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445Y1 -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445Y1
KR0124445Y1 KR2019950017266U KR19950017266U KR0124445Y1 KR 0124445 Y1 KR0124445 Y1 KR 0124445Y1 KR 2019950017266 U KR2019950017266 U KR 2019950017266U KR 19950017266 U KR19950017266 U KR 19950017266U KR 0124445 Y1 KR0124445 Y1 KR 0124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fixing
vehicle
main body
top sp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7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282U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김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철 filed Critical 김기철
Priority to KR2019950017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445Y1/ko
Publication of KR970006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스크류 풀림에 의한 고정브라켓트의 유동 및 탑 스포일러의 이탈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유동에 의한 마찰로 발생되는 페인팅의 벗겨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특장차량의 상면에 설치되고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유적선(流跡線)을 그려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함체로 형성된 차량용 탑 스포일러에 있어서, 상부 일측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금속편의 경사면과 수직면상에 일정길이를 갖는 봉체의 외주일부를 따라 나선이 형성된 스텃 보울트(Stud Bolt)A,B(30)(31)가 일체로 부착되어 도어측 빗물받이 설치로 인해 창 주위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101) 상면까지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양측부를 연장한 연장부의 고정구멍A,B(13)(14)에 끼워지는 제1고정브라켓트(3)와,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A,B(30)(31) 외측에 끼워져 본체(1)의 외측면에 맞대어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금속편의 경사면과 수직면 상에 체결공A,B(41)(42)를 형성하고 하단부측은 내측으로 수직절곡시킴과 동시에 러버(430)를 감싸는 식으로 부착시킨 걸림고정부(43)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01)에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한 제2고정브라켓트(4)와, 상기 제2고정브라켓트(4)의 체결공A,B(41)(42)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 A,B(30)(31)에 순차적으로 나선결합되고 사용자의 체결에 의한 조임력으로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와 제2고정브라켓트(4)가 본체(1)의 연장부 양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 와셔너트(5) 및 캡너트(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탑 스포일러를 차량의 상면에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데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설치상태를 보인 차량의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지를 보인 결합구성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제1고정브라켓트
4 : 제2고정브라켓트 5 : 와셔너트
6 : 캡너트 13,14 : 고정구멍A,B
30,31 : 스텃 보울트A,B 41,42 : 체결공A,B
43 : 걸림고정부 101 : 돌출부
본 고안은 컨테이너식으로 된 화물칸에 각종 화물을 넣어 운송할 수 있도록 한 특장차량의 상면에 설치되어 주행시 발생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탑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차량용 탑 스포일러를 차량의 상면에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컨테이너식의 화물칸이 탑재된 특장차량은 화물칸의 높이가 차량의 차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주행시 그 부분에 공기가 집중적으로 부딪치는 공기의 저항에 의해서 차량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반력(反力)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반력에 의해서 차량의 주행속도가 떨어짐은 물론 연료의 소비가 가중됨으로써 주행 및 연료소비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차량의 상면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유적선(流跡線)을 그려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함체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탑 스포일러(top spoiler)(A)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차량용 탑 스포일러(A)는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서 차량의 상면에 고정 및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본체(1) 양측면 전.후측에 상기 본체(1)와 차체(100)를 스크류(10) 체결에 의해서 상호 연결 및 고정시켜 주는 고정브라켓트(2)이 구비된다. 이 고정브라켓트(2)는 일정폭과 길이를 가지는 금속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편의 상부측 수직면 상에는 장공(21)이, 상기 금속편의 하부측은 외측으로 돌출되게 ㄷ자형으로 절곡시켜 물체의 돌출부 외측에 끼워져 물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교지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교지부(22)의 상면에는 다시 너트(221)가 끼워진 나비형 보울트(222)가 중앙을 관통한 채 나선결합되고 상기 상면과 소정간격을 갖는 하부측면상에는 물체와의 접촉시 긁힘 등의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물체와의 밀착에 의한 마찰력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두께를 갖는 러버(223)를 하부측 면의 단부 외측을 감싸는 식으로 부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본체(1)에는 외력에 의한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의 보강파이프(11)가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 보강파이프(1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강파이프(11)의 양단부측에 고정너트(110)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양측면 전.후측에는 상기 보강파이프(11)의 고정너트(110) 부분이 맞대어 지는 고정구멍(12)이 형성되어 스크류(10) 체결에 의해서 상기 보강파이프(11)를 본체(1)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상기의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는 먼저,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양측면 전.