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890B1 - 연속용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용지 절단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890B1
KR0123890B1 KR1019890020126A KR890020126A KR0123890B1 KR 0123890 B1 KR0123890 B1 KR 0123890B1 KR 1019890020126 A KR1019890020126 A KR 1019890020126A KR 890020126 A KR890020126 A KR 890020126A KR 0123890 B1 KR0123890 B1 KR 012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paper
pair
paper
rollers
in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226A (ko
Inventor
후미히꼬 나까무라
료오헤이 히가시
Original Assignee
기나미 기요시
돗빵 무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3353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44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353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44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5371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522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326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0549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827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9888B2/ja
Application filed by 기나미 기요시, 돗빵 무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나미 기요시
Publication of KR90000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1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devices for breaking partially-cut or perforated webs, e.g. bur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5Work-parting pullers [bur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525Operation controlled by detector means responsive to work
    • Y10T83/533With photo-electric work-sensing means

Abstract

요약서 없음

Description

연속용지 절단장치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연속용지 처리장치 전체의 개략도,
제2도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를, 이들 각 로울러를 상하의 접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가 내설된 재치대의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를 도시한 재치대의 단면도,
제6도는 연속용지의 평면도,
제7도는 용지사이즈의 측정과 표준사이즈로의 수정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아트,
제8도는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를 상하의 접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에 대한 CPU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아트,
제9도는 용지두께에 다른 제어신호의 출력상태를 도시한 타임 차아트,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0도는 연속용지 처리장치 전체의 개략도,
제11도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를 가진 인피이드부와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를, 이들 각 로울러를 상하의 접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
제12도는 인피이드부를 도시한 사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속용지,1a : 단위용지,
3 : 재치대(載置臺),7, 8 : 광투과판,
15, 15a : 슬릿검출장치,22 : 트랙터엔코우더,
23 : 검출기,25a, 25b : 용지두께검출기,
26, 26b, 56a, 56b : 인피이드로울러,27a, 27b : 고속로울러,
28 : 블레이드,29 : 용지선단검출기,
38 : 용지스택량검출기,51 : 인피이드로울러엔코우더
본 발명은 회전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이들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를 가지며, 이들 로울러에 의한 연속용지의 이송속도차에 의하여 상기 연속용지를 찢듯이 절단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이러한 종류의 연속용지 절단장치를 대별하면, 첫째로 상하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가 상시 연속용지를 끼워지지하고 있는 장치와, 둘째로 연속용지의 절단시에만 상하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가 연속용지를 끼워지지하는 장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의 장치의 변화형으로서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는 상시 연속용지를 끼워지지하고,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만이 절단시에 연속용지를 끼워지지하는 타입의 장치도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상기 제2의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실시태양에 의해서는 그 변화형의 개량에도 관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제2의 장치에 있어서는 트랙터장치등의 연속용지를 이송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한편,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의 이송방향의 간격은 불변이다. 그리고, 연속용지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를 각각 접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이밍은,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와 트랙터장치등의 이송장치에 의한 연속용지의 이송량이 일치하였을 때에 설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제2의 장치에서는, 이송장치에 의한 연속용지의 이송량에 맞추어 각 인피이드로울러와 각 고속로울러의 절단 동작을 정확히 제어할 필요가 있었고, 또 절단동작의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하여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를 미리 정확히 제어할 필요가 있었고, 또 절단동작의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하여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지를 미리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었으나, 이 절단사이즈의 측정과 그것에 의거한 각 인피이드로울러와 각 고속로울러의 절단동작의 제어를 정확히 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연속용지의 종이두께가 다르면, 상기의 각 로울러의 절단동작의 제어를 정확히 하여도, 종이두께에 따라 상기 각 로울러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거나 하므로, 연속용지를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의 측정에 있어서, 연속용지의 측정장치에 대한 세트위치가 어긋나면,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하고, 이러한 부정확한 측정에 의거하여 절단장치를 결정한 경우에는, 각 로울러의 절단동작의 제어를 정확히 하여도, 연속용지를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2의 장치에 있어서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첫째 목적은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하여,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1쌍의 고속로울러의 절단동작을 제어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연속용지의 종이두께에 따라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1쌍의 고속로울러의 각각의 절단시에 있어서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의 측정에 오차가 생겨도, 이 오차를 수정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연속용지를 절단할 수 있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의 측정에 있어서, 연속용지가 소정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만 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정확한 절단동작을 할 수 있는 소형의 연속용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용지 절단장치는,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1쌍의 고속로울러가, 각각 상하로 간격을 두고 상대적으로 접리(接離)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대향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 사이에는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연속용지의 절단시에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가 각각 접근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속용지에 대하여 이송속도차를 줌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드를 상기 연속용지에 대고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접은 상태에 있는 연속용지의 적어도 접는 폭의 간격을, 예컨대 광학적인 수단으로 측정하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와, 이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를 접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기를 제어하는 접근 타이밍 제어장치를 갖는 것이다.
또,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용지 절단장치는 상기와 똑같이 구성된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1쌍의 고속로울러 및 블레이드를 갖추고, 또한 절단할 연속용지의 종이 두께를 수동적으로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의 각각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가진 것이다.
