3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 캡(34)을 통해서 통과하는 중심 재구부(50)에 직접으로 조여지도록 노브(knob)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 인장기(20)의 끝 캡(34)은 독특한 목적으로 중합체 재료로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축수단(25)에 대해서 끝 캡(34)의 비회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환형금속성 삽입부(51)는 주조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축수단(25)에 끝 캡(34)을 확고히 조이기 위해서 축수단(25)의 노브(knob)형 끝(49)에 압축정합되도록 끝 캡(34)에 끼워질 수 있다.
예컨대 삽입부(51)는 끝 캡(34)이 축수단(25)에 조립되기 전에 끝 캡(34)에 초음속적으로 용접되는 알루미늄 재료의 환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삽입부(51)는 삽입된 채로 끝 캡(34)의 나머지와 기계식으로 잠금되도록 외주면상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다.
코일형 금속성 토션스프링(52)은 케이싱(44)의 개구끝(45)에 설치되고 케이싱(44)의 돌출부(55)에 대해서 만곡된 외부끝(53') 및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허브부(54)에 상호 연결된 내부끝(53)을 가져서, 토션스프링(52)은 하우징 수단(21) 및 벨트 맞물림 수단(36)에 상호 연결되어, 벨트 맞물림 수단(36)을 이동하게 하고, 나아가 축수단(25)에 대해서 특정 방향으로 벨트 풀리(39)를 이동시켜, 벨트(43)를 인장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596,538호에 충분히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다면, 중합체 재료(56)의 스트립 또는 다른 어떤 적절한 감마재는 토션 스프링(52)의 코일 사이에 끼워 넣어질 수 있고, 관형 베어링 수단(38')은 코일형 스프링(52)의 한쪽에 대해서 설치된 디스크형 끝부(57)를 가질 수 있는 한편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감마재의 다른 디스크형 부분(58)은 감마 목적부(57)를 가질수 있는 한편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감마재의 다른 디스크형 부분(58)은 감마 목적 용으로 스프링(52)의 다른쪽에 대해서 설치된다.
벨트 인장기 (20)는 제1도에서 참조번호 59로 나타낸 마찰 감쇄수단을 포함하고, 벨트 맞물림 수단(36)에서 환형편평 표면(65)쪽으로 그리고 그 반대쪽으로 축수단(25)상에서 마찰패드(60)의 축방향 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끝 캡(34)에 형성된 적절한 개구부(64)에 각각 수용되고 한쪽(63)으로부터 뻗어있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62)를 가진 환형 스러스트부재(61)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용된 브레이크 재료의 환형패드(60)로 구성되며, 환형패드(60) 및 스러스트부재(61)는 제1도시와 같이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다른 허브부(66)에 삽입된다.
물결형 스프링 수단(67)은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에서 충분히 개시된 감쇄 목적용 벨트 인장기(20)의 지지수단(21)에 대해서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회전운동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표면(65)에 대해서 마찰패드(60)의 환형 편평면(69)을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끝 캡(34)의 환형 편평면(68) 및 스러스트부재(61)의 한쪽(63)과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596,538호에서 충분히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끝 캡(34)은 주조 알루미늄재료로 형성되어, 스러스트플레이트(61)의 가이드 돌출부(62)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라이닝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분리 베어링라이너 부재가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끝 캡(34)에 중합체 재료로 전체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분리 베어링 라이닝 수단은 끝 캡(34)의 재료가 개구수단(64)용 베어링 수단을 제공하여 스러스트부재(61)의 가이드 돌출부(62)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허브(66)의 외부끝은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허브부(66)에 환형표면 수단(72)과 직면하는 환형 표면수단(71)을 한정하는 끝 캡(34)의 개구부(70)에 수용된다.
이러한 배열은 표면(71,72)사이에서 잠금을 제거함으로써 부식 저항을 증가시킨다.
끝 캡(34)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때, 벨트 맞물림 수단(36)에 부식을 일으켜 역 잠금 상태로 되어 버린다.