후측에 형성된 고정구멍(12)에 보강파이프(11)의 고정너트(110) 부분을 맞대고, 다시 고정 브라켓트(2)의 수직면상에 형성된 장공(21)이 일치되게 외측에서 맞대어 스크류(10)의 체결에 의해서 헐겁게 고정시킨다. 이렇게 상기 본체(1)의 양측면 4개소에 고정브라켓트(2)가 헐겁게 고정된 후에는 상기 본체(1)를 차체(100)의 상면에 올려 놓고 위치를 맞추게 되고, 위치가 어느 정도가 맞게 되면 상기 본체(1)의 양측면 4개소에 헐겁게 고정된 고정브라켓트(2)의 하부측 교지부(22)를 차량의 도어측 빗물받이의 설치를 위해 창문의 주연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01)에 끼워 나비형 보울트(222)로 조인 다음 고정브라켓트(2)의 상부측 스크류(10)를 또다시 조이게 됨으로서 일련의 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브라켓트(2)의 길이가 길어 비록 스크류(10)로 체결되었다 하더라도 주행시 공기의 저항력에 의해서 다소의 유동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동 및 진동은 소음을 유발시키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진동하중이나 변동하중이 고정브라켓트(2)의 상부측 수직면상의 장공(21)을 통해 본체(1) 내부의 보강파이프(11) 양단부측에 일체 형성된 고정너트(110)에 체결된 스크류(10)측에 작용하게 되면 마찰에 의한 나사면의 자립만으로는 상기 고정너트(110)의 고정이 불완전하고 주행시 본체(1)에 가해지는 공기의 저항력이 스크류(10)의 고정력보다 크게 되는 어느순간에 상기 고정너트(110)로부터 스크류(10)가 쉽게 풀어질 수 있어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이탈로 인한 안전운행의 불안정성을 초래케 되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 탑 스포일러의 본체(1)는 차체(100)의 상면에 얹혀지는 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1)와 차체(100)의 경계선상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서 차량의 주행시 차체와 맞부딪치는 공기가 빠른 속도로 스며들어가 큰 힘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공기의 저항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공기저항력에 의한 고정브라켓트(2)의 유동은 차체(100)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로 인해 차체(100)의 페인팅 부분을 벗겨내게 되고, 이 벗겨진 부분에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침투하게 됨으로써 부식을 유발시키게 됨은 물론 긁힘에 의한 흠집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미관불량을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탑 스포일러를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고정시킴은 물론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는 상기 탑 스포일러의 본체를 차체의 상면에 얹혀지는 식으로 고정하지 않고 차체의 상면에 씌워지는 식으로 고정시키되 이중 스크류 체결방식에 의해 고정시켜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틈새를 통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설치상태를 보인 차량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를 보인 결합구성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구성 단면도이다. 이 차량용 탑 스포일러는 통상에서와 같이 특정차량의 상면에 설치되고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유적선(流跡線)을 그려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함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차량용 탑 스포일러에 있어, 본 고안은 일정폭과 두께를 갖는 금속편의 상부측을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면과 바로 아래의 수직면 상에 일정길이의 봉체 외주연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스텃 보울트(Stud Bolt) A,B(30)(31)가 일체로 부착된 제1고정브라켓트(3)가 구비된다. 이와함께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양측면의 길이를 빗물받이 설치를 위해 도어측 창 주위를 따라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01)의 상면까지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의 경사면과 수직면 상에 일체로 부착된 스텃 보울트A,B(30)(31)가 상기 본체(1)의 내측에서 끼워져 외측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고정구멍A,B(13)(14)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고정구멍A,B(13)(14)은 상기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양측면 전,후측 4개소에 한 조를 이루어 각각 형성되고, 이 고정구멍 A,B(13)(14)에 4개의 제1고정브라켓트(3)가 하나씩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A,B(30)(31)가 끼워진 본체(1)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제2고정브라켓트(4)가 맞대어지는 식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제2고정브라켓트(4)는 일정폭을 갖는 금속편의 상부 일측을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과 바로아래의 수직면 상에 체결공A,B(41)(42)가 형성되어 본체(1)의 고정구멍A,B(13)(14)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재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A,B(30)(3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하단부는 내측으로 수직절곡시켜 도어측의 돌출부(101) 하면에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고정부(43)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고정부(43)에는 밀착에 의한 마찰력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두께의 러버(430)가 걸림고정부(43)의 단부측을 감싸는 식으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고정구멍A,B(13)(14)와 재2고정브라켓트(4)의 체결공A,B(41)(42)를 통과한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 A,B(30)(31)에는 상기 재1고정브라켓트(3)와 제2고정브라켓트(4)를 나선결합에 의한 조임력으로 본체(1)의 연장부 양측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와셔너트(5) 및 캡너트(6)가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갈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양측면 전.후측 4개소에 한 조를 이루어 각각 형성된 고정구멍A,B(13)(14)에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A,B(30)(31)를 본체(1)의 내측에서 끼운다. 그 다음 상기 본체(1)의 외측면에 다시 제2고정브라켓트(4)를 맞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1)의 고정구멍A,B(13)(14)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스텃 보울트A,B(30)(31)의 외측에 상기 제2고정브라켓트(4)의 체결공A,B(41)(42)가 끼워져 통과될 수 있도록 맞댄 후에 다시 상기 스텃 보울트 A,B(30)(31)에 와셔너트(5) 및 캡너트(6)를 제2고정브라켓트(4)가 유동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체결하게 한다.