또한,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용지 절단장치는 소정속도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이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회전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를 갖추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연속용지의 접어도 접는 폭의 간격을 측정하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와, 미리 연속용지의 표준사이즈를 복수설정하는 표준사이즈 설정부와, 상기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의한 연속용지의 사이즈측정치를 상기 표준사이즈 설정부에서 설정된 표준사이즈에 의거하여 근사한 표준사이즈로 수정하는 사이즈 조정부를 가지며, 이 사이즈 조정부에서 수정된 연속용지의 표준사이즈에 의거하여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에 의한 연속용지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용지 절단장치는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이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회전하는 상하 1상의 고속로울러를 갖추고, 연속용지의 재치대에 놓인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연속용지의 접어도 접는 폭의 간격을 측정하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와, 상기 재치대의 소정위치에 연속용지가 놓였을 대에 재치(載置) 신호를 발하는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이 검지장치에 의하여 재치신호가 발해졌을 때에 상기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대하여 사이즈 측정 신호를 발하는 측정제어부를 설치하고, 용지사이즈 측정장치로부터의 연속용지의 용지사이즈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에 의한 연속용지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5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용지 절단장치는 소정속도로 회전하고, 적어도 절단시에는 연속용지를 끼워지지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를 가짐과 동시에, 연속용지의 이송을 행하는 인피이드부와,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고, 절단시에 상대적으로 접근하여 연속용지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의 이송속도차에 의하여 연속용지를 찢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와, 이송되어온 연속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는 용지선단검출부와,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를 수동적 또는 자동적으로 입력하는, 예컨대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와 같은 절단사이즈 입력부와, 상기 선단검출부로부터의 검출신호와 상기 절단사이즈 입력부로부터의 절단사이즈 신호(용지사이즈 측정장치의 경우에는 용지사이즈신호) 및 상기 인피이드부에 있어서의 연속용지 이송량에 의거하여 상기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의 접근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이다.
연속용지의 접는 폭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하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를 접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기를 제어하므로, 절단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연속용지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하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와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종이 두께에 따른 적정한 간격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지사이즈의 측정에 오차가 생겨도 미리 입력되어 있는 표준사이즈에 의거하여 그 수정을 행하여, 연속용지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므로, 연속용지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연속용지가 재치대의 소정위치에 놓여 있지 않으면,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의한 측정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항상 정확한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이송기능을 가진 인피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트랙터장치등의 이송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연속용지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며, 또, 상기 인피이드부의 연속용지 이송량과 절단사이즈에 의거한 각 고속로울러의 제어에 의하여 정확한 절단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용지(1a)로 절단할 연속용지(1)는, 그 절단부분이 되는 절단용 점선(2)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접혀져서, 폭 방향의 길이와 접는 폭의 간격, 환언하면 단위용지(1a) 사이즈에 있어서의 폭 방향과 연속방향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용지사이즈 측정장치가 내설된 재치대(3) 위의 소정위치에 얹혀 놓여진다. 상기 연속용지(1)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쪽에 각각 절단용 점선(4, 4)을 경계로 하여 마아지널부(5, 5)가 설치되고, 이들의 마아지널부(5, 5)에는 다수의 마아지널구멍(6, 6)이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치대(3)의 연속용지(1)가 얹혀 놓여지는 덮개판(3a)에는 단위용지(1a)의 폭방향의 길이(이하, 폭이라고 한다)를 측정하기 위하여 연속용지의 폭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광투과판(7)과, 단위용지(1a)의 연속방향의 길이(이하 깊이라고 한다)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광투과판(7)과는 직각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광투과판(8)이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치대(3) 내의 상기 광투과판(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재치대(3) 내에 고정된 지지판(9, 1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축(11)이 뻗어 있고, 이 회전축(11)에는 회전방지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갖춘 광전관(1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1)의 한쪽 끝에는 구동모우터(13)가 설치되고, 또 다른쪽 끝에는 슬릿판(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판(14)의 밑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지지판(10)에 슬릿검출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판(10)과 또 한쪽의 지지판(9)에는 광전관(12)의 이동경로에 대응하여 각각 리미트스위치(16, 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단위용지(1a)의 폭을 측정한다.
한편,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치대(3) 내의 광투과판(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의 단위용지(1a)의 폭을 측정하는 구성과 똑같이 구성된 광전관(18)을 가진 단위용지(1a)의 깊이를 측정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위용지(1a)의 깊이를 측정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폭을 측정하는 기구의 각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각 구성요소에 「a」를 첨자한 동일부호를 표시함에 그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위용지(1a)의 폭 및 깊이의 측정은 각 광전관(12, 18)의 회전축(11, 11a)의 회전에 의한 이동량으로서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이동량을 슬릿판(14, 14a)의 회전에 의하여 등, 피치의 슬릿의 통과수로 변환하여 슬릿 검출장치(15, 15a)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검출된 용지사이즈 신호는 제1도에 도시한 측정 제어부(c)를 통하여 CPU(19)의 사이즈 조정부에 보내진다.
