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211Y1 - 핀형시편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핀형시편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211Y1
KR0124211Y1 KR2019940033978U KR19940033978U KR0124211Y1 KR 0124211 Y1 KR0124211 Y1 KR 0124211Y1 KR 2019940033978 U KR2019940033978 U KR 2019940033978U KR 19940033978 U KR19940033978 U KR 19940033978U KR 0124211 Y1 KR0124211 Y1 KR 0124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collet
insertion hole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249U (ko
Inventor
유재수
박영선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40033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211Y1/ko
Publication of KR9600242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2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23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using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은 크기의 핀형 시편(E)을 작업자가 직접 잡고 그라인더에 절단면을 연삭하게 되면 작업자의손에서 오염 물질이 시편에 옮기 묻어 검사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시편(E)이 작기 때문에 정확하고 안정적인 연삭이 어렵게 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핀형 시편 고징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고정지그는 복수의 삽입공(1)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들이 형성된 반대측으로 부터는 테이퍼공(2)들이 각 삽입공(1)애 대응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테이퍼공(2)에 삽입되고 시편삽입공(7)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콜렛(4)들과, 상기 삽입공(1)이 각각 삽입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콜렛(4)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봉(5)들과, 상기 지지봉(5) 및 삽입공(1)의 바닥면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콜렛(4)이 테이퍼공(2)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는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핀형 시핀 고정지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핀형 시편 고정지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삽입공 2 : 테이퍼공
3 : 본체 4 :콜렛
5 : 지지봉 6 : 스프링
7 : 시편삽입공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핀형 시편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은 핀형의 금속 시편을 분석을 위해 연삭처리할 때 그 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여 연삭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핀형 시편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금속공업에 있어서 금속시료의 정확한 성분분석은 요구되는 품질의 제품생산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이러한 금속시료의 분석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분석이 있으며, 특히 금속내 합금원소나 불순물로 존재하는 질소와 산소는 금속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분석작업이 자주 행하여지고 있다.
상기한 분석작업은 분석대상 금속을 일정한 크기의 시편으로 제작한 후 이를 소정의 처리과정을 거쳐 검사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때 사용되는 시편은 통상 지름 4mm, 길이 7mm의 핀형으로 선반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지름으로 제작되지만 길이는 보다 길게 하여 제작한 후 이를 바이트를 사용하여 규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바이트로 상기한 시편을 절단하게 되면 그 절단면이 절단응력을 받아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정확한 분석작업을 위해 필요한 편평한 절단면이 얻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바이트에 의한 시편의 절단작업후 그 시편의 바이트에 의한 절단면을 그라인더로 편평하게 연삭처리하여 시편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시편의 연삭작업시 작업자가 시편을 직접 파지한 상태에서 그 시편의 바이트에 의한 절단면을 그라인더에 대고 연삭작업을 행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연삭되는 시편의 열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가 연삭중의 시편에 가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시편을 작업자가 직접 잡고 그라인더에 절단면을 연삭하게 되면 작업자의 손에서 오염 물질이 시편에 옮겨 묻어 검사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시편이 작기 때문에 정확하고 안정적인 연삭작업이 어렵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편의 연삭을 하나씩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편이 각각 상이하게 연마되어 편차가 발생됨과 아울러 이로 인하여 여러개의 시편으로 검사할 때 검사결과가 부정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시편을 한번에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여 시편의 연삭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 시편에 작업자의 손이 직접 닿지 않는 상태로 연삭작업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어 검사결과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핀형 시편 고정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 측면으로부터 복수의 삽입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 공들이 형성된 반대측면으로부터 는 테이퍼공이 상기 삽입공에 각각 연통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각각 시편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본체의 테이퍼공에 삽입되는 콜렛들과, 상기 삽입공에 각각 삽입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콜렛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봉들과, 상기 삽입공의 바닥면과 지지봉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시편 고정지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핀형 시편 고정지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로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지그는 일측면으로부터 복수의 삽입공(1)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면으로부터 는 상기 삽입공(1)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연통되는 테이퍼공(2)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테이퍼공(2)에 각각 삽입되고 그 하단면 으로부터 시편(E)이 삽입지지될 수 있는 시편삽입공(7)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콜렛(4)들과, 상기 본체(3)의 각 삽입공(1)에 그 삽입공(1)을 따른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콜렛(4)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봉(5)들과, 상기 각 지지봉(5)과 삽입공(1)의 바닥면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콜렛(4) 