또한, 본발명의 개시에 따르면, 중합체 재료의 끝 캡(34)을 형성함으로써, 끝 캡(34)은 잠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맞물림 허브구역(66)에서 추가적인 허용오차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벨트 인장기(20)가 볼트수단(23)에 의하여 지지브라켓(22)의 장착표면(27)에 장착될 때, 하우징 수단(21)은 지지브라켓(22)에 대해서 불트수단(23)에서 회전방지 될뿐 아니라 하우징 수단(21)은 지지브라켓(22)에 대해서 초기에 적절히 향해야 하며, 풀리(39)는 벨트(43)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 있게되어, 벨트(43)는 특별한 지지브라켓(22)을 사용하는 엔진용으로 특별한 통로에서 이동하도록 요구 되어진다.
이러한 특징은 장착 볼트수단(23)용으로 볼트 개구부(26)에 대해서 오프셋된 특별한 래디얼로 지지브라켓(22)의 장착표면(27)에 형성된 개구수단(74)내에 수용된 연장부(73)를 가진 하우징 수단(21)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별한 벨트 인장기의 비교적 큰 생산량을 위한 연장부(73)는 이러한 개구부 수단(74)에 수용되기 위한 케이싱(44)과 일체적인주조연장부로 통상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인장부의 소량 모델을 제공할 때, 이 연장부(73)는 나사식 생크부(75)및 확대헤드(76)을 가진 핀 수단으로 구성되는 한편, 각각의 케이싱(44)은 적절한 위치에서 밀폐끝(46)에 형성된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을 가져서, 핀 수단(73)은 제1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나사식 개구부(77)에서 나사식 생크부(75)를 가지고, 확대헤드(76)는 지지브라켓에 대해서 인장기(20)가 향하도록 하고 지지브라켓(22)에 대해서 하우징 수단(21)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브라켓(22)의 개구부(74)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기가 다른 지지브라켓(22)보다 다른 위치로 향하도록 요구되는 다른 내연기관용의 다른 지지브라켓(22)으로 제공될 때, 복수의 다른 지지브라켓(22)용 각 연장부(73)용의 래디얼 위치는 케이싱(44)의 끝표면(46)상에 남을 수 있고,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는 제1도의 특별한 지지브라켓(22)용으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수단(73)을 포함하는 나사식 개구부(77)외에 참조번호 77A,77B및 77C로 나타난 위치에서 형성되거나 드릴링된다.
이 방식으로, 인장기(20)는 특별한 지지브라켓용으로 요구되는 특별한 개구부(77,77A,77B 또는 77C)에서 핀 수단(73)을 단순히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여러 지지브라켓(22)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하나의 인장기(20)는 복수의 여러 내연기관 장치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시에 따르면, 어떤 지지브라켓(22)에 있는 어떤 개구부(74)가 다른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제3도의 핀 수단(73A)과 같은 여러 핀 수단은 지지브라켓(22)에서 이러한 큰 크기의 개구부 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한편 나사식 생크부(75A)는 전술한 지지 핀 수단(73)과 동일한 직경이다.
대안적으로, 개구부(79)를 가진 관형부재(78)는 헤드크기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핀 수단(73)의 확대헤드(76)에 대해 압축 정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어서, 확대헤드(76A)를 가진 각각의 핀 수단(73A)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4도의 키트(80)는 키트(80)의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지시기(81)와 함께 어댑터(78)및/또는 지지 핀수단(73,73A)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인장기(20)를 포함할 수 있는 시장 판매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자동차가 어떤 제품이고 모델이라면, 어댑터(78)와 함께 지시핀(73,73A)은 인장기(20)의 개구부(77,77A,77B또는 77C)중의 특별한 하나에 나사식으로 되고, 인장기(20)는 볼트수단(23)에 의하여 엔진의 지지브라켓(22)에 장착되어, 인장기(20)는 이 특별한 자동차용의 지지브라켓(22)에 대해서 적절히 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트(80)는 사용자의 특별한 자동차 종류에 따라서 복수의 장착 브라켓의 어느 하나에 인장기(20)를 장착하도록 사용됨에 따라서 인장기(20)의 각 개구부(77,77A,77B 또는 77C)는 축수단(25)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교정 각도로 위치하고, 각 개구부(77,77A,77B 또는 77C)는 도출되게 인장기(20)상에 적절히 표시된다.