덮개판(3a)에는 연속용지(1)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진 것을 검출하는 센서(S1)가 연속용지 처리장치의 벽판(도시하지 않음)에 따른 위치에 설치되고, 또 상기 광투과판(7)의 길이방향의 양 바깥쪽에 연속용지(1)의 놓인 위치가 부적당한 것을 검출하는 1쌍의 센서(S2, S2)가 설치되어, 상기 재치대(3)에 연속용지(1)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졌을 때에 재치신호를 발하는 검지장치(S)가 구성되어 있다. 즉, 재치신호는 센서(S1)가 ON이고, 1쌍의 센서(S2, S2)가 OFF인 경우에 발해지는 것이다. 상기 검지장치(S)로부터 재치신호가 발해지면 용지측정 사이즈장치에 대하여 측정제어부(C)로부터 사이즈측정 지령신호가 발해진다. 그리고, 용지측정 사이즈장치의 슬릿검출장치(15, 15a)로부터의 용지 사이즈 신호는 상기 측정 제어부(C)를 통하여 CPU(19)의 사이즈 조정부에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즈 조정부는 입력된 측정치를 똑같이 CPU(19)내의 표준사이즈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표준사이즈와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표준사이즈로 수정하는 것이다. 이 수정에 있어서 2개의 표준사이즈의 중앙에 대응하는 측정치에 있어서는, 큰쪽의 표준사이즈로 절상 수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준사이즈 설정부에는 미리 단위용지(1a)의 폭의 표준사이즈가 1/10인치 단위로, 또 깊이의 표준사이즈가 1/2인치 단위로 각각 적정수 설정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용지(1)는 재치대(3)로부터 윗쪽으로 꺼내지고, 가이드판(49)에 안내되어 폭 방향의 양쪽 마아지널구멍(6, 6)이 트랙터(20)의 트랙터 핀에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트랙터(20)가 메인 모우터(21)에 의하여 회전구동됨으로써 제1도의 윗쪽 오른쪽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송속도는 트랙터(2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트랙터엔코우더(22)에 설치된 검출기(23)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이 속도 검출신호는 CPU(19)에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속용지(1)는 상기 트랙터(20)의 이송방향끝 근방에 배치된 슬리터(24)에 의하여 각 마아지널부(5, 5)가 절단용 점선(4, 4)에서 절단되어, 다시 동일방향으로 이송되어 절단장치에 공급된다.
상기 트랙터(20)는 모우터(40)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41)의 회전에 의하여 각 마아지널부(5, 5)가 절단용 점선(4, 4)에서 절단되어, 다시 동일방향으로 이송되어 절단장치에 공급된다.
상기 트랙터(20)는 모우터(40)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41)의 회전에 의하여 대향간격, 즉 연속용지(1)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이 조정되도록 상기 슬릿터(24)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우터(40)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의한 단위용지(1a)의 폭의 측정결과를 사이즈 조정부에서 수정한 CPU(19)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트랙터(20)의 대향 간격은 광전관(12)으로 측정된 연속용지(1)의 폭보다도 0.5인치 좁은 간격으로 설정하여, 끝가장자리로부터 0.25인치 안쪽에 설치된 마아지널구멍(6, 6)이 트랙터핀에 대응하도록 조정된다.
절단장치의 전단에는 광투과량에 의거하여 용지두께를 「얇다」, 「중간」, 「두껍다」의 3단계로 검출하기 위한 용지두께검출기(25a, 25b)가 연속용지(1)의 이송경로를 상하로 끼우도록 하여 대향 배치되고, 그 검출신호는 CPU(19)에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용지두께검출기(25a, 25b)가 연속용지(1)의 종이두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용지두께검출기(25a, 25b)에 이어서, 제1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접리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1~1.5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26a, 26b)와, 이들 인피이드로울러(26a, 26b)와 이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똑같이 접리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1~1.5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27a, 27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인피이드로울러(26a, 26b)와 고속로울러(27a, 27b)와의 사이에는, 연속용지(1)의 각 절단용 점선(2)에 맞닿기 위한 블레이드(28)와 용지선단검출부인 광반사형의 용지선단검출기(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용지선단검출기(29)가 연속용지(1)의 선단을 검출하면, 검출신호를 CPU(19)에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인피이드로울러(26a, 26b)와 고속로울러(27a, 27b)를 각각 접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에 대하여,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아랫쪽의 인피이드로울러(26b)와 윗쪽의 고속로울러(27a)의 각 회전축(30, 31)은 각각 축받이(32, 33)에 편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각 축받이(32, 33)의 중심에 각각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은 똑같이 도시하지 않은 기계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축받이(32, 33)과 펄스모우터(34)(제1도 참조)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판(35)에는 무단벨트(36)가 걸쳐 걸려 있다.
상기 펄스모우터(34)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근 타이밍 제어장치인 CPU(19)에 접속되고, CPU(19)의 사이즈 조정부에서 수정된 깊이표준사이즈에 따른 구동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축이 소정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판(35)도 상기 출력축과 동일방향으로 동일량만큼 회전하고, 이것이 무단벨트(36)에 의하여 각 축받이(32, 33)에 전달된다. 상기 각 축받이(32, 33)가 상기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각 회전축(30, 31)은 동일 방향으로 원호운동을 하게 된다.