이렇게 상기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양측면 4개소에 상기 제1고정브라젯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4), 그리고 와셔너트(5) 및 캡너트(6) 모두를 체결시킨 후에는 탑 스포일러의 본체(1)를 차량의 상면에 올려 놓고 위치를 맞추고, 상기 본체(1)의 양측면에 체결된 제2고정브라켓트(4)의 걸림고정부(43)를 도어측의 돌출부(101)에 각각 끼워 걸림고정시킨 다음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 A,B(30)(31)에 헐겁게 끼워진 와셔너트(5) 및 캡너트(6)를 더욱 조여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 및 제2고정브라켓트(4)가 완전 밀착고정되게 체결시키게 됨으로써 탑 스포일러의 본체(1)를 차량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A,B(30)(31)에 와셔너트(5) 및 캡너트(5)를 2중으로 체결한 것은, 보울트와 너트의 나사산 사이에는 다소의 틈새가 있으므로 너트 한 개로 조이게 되면 자연적으로 풀릴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너트를 사용하여 충분히 조인 다음에 밑에 있는 너트, 즉 와셔너 트(5)를 조금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와셔너트(5) 및 캡너트(6)를 서로 반력(反力)으로 누르게 하여 나사면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1)를 보다 견고하게 차량에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길이가 짧은 고정브라켓트를 2개의 너트를 이용하여 2중으로 체결시키도록 함으로서 탑 스포일러를 차량의 상면에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동 및 진동에 의한 소음은 물론 탑 스포일러의 분리 이탈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의 길이가 도어측의 돌출부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상면과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상기 틈새로 인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고정브라켓트의 유동에 의한 페인팅의 벗겨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부식방지와 함께 흠집에 의한 미관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

  1. 특정차량의 상면에 설치되고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유적선(流跡線)을 그려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함체로 형성된 차량용 탑 스포일러에 있어서, 상부 일측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금속편의 경사면과 수직면상에 일정길이를 갖는 봉체의 외주연부를 따라 나선이 형성된 스텃 보울트(Stud Bolt)A,B(30)(31)가 일체로 부착되어 도어측 빗물받이 설치로 인해 창 주위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101) 상면까지 탑 스포일러 본체(1)의 양측부를 연장한 연장부의 고정구멍A,B(13)(14)에 끼워지는 제1고정브라켓트(3)와;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A,B(30)(31) 외측에 끼워져 본체(1)의 외측면에 맞대어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금속편의 경사면과 수직면 상에 체결공A,B(41)(42)를 형성하고 하단부측은 내측으로 수직절곡시킴과 동시에 러버(430)를 감싸는 식으로 부착시킨 걸림고정부(43)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01)에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한 제2고정브라켓트(4)와; 상기 제2고정브라켓트(4)의 체결공A,B(41)(42)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브라켓트(3)의 스텃 보울트A,B(30)(31)에 순차적으로 나선결합되고 사용자의 체결에 의한 조임력으로 상기 제1고정브라켓트(3)와 제2고정브라켓트(4)가 본체(1)의 연장부 양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 와셔너트(5) 및 캡너트(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KR2019950017266U 1995-07-13 1995-07-13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KR0124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266U KR0124445Y1 (ko) 1995-07-13 1995-07-13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266U KR0124445Y1 (ko) 1995-07-13 1995-07-13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282U KR970006282U (ko) 1997-02-21
KR0124445Y1 true KR0124445Y1 (ko) 1999-03-30

Family

ID=1941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7266U KR0124445Y1 (ko) 1995-07-13 1995-07-13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4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27B1 (ko) * 2014-05-26 2014-10-01 한득범 화물차량용 에어 스포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27B1 (ko) * 2014-05-26 2014-10-01 한득범 화물차량용 에어 스포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282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9490A (en) Removable tie-down device
US4416572A (en) Collapsible fastener with plastic sleeve
US4850633A (en) Non-invasive fastener for a truck bed liner
US4268052A (en) Mud flap assembly
KR0124445Y1 (ko)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US2997727A (en) Windshield wiper arm
SE510264C2 (sv) Fästanordning för fastsättning av ett föremål, såsom en lasthållare, på en lastbärarstång
KR0128117Y1 (ko) 후면경이 장착된 스테이 유동 방지장치
JPH0132596Y2 (ko)
KR0120644Y1 (ko)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고정장치
KR200146817Y1 (ko) 후면경이 장착된 스테이 유동방지장치
KR19980027981A (ko) 테일 게이트용 가스 리프트의 마운팅구조
JPS62187668A (ja) マツドガ−ド取付方法
KR970045791A (ko) 자동차의 루프안테나 체결용 너트
WO1995015880A1 (en)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a spare wheel in a vehicle and a spare wheel stowage compartment between a vehicle load floor and a vehicle body
US3264928A (en) Fastening device
KR200143413Y1 (ko) 승합차의 가스연료탱크 취부구조
JPS6128890Y2 (ko)
KR0132502Y1 (ko) 잭(Jack) 고정용 스크류
CN206475942U (zh) 一种车身的支架结构
JP2580745Y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の取付構造
KR0124373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취부구조
KR200145856Y1 (ko) 자동차 로우프 후크의 구조
KR19980046767U (ko) 트럭의 적재함 게이트 체결 구조
JPH0637028Y2 (ja) サイドエアスポイラ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701

Effective date: 2004062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