나사식 핀 수단(73 또는 73A)은 지시기(81)에 따라서 나사식으로 삽입된다.
게다가, 스페이서 플레이트(도시않음)은 장착표면에 더 큰 풀리 중심선을 위하여 교정되고록 키트(80)에서 포함된다.
이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인장기(20)는 적절한 핀 수단 및 이 핀 수단용의 적절한 개구부를 단순히 선택함으로써 여러 엔진 장치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지시기(81)는 특정 차량용으로 선택함에 있어서 키트(80)의 사용자를 안내할 것이다.
물론, 이 키트(80)는 기능공 또는 차량을 수리하는 사람들에게 사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새로운 벨트 인장기 및 이를 만드는 방법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인장기를 포함하는 새로운 키트 및 이 키트를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그 기술적 우월성은 특허청구의 범위 및 첨부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을 이하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벨트 인장기가 특별한 지지구조체에 장착된 상태를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선2-2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및 제2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벨트 인장기의 여러가지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키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Claims (25)

  1. 장착표면 수단(27)을 가진 지지수단(22)과, 단일 볼트수단(23)과, 상기 하우징 수단(21)및 상기 지지수단(22)에 의하여 수용된 상기 단일 볼트수단(23)에 의하여 상기 장착표면 수단(27)과 맞닿음과 상기 지지 수단수단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21)을 가진 벨트 인장기(20) 상기 볼트수단(23)과 오프셋된 상기 장착표면 수단(27)을 막는 개구부 수단(74)을 가진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볼트수단(23)에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또한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상기 인장기(20)를 향하도록 상기 지지수단(22)의 상기 개구부 수단(74)에 수용되고, 제거가능한 핀 수단(73,73A)을 가진 상기 하우징 수단(21)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은 지지수단(22)의 개구부 수단(74)에 수용되기 위하여 부착된 제거가능한 핀 수단(73,73A)을 가지는 복수의 장착장치(77,77A,77B,77C)를 가지며, 상기 제거가능한 핀 수단은 상기 장착장치중의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장치(77,77A,77B,77C)의 각각은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 수단(73,73A)은 각각의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77A,77 B,77C)에 나사식으로 설치된 외부적 나사식 생크부(75,75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상기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77A,77B,77C) 각각은 상기 핀 수단(73,73A)의 외부적 나사식 생크부(75,75A)를 나사식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 하우징 수단(21)및 지지수단(22)에 의하여 수용된 단일 볼트수단(23)에 의하여 장착표면 수단(27)과 맞닿음한 지지수단(22)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2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수단은 상기 볼트수단(23)에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수단(22)에 대해서 상기 인장기(20)를 향하도록 상기 볼트수단(23)에 대해 오프셋된 상기 장착표면 수단(27)을 막는 개구부 수단(74)에 수용되며, 제거가능한 핀 수단(73,73A)을 가지는 벨트인장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은 지지수단(22)의 개구부 수단(74)에 수용되도록 부착된 제거가능한 핀 수단(73,73A)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장착 장치(77,77A,77B,77C)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인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장치(77,77A,77B,77C)각각은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인장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77A,77B,77C)는 상기 핀 수단(73,73A)의 외부적 나사식 생크부(75,75A)을 나사식으로 수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인장기.