그 때문에, 펄스모우터(34)에 의하여 구동판(35)이 제2도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로울러(26b)는 상승하고, 로울러(27a)는 하강하여, 함께 접근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구동판(35)이 제2도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복귀되면, 로울러(26b)는 하강하고, 로울러(27a)는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펄스모우터(34)의 출력축의 회전량을 CPU(19)로 제어함으로써 인피이드로울러(26a, 26b)와 고속로울러(27a, 27b)의 각각의 상하간격이 조정되며, 조정된 최소간격 위치에서 연속용지의 절단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이동 기구와 CPU(19)에 의하여 간격조정수단을 구성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장치에 이어서 절단된 단위용지(1a)를 차례로 쌓아 올리는 스태커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태커장치는 단위용지(1a)를 얹어 놓는 승강이 자유로운 승강테이블(36)을 갖추고 있다. 상기 승강테이블(36)에 단위용지(1a)를 확실히 차례로 쌓아올리기 위하여, 상기 절단장치에 의한 단위용지(1a)의 반출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로 반입방향으로 순환회전되는 평행한 2개의 가느다란 벨트(1개만 도시함)를 갖춘 반입가이드벨트(3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반입된 단위용지(1a)의 선단이 부딪치는 반입방향으로 위치 결정이 자유로운 스토퍼(39)와, 상기 승강테이블(36)위에 쌓인 최상위의 단위용지(1a)의 위치를 검출하여, 일정 위치보다도 높아지면 상기 승강테이블(36)을 하강시키기 위한 검출신호를 CPU(19)로 보내는 용지적충량검출기(3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반입가이드벨트(37)는 가느다란 벨트가 걸쳐 걸린 구동로울러(50)의 둘레쪽에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의 가느다란 벨트가 상기의 돌기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밀려 내려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테이블(36)의 하강동작에 오차가 생겨, 약간 지나치게 하강해버린 경우라도 반입가이드벨트(37)는 단위용지(1a)와 확실히 접촉하여 반입하며, 이 단위용지(1a)를 스토퍼(39)에 부딪치게 할 수 있으므로, 단위용지(1a)는 항상 적정상태에서 원활히 적층된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용지(1)를 소정의 접은 상태로 재치대(3)의 소정위치에 얹어놓고, 용지사이즈의 측정동작을 행한다. 이 측정동작을 CPU(19)의 제어동작과 함께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속용지(1)가 소정의 접은 상태로 재치대(3) 위에 놓이면, 각 센서(S1, S2, S2)에 연속용지(1)의 놓인 상태가 소정위치인가의 여부를 검지한다(스텝 101). 재치신호가 발해져서 연속용지(1)가 소정의 재치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스텝 102), 측정제어부(C)로부터 사이즈측정 지령신호가 발해져서 각 구동모우터(13, 13a)를 구동하여, 각 회전축(11, 11a)을 회전하여, 각 광전관(12, 18)을 상기 각축(11, 11a)에 따라 이동시킨다(스텝 103).
여기서, 폭측정의 경우에는 광전관(12)의 빛이 광투과판(7)을 투과하여 연속용지(1)로 차광된 시점부터 다시 투과하는 시점까지의 이동량이 연속용지(1)의 폭에 상당하며, 이 이동량은 슬릿검출장치(15)에 있어서, 슬릿수를 상기의 차광된 시점으로부터 다시 투광하는 시점까지의 동안에 카운트하며, 이 카운트수를 광전관(12)의 이동량으로 바꾸어 놓아 폭검출신호로서 CPU(19)의 사이즈 조정부에 출력한다(스텝 104). 상기 CPU(19)의 사이즈 조정부는 이 폭검출신호를 표준사이즈 설정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폭표준사이즈와 비교하여, 근사한 폭표준사이즈로 수정한다(스텝 105).
예컨대, 3.24인치에 상당하는 폭검출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하면, 표준사이즈 설정부의 폭표준사이즈는 1/10인치 단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3.24인치는 3.2인치와 3.3인치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근사한 3.2인치로 수정된다. CPU(19)는 이 수정치에 의거한 구동제어신호를 모우터(40)에 보내어(스텝 106), 기어(41)를 통하여 트랙터(20)의 대향간격을 연속용지(1)의 폭에 맞도록 조절한다(스텝 107).
한편, 깊이측정의 경우에는, 광전관(18)은 연속용지(1)의 소정 재치상태에 있어서의 이동개시위치에서 이미 차광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동개시 시점부터 차광되는 시점까지의 이동량을 슬릿검출장치(15a)에 있어서 슬릿수를 상기의 이동개시 시점부터 차광되는 시점까지의 동안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수를 거리를 가산하여, 연속용지(1)의 깊이검출신호로서 CPU(19)의 사이즈 조정부에 출력한다(스텝 104). 상기 CPU(19)의 사이즈 조정부는 이 검출신호를 표준사이즈 설정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깊이표준사이즈와 비교하여, 근사한 깊이표준사이즈로 수정한다(스텝 105).
예컨대, 4.25인치에 상당하는 깊이검출신호가 출력되었다고 하면, 표준사이즈 설정부의 깊이표준사이즈는 1/2인치 단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4.25인치는 4.0인치와 4.5인치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꼭 중앙에 대응하므로, 절상하여 4.5인치로 수정된다. 그리고, CPU(19)는 이 수정치에 의거한 구동제어신호를 스태커 장치의 스토퍼(39)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보내어(스텝 108), 상기 스토퍼(39)의 위치를 단위용지(1a)의 깊이에 맞도록 조절한다(스텝 109). 또, 상기 수정된 깊이검출신호는 CPU(19)의 메모리에 격납된다.
이어서, 연속용지(1)를 끌어올려 가이드판(49)을 통하여 대향 간격이 조정된 트랙터(20)에 유도하고, 이 트랙터(20)의 트랙터핀에 그 마아지널구멍(6, 6)을 걸어맞추어 메인 모우터(21)를 구동한다. 이에 의하여 연속용지(1)는 제1도 윗쪽 오른쪽방향으로 이송되고, 슬릿터(24)에 의하여 마아지널부(5, 5)가 절단되어 떨어진 다음, 다시 계속 이송된다. 이 연속용지(1)의 이송속도는 검출기(23)로 검출되어 CPU(19)로 보내진다.