및 지지봉(5)을 상향탄발시키는 스프링(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콜렛(4)은 시편(E)이 삽입되는 시편삽입공(7)을 형성하고 있는 벽부가 서로를 향해 오무러 들거나 혹은 원위치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벽부들로 분할형성되어 있고, 이 콜렛(4) 벽부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3)의 테이퍼공(2) 내주면과 부합하는 테이퍼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제2도와 같은 조립상태에서 지지봉(5)을 아래로 누르면 이 지지봉(5)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콜렛(4)이 상기 지지봉(5)과 함께 아래로 하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콜렛(4)이 본체(3)의 테이퍼공(2)으로부터 아래로 빠져 나오면서 그 시편삽입 공(7) 주위의 벽부들이 자체탄력으로 약간 벌어져 시편(E)을 시편삽입공(7)내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삭대상 시편(E)을 상기 콜렛(4)의 시편삽입공(7)내에 삽입시킨 다음 눌렀던 지지봉(5)를 놓으면 이 지지봉(5)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콜렛(4)이 스프링(6)의 힘에 의해 위로 원위치 이동되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콜렛(4)이 본체(3)의 테이퍼공(4)내로 다시 삽입되어 들어가면서 시편(E)주위의 벽부들이 상기 시편(E)을 향해 오무러 들어 시편(E)을 안정적으로 고정지지 해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지그 본체(3)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콜렛(4)들에 모두 시편(E)을 각각 삽입지지시킨 다음 상기 시편(E)들의 콜렛(4)외측으로 나와있는 면을 그라인더에 대고 연삭하고, 연삭이 완료된 시편들은 상기 지지봉(5)을 아래로 눌러 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콜렛(4)으로부터 다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고안의 효과]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작은 크기의 핀형 시편(E)을 한번에 복수개씩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여 연삭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편의 연삭을 매우 정밀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이루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편연삭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 연삭도중 작업자가 시편(E)을 직접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시편의 오염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것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일측면으로부터 복수의 삽입공(1)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면으로부터는 상기 삽입공(1)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연통되는 테이퍼공(2)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테이퍼공(2)에 각각 삽입되고 연삭대상 시편(E)이 삽입지지될 수 있는 시편삽입공(7)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콜렛(4)들과, 상기 본체(3)의 각 삽입공(1)에 그 삽입공(1)을 따른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콜렛(4)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봉(5)들과, 상기 각 지지봉(5)과 삽입공(1)의 바닥면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콜렛(4) 및 지지봉(5)을 상기 콜렛(4)이 테이퍼공(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스프링(6)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 시편 고정지그.
KR2019940033978U 1994-12-14 1994-12-14 핀형시편 고정지그 KR0124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978U KR0124211Y1 (ko) 1994-12-14 1994-12-14 핀형시편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978U KR0124211Y1 (ko) 1994-12-14 1994-12-14 핀형시편 고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249U KR960024249U (ko) 1996-07-22
KR0124211Y1 true KR0124211Y1 (ko) 1999-03-30

Family

ID=1940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978U KR0124211Y1 (ko) 1994-12-14 1994-12-14 핀형시편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2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967B1 (ko) * 2010-04-29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연마용 홀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41Y1 (ko) * 2009-04-20 2012-05-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고정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967B1 (ko) * 2010-04-29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연마용 홀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249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4202838B3 (de) Transportvorrichtung, Probenverteilungssystem und Laborautomatierungssystem
EP044565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alten und Transportieren von plattenförmigen Substraten
DE19638117A1 (de) Oberflächentemperatursondenkop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orrichtungen unter Verwendung eines derartigen Sondenkopfs
US6969993B2 (en) NMR spectrometer with gripping device for handling a sample bushing with outer groove
KR0124211Y1 (ko) 핀형시편 고정지그
CN105527155B (zh) 一种适用于圆棒疲劳试样的高/低温疲劳试验夹具
KR20030073990A (ko) 분리형 시편지그를 이용한 고주기 피로시험 장치
KR100840732B1 (ko) 시편 제조 장치 및 방법
DE102006048447B4 (de) Spannvorrichtung mit stationärer Spannzange
KR101796842B1 (ko) 구면 측정장치
KR101723442B1 (ko) 소재의 피로 수명 시험 장치
KR200460541Y1 (ko) 시편 고정용 지그
CN210513890U (zh) 一种端淬试样定位装置
CN212207075U (zh) 直读光谱仪分析用丝状样品夹具
JPH04125306A (ja) 支持装置
CN110146324B (zh) 焊丝化学元素分析用铁屑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SU14145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иксировани процесса резани
CN110376050B (zh) 一种端淬试样定位装置
CN214310130U (zh) 一种用于金属小试样的光谱仪夹具
EP2784476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Lagerung von Probenkörpern
CN213364441U (zh) 染色拉力测试设备
CZ27529U1 (cs) Čelist pro upínání miniaturních kulatých vzorků ve zkušebních strojích pro testování únavové životnosti
JPS60238741A (ja) せん断試験装置
SU12279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прот женных образцов на раст жение
SU1796960A1 (en) Standard for determination of fracture visco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