  8. 하우징 수단(21)및 지지수단(22)에 의하여 수용된 단일 볼트수단(23)에 의하여 장착표면 수단(27)과 맞닿음한 지지수단(22)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2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수단은 상기 볼트수단(23)에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수단(22)에 대해서 상기 인장기(20)를 향하도록 상기 볼트수단(23)에 대해 오프셋된 상기 장착표면 수단(27)을 막는 개구부 수단(74)에 수용되며, 제거가능한 핀 수단(73,73A)을 가지는 벨트 인장기를 포함하고 있는 키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은 상기 키트(80)에서의 핀 수단(73,73A), 및 지지수단(22)의 개구부 수단(74)에서 수용되도록 부착된 제거가능한 핀 수단(73,73A)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장착장치(77,77A,77B,77C)를 가지며, 상기 핀 수단은 특정 지지수단을 위한 핀 수단(73,73A)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장착장치(77,77A,77B,77C)의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 수단(73,73A)이 특징 지지수단(22)에 사용되는 어느 장착장치(77,77A,77B,77C)에 부착될 것인가를 지시하며, 상기 키트(80)에 위치한 지시기(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장치(77,77A,77B,77C) 각각은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핀 수단(73,73A)은 상기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77A,77B,77C)의 하나에 나사식으로 위치한 외부적 나사식 생크부(75,75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각각의 상기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77A,77B,77C)는 상기 핀 수단(73,73A)의 상기 외부적 나사식 생크부(75,75A)를 나사식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3. 제8항에 있어서, 다른 핀 수단(73,73A)은 상기 키트(80)에 있으며 상기 다른 핀 수단은 특정 지지수단(22)을 위한 핀 수단(73,73A)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장착장치(77,77A,77B,77C)의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에서의 지시기(81)는 어떤 핀 수단(73,73A)이 특정 지지수단(22)을 위한 장착장치(77,77A,77B,77C)에 부착되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장치(77,77A,77B,77C) 각각은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핀 수단(73,73A)은 상기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77A,77B,77C)의 어느 하나에 나사식으로 설치된 외부적 나사식 생크부(75,75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21)에서 상기 내부적 나사식 개구부(77,77A,77B,77C)는 상기 핀 수단(73,73A)의 어느 하나의 상기 외부적 나사식 생크부(75,75A)를 나사식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8. 장착표면 수단을 가진 지지수단과, 단일 볼트수단과, 상기 하우징 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수용된 상기 단일 볼트수단에 의하여 상기 장착표면 수단과 맞닿음한 상기 지지수단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을 가진 벨트 인장기와, 상기 볼트수단과 오프셋된 상기 장착표면 수단을 막는 개구부 수단을 가진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볼트수단에서 상기 하우징 수단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또한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상기 인장기를 향하도록 상기 지지수단의 상기 개구부 수단에 수용되고,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가진 상기 하우징 수단의 결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지지수단의 개구부 수단에 수용되도록 부착된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가진 복수의 장착장치를 가지기 위한 하우징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상기 장치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하우징 수단 및 지지수단에 의하여 수용된 단일 볼트수단에 의하여 장착표면 수단과 맞닿음한 지지수단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수단은 상기 볼트수단에서 상기 하우징 수단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상기 인장기를 향하도록 상기 볼트수단에 대해 오프셋된 상기 장착표면 수단을 막는 개구부 수단에 수용되며,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가지는 벨트인장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지수단의 개구부 수단에 수용되도록 부착된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장착 장치를 가지는 하우징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벨트 인장기.