이어서, 연속용지(1)는 용지두께검출기(25a, 25b)를 통과할 때에 그 두께가 검출되며, 이 검출신호가 CPU(19)로 보내진다. 이 두께 검출에 의거한 상기 CPU(19)에 의한 인피이드로울러(26a, 26b)와 고속로울러(27a, 27b)의 각각의 상하 간격의 조정제어에 대하여 제8도 및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9도는 연속용지(1)의 선단검출시부터의 시간경과를 가로축으로 한 것이다.
용지두께검출기(25a, 25b)에 의하여 용지두께가 검출되며(스텝 201), 이것이 「얇다」고 판단되면(스텝 202), 펄스모우터(34)의 ON·OFF 타이밍을 12 펄스타이밍으로 설정한다(스텝 203). 이 12 펄스타이밍에 의하면, 제9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용지선단검출기(29)에 의한 연속용지(1)의 선단검출신호가 CPU(19)에 입력된 후, 용지이송속도 및 단위용지(1a)의 깊이에 맞춘 표준(「중간」의 경우)의 타이밍보다도 2펄스 빠르게, 펄스모우터(34)에 대하여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또 복귀시의 구동신호는 상기 표준의 타이밍보다도 2펄스분 늦게 정지된다. 따라서, 연속용지(1)가 각 로울러(26a, 26b, 27a, 27b)에 도달된 때의 간격은 표준(「중간」의 경우)보다도 좁게 설정된다.
스텝 202에서 용지두께가 「얇다」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04에서 「중간」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중간」이라고 판단되면, 펄스모우터(34)의 ON·OFF 타이밍을 10 펄스타이밍으로 설정한다(스텝 205). 이 10 펄스타이밍이 표준의 타이밍이고, 제9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용지선단검출기(29)에 의한 연속용지(1)의 선단검출신호가 CPU(19)에 입력된 후, 용지이송속도 및 단위용지(1a)의 깊이에 맞춘 타이밍으로 펄스모우터(34)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연속용지(1)가 각 로울러(26a, 26b, 27a, 27b)에 도달하였을 때의 간격을 표준간격으로 한다.
스텝 204에서 용지두께가 「중간」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06에서 「두껍다」로 처리하여, 펄스모우터(34)의 ON·OFF 타이밍을 8 펄스타이밍으로 설정한다(스텝 207). 이 8 펄스타이밍에 의하면, 제9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용지선단검출기(29)에 의한 연속용지(1)의 선단검출신호가 CPU(19)에 입력된 후, 용지이송속도 및 단위용지(1a)의 깊이에 맞춘 표준(「중간」의 경우)의 타이밍보다도 2펄스분 늦게, 펄스모우터(34)에 대하여 구동신호가 출력되며, 또 복귀시의 구동신호는 상기 표준의 타이밍보다도 2펄스분 빠르게 정지된다.
따라서, 연속용지(1)가 각 로울러(26a, 26b, 27a, 27b)에 도달하였을 때의 간격은 표준(「중간」의 경우)보다도 넓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속용지(1)의 두께가 검출되고, 다시 이송되어 연속용지(1)의 선단이 용지선단검출기(29)에 의하여 검출되면, 선단검출신호가 CPU(19)에 입력된다. 이 선단검출신호를 받은 상기 CPU(19)는 이미 입력되어 있는 연속용지(1)의 이송속도와 수정된 깊이검출신호 및 두께검출신호에 의거한 적정타이밍으로 펄스모우터(34)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인파이드로울러(26a, 26b) 및 고속로울러(27a, 27b)의 각 상하간격은 연속용지(1)가 그 수정된 깊이에 적합한 절단위치로 이송되어 왔을 때에, 용지두께에 맞는 적정한 간격이 되어, 상기 인피이드로울러(26a, 26b) 및 상기 고속로울러(27a, 27b)에 의하여 장력이 부여된 연속용지(1)의 절단용 점선(2)에 블레이드(28)가 맞닿아서 연속용지(1)는 단위용지(1a)로 절단된다.
절단된 단위용지(1a)는 반입가이드벨트(37)에 의하여 차례로 승강테이블(36)위에 쌓인다. 여기에 있어서, 스토퍼(39)의 위치는 이미 단위용지(1a)의 깊이에 적합하도록 조정되어 있으므로, 반입동작은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 쌓인 최상위의 단위용지(1a)의 위치가 소정의 높이 위치보다 높아지면, 용지적층량검출기(38)에 의하여 검출되며, 이 검출신호가 CPU(19)로 보내져서, 승강테이블(36)이 소정거리만큼 하강되어, 항상 원활한 적층동작이 이루어진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트랙터(20)를 갖추지 않고, 연속용지(1)의 이송은 이송기능을 가지는 인피이드부에서 행한다. 이 인피이드부는 제11도 및 제1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접리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1 ~ 1.5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56a, 56b)를 가지고 있다. 이들 인피이드로울러(56a, 56b)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3개의 오목부(42a, 42b, 42c, 43a, 43b, 4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윗쪽의 인피이드로울러(56a)의 오목부(42a, 42b)에 대응 위치하여, 각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이송로울러(44a, 44b)가 지지되고, 측면형상이 넘어진 J자 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요동 아암(45a, 45b)이 각 기초단에서 도시하지 않은 기체에 고정된 지지간(46)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요동아암(45a, 45b)은 도시하지 않은 기체에 고정된 부착판(47)과 기초단 근방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각 요동아암(45a, 45b)은 도시하지 않은 기체에 고정된 부착판(47)과 기초단 근방 사이에 스프링(48a, 48b)의 수축력에 의하여 제11도상 시계방향으로 요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각 요동아암(45a, 45b)의 선단에 지지된 각 이송로울러(44a, 44b)는 아래쪽의 인피이드로울러(56b)의 둘레면에 맞닿아서, 상기 각 이송로울러(44a, 44b)와 상기 인피이드로울러(56b)에 의하여 비절단시에 연속용지(1)를 이송한다. 또, 상기 인피이드로울러(56a, 56b)의 접근시에 각 이송로울러(44a, 44b)는 스프링(48a, 48b)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인피이드로울러(56a)의 대응하는 오목부(42a, 42b) 내로 돌입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피이드부에 있어서의 연속용지(1)의 이송량, 즉 인피이드부에 있어서의 연속용지(1)의 이송속도는 인피이드로울러(56a)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인피이드로울러엔코우더(51)에 설치한 검출기(52)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이 속도검출신호는 CPU(19)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피이드로울러(56a, 56b)와 고속로울러(27a, 27b)의 회전구동은 메인 모우터(21)의 구동력을 도시하고 있지 않은 회전구동력 전달기구를 통하여 전달해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연속용지(1)는 상기한 제1의 실시예와 똑같은 마아지널부(5, 5)를 가지는 것이든, 이미 이들 마아지널부(5, 5)가 절단 제거된 것이든, 어느것이라도 좋다.
상기 각 마아지널부(5, 5)를 가지는 연속용지(1)의 경우에는, 상기 각 마아지널부(5, 5)를 이용하지 않고 이송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똑같으므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동일부호를 붙임에 그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가 절단사이즈 입력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속용지(1)를 끌어올려, 가이드판(49)을 통하여 인피이드로울러(56a, 56b) 사이로 유도하고, 이송로울러(44a, 44b)와 아래쪽의 인피이드로울러(26a)로 상기 연속용지(1)를 끼워지지하여, 메인 모우터(21)를 구동하여, 연속용지(1)를 이송한다. 그 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1의 실시예와 똑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략화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 이 제2실시예에서는 인피이드로울러(56a, 56b)가 상기 연속용지(1)를 끼워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각 이송로울러(49a, 49b)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의하지 않고, 절단사이즈를 버튼조작등에 의하여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피이드로울러(26a, 26b)로 바꾸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의 인피이드로울러(56a, 56b)를 가진 인피이드부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인피이드부에 있어서의 연속용지(1)의 이송량, 즉 인피이드부에 있어서의 연속용지(1)의 이송속도는 인피이드로울러(56a, 56b)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것은 아니고, 제1실시예에 똑같이 회전구동원을 공통으로 하는 트랙터(20)의 회전량을 트랙터엔코우더(22)에 설치한 검출기(23)로 검출함으로써 행하여진다(제1도 참조).
상기 제3의 실시예에서 사용가능한 연속용지(1)는 각 마아지널부(5, 5)를 가지는 것외에, 상기 마아지널부(5, 5)가 이미 절단 제거된 것이라도 좋다. 즉, 트랙터(20)에 의한 상기 각 마아지널부(5, 5)를 이용한 연속용지(1)의 이송외에, 상기 각 마아지널부(5, 5)를 이용하지 않은 인피이드부만에 의한 이송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마아지널부(5, 5)를 이용하지 않고 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트랙터(20)는 상기 각 마아지널부(5, 5)를 절단 제거하기 위한 슬릿(24)과 함께, 모우터(40)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기어(41)의 회전에 의하여 대항 간격이 넓어져서, 연속용지(1)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설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인피이드로울러(26a, 26b, 56a, 56b)와 고속로울러(27a, 27b)의 상하 간격을 접근시키는 제어에 있어서는, 항상 용지두께의 검출과 연계할 필요는 없고, 또, 상하간격을 접근시키는 구동원은 펄스모우터(34)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트랙터(20)에 대신하여 로울러등에 의하여 연속용지(1)의 이송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속용지(1)의 폭의 측정은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을 뿐만 아니라, 광전관(12, 18) 이외의 소자를 사용하여 측정하여도 좋은 것등,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의 구성도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연속용지(1)의 종이두께의 입력수단을 용지두께검출기(25a, 25b) 등의 자동적인 입력수단에 의하지 않고, 입력버튼 등에 의한 수동에 의한 입력수단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각 로울러(26a, 26b, 56a, 56b, 27a, 27b)의 상하 간격은 용지두께에 따라 조절된 후 절단시에는 변화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연속용지(1)의 절단위치의 설정은 인피이드로울러(26a, 26b, 56a, 56b)와 고속로울러(27a, 27b)의 각 상하 간격의 조정에 의하는 것 외에, 인피이드로울러(26a, 26b, 56a, 56b)와 고속로울러(27a, 27b)의 이송방향의 간격을 조정해가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로, 연속용지를 겹친 폭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상하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를 상하 방향으로 접근시키므로, 연속용지를 바라는 위치에서 정확히 절단할 수 있다.
둘째로, 종이두께에 따라 상하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에 있어서의 상하간격을 조절하므로, 연속용지를 바라는 위치에서 정확히 절단할 수 있다.