  20. 하우징 수단 및 지지수단에 의하여 수용된 단일 볼트수단에 의하여 장착표면 수단과 맞닿음한 지지수단에 체결된 하우징 수단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수단은 상기 볼트수단에서 하우징 수단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상기 인장기를 향하도록 상기 볼트수다에 대해 오프셋된 상기 장착표면 수단을 막는 개구부 수단에 수용되며,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가지는 벨트 인장기를 포함하고 있는 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수단의 개구부 수단에 수용되도록 부착된 제거가능한 핀 수단을 가지는 복수의 장착 장치를 가지는 하우징 수단을 형성하는 단계, 및 특정 지지수단을 위한 특정 핀 수단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장착장치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핀 수단과 함께 상기 키트에서의 핀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1. 벨트에 대해서 고정되기 위한 지지수단(21)과, 상기 지지수단(21)에 의해 수용되고 또한 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벨트 맞물림 수단(36)과, 상기 벨트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힘으로써 상기 벨트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21)에 대해서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을 가압하기 위한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36) 및 상기 지지수단(21)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스프링 수단(52)과, 적어도 한 운동방향으로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의 운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36)및 상기 지지수단(21)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마찰 감쇄수단(59)으로 구성된 인장기로서, 상기 감쇄수단(59)는 길이 방향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수단(21)은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36)에 대해서 운동으로부터 고정되며 길이 방향축을 가지는 축수단(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은 상기 축수단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상기 축수단(25)에 의하여 회전식으로 수용되는 한 부분(66)을 가지며, 상기 감쇄수단(59)은 상기 레그 부품(65)에 대해서 상기 축수단(25)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동축으로 설치된 환형패드의 마찰 재료로 구성된 제1부품(60,61)과 함께 한쌍의 마찰식 맞물림한 제1 및 제2부품(60,61; 65)으로 구성되며, 제2스프링 수단(67)은 일정한 스프링 힘으로 상기 제2부품(65)에 대해서 상기 제1부품(60,61)을 가압하며, 상기 감쇄수단(59)의 상기 제1부품은 가이드 수단(62)을 가지며, 상기 지지수단(21)은 상기 제1부품의 축방향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62)을 수용하는 개구부 수단(64)을 가지는 끝 캡(34)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 수단(64)은 상기 가이드 수단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단을 가지는, 무한 통로에서 작동되는 동력전달 벨트(43)용 인장기에 있어서, 상기 끝 캡(34)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단(25)은 상기 끝 캡(34)에 체결된 끝 수단(4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 수단(67)은 상기 끝 캡(34)에 대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끝 캡(34)은 내부적 환형표면 수단(71)을 가지며,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상기 부분(66)은 상기 내부적 환형표면(71)에 인접한 외부적 환형표면 수단(72)을 가져서, 상기 끝 캡(34)의 중합체 재료는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이 상기 축수단(25)상에서 상기 끝 캡(34)에 대해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36)의 상기 외부적 환형표면(72)용의 베어링 수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기.
  25. 벨트에 대해서 고정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수용되고 또한 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벨트 맞물림 수단과, 상기 벨트를 인장시키기 위항여 힘으로써 상기 벨트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을 가압하기 위한 상기 벨트 맞물린 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스프링 수단과, 적어도 한 운동방항으로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의 운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마찰 감쇄수단으로 구성된 인장기로서, 상기 감쇄수단은 길이 방향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에 대해서 운동으로부터 고정되며 길이 방향축을 가지는 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 맞물림 수단은 상기 축수단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상기 축수단에 의하여 회전식으로 수용되는 한 부분을 가지며, 상기 감쇄수단은 상기 레그 부품에 대해서 상기 축수단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동축으로 설치된 환형패드의 마찰 재료로 구성된 제1부품과함께 한쌍의 마찰식 맞물림한 제1 및 제2부품으로 구성되며, 제2스프링 수단은 일정한 스프링 힘으로 상기 제2부품에 대해서 상기 제1부품을 가압하며, 상기 감쇄수단의 상기 제1부품은 가이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부품의 축방향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을 수용하는 개구부 수단을 가지는 끝 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 수단은 상기 가이드 수단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단을 가지는, 무한 통로에서 작동되는 동력 전달 벨트용 인장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끝 캡이 상기 베어링 수단을 포함하도록 상기 끝 캡이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10701829A 1989-06-12 1990-01-17 벨트 인장기 및 그 제조방법 KR0124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4284 1989-06-12