셋째로, 연속용지의 깊이를 측정하여, 그 측정사이즈를 표준사이즈로 수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상하 각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고속로울러에 의한 연속용지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므로, 용지측정에 오차가 생긴 경우라도, 항상 연속용지를 바라는 위치에서 정확히 절단할 수 있다.
넷째로, 연속용지의 사이즈를 측정할 때, 재치대에 재치되는 연속용지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진 것을 검지장치에 의하여 확인한 후에 측정을 하므로, 항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잘못된 위치에서 연속용지를 절단하는 일이 없고, 항상 연속용지를 바라는 위치에서 정확히 절단할 수 있다.
다섯째로, 이송기능을 가진 인피이드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연속용지의 절단사이즈, 인피이드부에서의 이송량 및 용지선단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를 접근 동작시켜서 연속용지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므로, 연속용지를 바라는 위치에서 정확히 절단할 수 있고, 또 인피이드부가 이송기능을 가지므로, 연속용지에 대한 인피이드부와 다른 이송장치와의 이송량의 차이에 의거한 절단장치의 오차가 생기지 않아, 항상 정확한 바라는 위치에서의 절단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별도로 이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속용지 처리장치의 구성이 간략화되어,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상하 1쌍의 회전하는 인피이드로울러와, 이들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와의 이송속도차에 의하여 연속용지를 찢듯이 절단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로서,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는 각각 상하로 간격을 두고 상대적으로 접리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대향배치되고,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 사이에는 블레이드가 배치되며, 연속용지의 절단시에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가 각각 접근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속용지에 대하여 이송속도차를 줌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연속용지에 대어서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접은 상태에 있는 연속용지의 적어도 접은 폭의 간격을 측정하는 용지 사이즈 측정장치와, 이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를 접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기를 제어하는 접근 타이밍 제어장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
  2. 상하 1쌍의 회전하는 인피이드로울러와, 이들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와의 이송속도차에 의하여 연속용지를 찢듯이 절단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로서,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는 각각 상하로 간격을 두고 상대적으로 접리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대향배치되며,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 사이에는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에 의하여 이송속도차가 주어진 상기 연속용지에 상기 블레이드를 대어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절단할 연속용지의 종이두께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이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의 각각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
  3.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이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의 이송속도차에 의하여 연속용지를 찢듯이 절단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로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연속용지의 적어도 접은 폭의 간격을 측정하는 용지 사이즈 측정장치와, 미리 연속용지의 표준사이즈를 복수 설정하는 표준사이즈 설정부와, 상기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의한 연속용지의 사이즈 측정치를 상기 표준사이즈 설정부에서 설정된 표준사이즈에 의거하여 근사한 표준사이즈로 수정하는 사이즈 조정부를 가지며, 이 사이즈 조정부에서 수정된 연속용지의 표준사이즈에 의거하여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에 의한 연속용지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
  4.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이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와의 이송속도차에 의하여 연속용지를 찢듯이 절단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로서, 연속용지의 재치대에 놓여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연속용지의 단위용지 사이즈를 측정하는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와, 상기 재치대의 소정의 위치에 연속용지가 놓여졌을때에 재치신호를 발하는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이 검지장치에 의하여 재치신호가 발해졌을 때에, 상기 용지사이즈 측정장치에 대하여 사이즈 측정 지령신호를 발하는 측정 제어부를 설치하고, 용지사이즈 측정장치로부터의 연속용지의 용지사이즈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에 의한 연속용지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
  5.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와, 이 인피이드로울러보다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와의 이송속도차에 의하여 연속용지를 찢듯이 절단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로서, 적어도 절단시에 연속용지를 끼워지지하는 상하 1쌍의 인피이드로울러를 가짐과 동시에, 연속용지의 이송을 행하는 인피이드부와, 절단시에 상대적으로 접근하여 연속용지를 끼워지지하는 상하 1쌍의 고속로울러와, 이송되어온 연속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는 용지선단검출부와, 연속용지의 절단 사이즈를 입력하는 절단사이즈 입력부와, 상기 선단검출부로부터의 검출신호와 상기 절단사이즈 입력부로부터의 절단사이즈 신호 및 상기 인피이드부에 있어서의 연속용지 이송량에 의거하여 상기 1쌍의 고속로울러의 접근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용지 절단장치.