US364,284 1989-06-12
US07/364,284 US4902267A (en) 1989-06-12 1989-06-12 Belt tensioner, ki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PCT/US1990/000369 WO1990015941A1 (en) 1989-06-12 1990-01-17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761A KR920702761A (ko) 1992-10-06
KR0124467B1 true KR0124467B1 (ko) 1997-12-01

Family

ID=2343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829A KR0124467B1 (ko) 1989-06-12 1990-01-17 벨트 인장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02267A (ko)
EP (1) EP0477174B1 (ko)
JP (1) JP2987779B2 (ko)
KR (1) KR0124467B1 (ko)
AU (1) AU627555B2 (ko)
CA (1) CA2056611C (ko)
DE (1) DE69018988T2 (ko)
WO (1) WO1990015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222A (en) * 1989-07-07 1990-03-06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35679A (en) * 1990-04-24 1991-07-30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9006488U1 (ko) * 1990-06-08 1990-08-16 Skf Gmbh, 8720 Schweinfurt, De
US5370586A (en) * 1992-07-22 1994-12-06 Hasco Spring Industries, Inc. Tension regulating device for belt drives
DE102004046092A1 (de) * 2004-09-23 2006-03-30 Ina-Schaeffler Kg Spannvorrichtung mit mechanischer Dämpf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DE102006047095B4 (de) * 2006-10-05 2021-05-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CN101910679B (zh) * 2008-01-08 2014-04-23 克劳伊斯传动装置产品有限公司 用于链条导板或张紧臂的系留紧固件装置
CN102182802A (zh) * 2011-04-27 2011-09-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张紧器的安装结构
EP2831468B1 (en) 2012-03-29 2021-12-0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US9772009B2 (en) 2015-05-29 2017-09-26 Kit Masters Modular tensioner system
US11174921B2 (en) * 2016-09-13 2021-11-16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V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76A (en) * 1980-07-04 1982-01-27 Seiko Epson Corp Step motor disturbance detecting and controlling device for watch
US4596538A (en) * 1984-08-23 1986-06-24 Dayco Corporation Belt tensioner
US4661087A (en) * 1984-08-23 1987-04-28 Dayco Products, Inc. Method of making a belt tensioner having a biased annular pad of friction material for dampening purposes
US4728318A (en) * 1984-08-23 1988-03-01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6611C (en) 1999-11-23
KR920702761A (ko) 1992-10-06
EP0477174A1 (en) 1992-04-01
AU5080290A (en) 1991-01-08
AU627555B2 (en) 1992-08-27
WO1990015941A1 (en) 1990-12-27
JPH04505956A (ja) 1992-10-15
EP0477174B1 (en) 1995-04-26
JP2987779B2 (ja) 1999-12-06
DE69018988T2 (de) 1995-11-23
EP0477174A4 (en) 1992-06-10
DE69018988D1 (de) 1995-06-01
CA2056611A1 (en) 1990-12-13
US4902267A (en) 199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4467B1 (ko) 벨트 인장기 및 그 제조방법
USRE34616E (en) Belt tensioner with spring actuated band brake damping
CA1231259A (en) Belt tensioner
KR930005966B1 (ko) 타이밍 벨트의 신장력 가감장치
CA2263565C (en) Belt tensioner for motor vehicle
CA1304605C (en) Belt tensioner with releasable belt load damping
CA2171319C (en) Belt tensioner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4634407A (en) Self-tensioning belt tightener
US4525152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370586A (en) Tension regulating device for belt drives
CA2231057C (en) Belt tensioner
US6932731B2 (en) Tensioner
JP4732448B2 (ja) 改良された制動装置を備える車両ベルト駆動トーションバーテンショナ
JPS62500041A (ja) ベルト引張り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59125A (en) Eccentrically supported tensioner
JP3194954B2 (ja) ベルト伝動装置又はチェーン伝動装置用の摩擦緩衝式緊張機構
MXPA05011358A (es) Tensor de banda que tiene un tope de desplazamiento ajustable automaticamente.
JPH09189347A (ja) 減衰機構を備えたテンショナ
GB2230319A (en) Belt tensioner
EP0856684B1 (en) Belt tensioner
US4938734A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981461A (en) Belt tensioner, ki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4950207A (en) Belt tensioner, ki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2000433C (en) Compact automatic belt tensioner
US5017181A (en) Belt tensioner, ki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