KR1019890020126A 1988-12-29 1989-12-29 연속용지 절단장치 KR0123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35369 1988-12-29
JP88-33530 1988-12-29
JP63335369A JP2724486B2 (ja) 1988-12-29 1988-12-29 連続用紙切断装置
JP63335370A JP2724487B2 (ja) 1988-12-29 1988-12-29 連続用紙切断装置
JP88-335369 1988-12-29
JP88-335371 1988-12-29
JP63-335371 1988-12-29
JP63-335370 1988-12-29
JP33537188A JP2652230B2 (ja) 1988-12-29 1988-12-29 連続用紙切断装置
JP1023264A JPH02205496A (ja) 1989-02-01 1989-02-01 連続用紙切断装置
JP89-023264 1989-02-01
JP1-023264 1989-02-01
JP1-082710 1989-03-31
JP1082710A JP2899888B2 (ja) 1989-03-31 1989-03-31 連続用紙切断装置
JP89-082710 198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226A KR900009226A (ko) 1990-07-02
KR0123890B1 true KR0123890B1 (ko) 1997-12-26

Family

ID=2752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126A KR0123890B1 (ko) 1988-12-29 1989-12-29 연속용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04022A (ko)
EP (1) EP0376754B1 (ko)
KR (1) KR0123890B1 (ko)
AU (1) AU637592B2 (ko)
CA (1) CA2006908C (ko)
DE (1) DE6892502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7924B (en) * 1990-11-09 1995-05-17 Fmc Corp Separator/folder bag machine
US5388746A (en) * 1990-11-09 1995-02-14 Fmc Corporation Separator/folder bag machine
US5235882A (en) * 1992-05-26 1993-08-17 Rabourn William B Device for trimming and cutting computer printer paper
US5735443A (en) * 1993-09-08 1998-04-07 Moore Business Forms Inc Single part burster
US5540369A (en) * 1993-12-07 1996-07-30 Moore Business Forms, Inc. Detaching linerless labels
US5573621A (en) * 1994-11-30 1996-11-12 Moore Business Forms, Inc. Non-quadrate linerless label construction, methods of use and application
DE19540148C1 (de) * 1995-10-27 1997-04-24 Windmoeller & Hoelscher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Zetteln von einer kontinuierlich geförderten Zettelbahn
AU772208B2 (en) * 2000-10-06 2004-04-22 Northfield Corporation Web Burster/inserter
DE10055867C2 (de) 2000-11-10 2003-11-13 Roland Man Druckmasch Variabler Falzapparat
US7540125B2 (en) * 2007-03-26 2009-06-02 Northfield Corporation Bursting apparatus and method
US7650731B2 (en) * 2007-06-26 2010-01-26 Carol Joyce Witt Belt tensioner for coupon insertion apparatus
US9371209B2 (en) 2012-05-01 2016-06-21 C.G. Bretting Manufacturing Co., Inc. Single path single web single-fold interfolder and methods
US9182706B1 (en) * 2014-04-29 2015-11-10 Hewlett-Packard Indigo B. V.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gap between rollers of a printer in accordance with a media or image length
US9336466B2 (en) * 2014-09-08 2016-05-10 Fuji Xerox Co., Lt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moving guiding portion
US10449746B2 (en) 2016-06-27 2019-10-22 C. G. Bretting Manufacturing Co., Inc. Web processing system with multiple folding arrangements fed by a single web handling arrangement
CA3083695A1 (en) 2019-05-03 2020-11-03 Packaging Progressions, Inc. Pre-perforated substrate separator and insertion device for food preparation line pre-perforated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364A (en) * 1974-09-16 1977-05-10 Uarco Incorporated Burster
US4397410A (en) * 1978-07-07 1983-08-09 Swingline Inc. Burster
US4261497A (en) * 1979-01-18 1981-04-14 Pitney Bowes Inc. Bursting apparatus
US4269341A (en) * 1979-11-05 1981-05-26 Uarco Incorporated Stationery burster
DE3218304A1 (de) * 1982-05-14 1983-11-17 Systemform Datenbelege GmbH, 8210 Prien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endlosformularsaetzen o.dgl.
US4529114A (en) * 1983-09-09 1985-07-16 Moore Business Forms, Inc. Form burster
US4688708A (en) * 1984-01-09 1987-08-25 Pitney Bowes Inc. Bursting machine
GB8500402D0 (en) * 1984-01-09 1985-02-13 Pitney Bowes Inc Bursting machine
US4674378A (en) * 1985-09-27 1987-06-23 U.S. Amada Limited Shearing machine
US4716799A (en) * 1986-08-12 1988-01-05 Syntech International, Inc. Ticket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76754A3 (en) 1990-12-27
CA2006908C (en) 2000-01-25
KR900009226A (ko) 1990-07-02
DE68925026D1 (de) 1996-01-18
CA2006908A1 (en) 1990-06-29
DE68925026T2 (de) 1996-07-04
AU637592B2 (en) 1993-06-03
EP0376754A2 (en) 1990-07-04
US5104022A (en) 1992-04-14
EP0376754B1 (en) 1995-12-06
AU4738589A (en)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3890B1 (ko) 연속용지 절단장치
JP2001232700A (ja) 用紙裁断装置および折り型形成装置
EP1446270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imming and cutting images on sheets of paper and other graphic and photographic supports
US7055418B2 (en) Device for trimming and automatic cutting of images on paper and other graphic and photographic substrates, in particular of large size
US5475465A (en) Method for changing guide width and mechanism used therefor
JP4019833B2 (ja) 用紙位置ずれ補正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5286611A (ja) 用紙搬送装置
JP2652230B2 (ja) 連続用紙切断装置
JP3920105B2 (ja) 用紙穿孔装置
JP2899888B2 (ja) 連続用紙切断装置
JP2724486B2 (ja) 連続用紙切断装置
JP2724487B2 (ja) 連続用紙切断装置
JP2724829B2 (ja) 紙葉類の姿整修正装置
WO2001076833A1 (en) Device for trimming and automatic cutting of images on paper and other graphic and photographic substrates, in particular of large size
JP2002346983A (ja) 積載シートの断裁装置
JP2900074B2 (ja) 連続用紙切断装置
JP2849644B2 (ja) 連続用紙切断装置
JP2007326245A (ja) 印刷装置
JP3524985B2 (ja) 被走査体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EP3957450A1 (en) Sheet processing machine
JP4118970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4253628A (ja) ロールラベラのラベル蛇行修正装置
JPH02205496A (ja) 連続用紙切断装置
JPH1160055A (ja) チョッパ装置
JPS63117823A (ja) 自動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