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511Y1 -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511Y1
KR0123511Y1 KR2019950008723U KR19950008723U KR0123511Y1 KR 0123511 Y1 KR0123511 Y1 KR 0123511Y1 KR 2019950008723 U KR2019950008723 U KR 2019950008723U KR 19950008723 U KR19950008723 U KR 19950008723U KR 0123511 Y1 KR0123511 Y1 KR 0123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ntrance door
display board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284U (ko
Inventor
홍재성
김인홍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50008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511Y1/ko
Publication of KR960034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2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5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전광판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의 측출입문 점검커버의 위치에 전광판이 취부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전광판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되어 승객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철도차량용 전광판에 있어서, 철도차량 객실의 측면과 천장사이의 굴곡부분에 설치되는 라운드형 내장판과, 이 라운드형 내장판의 소정부위에 취부되는 제1브라케트, 객실의 측출입문에 설치되어 측출입문 점검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측출입문 점검커버, 이 측출입문 점검커버의 소정부위에 취부되는 제2브라케트, 이 제2브라케트와 취부되고 상기 제1 브라케트와 힌지에 의해 취부되어 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는 회전아암 및, 상기 제2브라케트와 상기 전광판을 취부시키는 제3브라케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전광판의 취부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의 측출입문 점검커버 부위의 위치에 전광판이 취부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전광판의 취부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철도차량용 전광판의 취부기구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중천정 골조(1)에 구체 브라켓(2)이 용접으로 취부되고, 이 구체 브라켓(2)에는 목재로 형성된 패킹(3)이 형성되며, 이 패킹(3)에는 덕트 내장판(4)이 취부된다.
그리고, 상기 내장판(4) 하면을 통해 구체 브라켓(2)에는 복수의 홀(4a)과 파이프(4b)를 갖는 플레이트(Plate)(5)를 드릴 및 탭작업을 한 후, 나사를 이용 위보기 작업 자세로 취부 고정시킨다. 또, 상기 전광판(6)의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 브라켓(7)에는 상기 플레이트(5)의 하부 원통부가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에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천정 골조(1)에 선 용접된 상기 구체 브라켓(2)에 드릴과 탭작업을 한 후, 나사를 이용하여 위보기 자세로 상기 취부용 플레이트(5)를 취부한다. 그리고, 상기 전광판(6)을 들어 올려 전광판(6) 상부에 뚫린 홀로 취부용 플레이트(5)를 삽입시킨다.
이후, 상기 전광판(6)의 후면 덮개를 열어 상기 전광판(6) 상부의 홀에 삽입된 취부용 플레이트(5)와 원통형 고정 브라켓(7)을 나사에 의해 취부한 후 상기 전광판(6)의 후면 덮개를 닫게 되면 전광판의 취부는 완료된다.
이러한, 전광판(6) 취부에 있어서는 상기 구체 브라켓(2)과 상기 취부용 플레이트(5)를 드릴과 탭작업한 후 나사에 의한 위보기 작업으로 체결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오차가 발생될 소지가 많다.
그리고, 상기한 작업에서는 약 30kg에 해당되는 전광판(6)을 작업자가 직접 들어 천정에 힘으로 밀착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전광판(6) 케이스 내부에서 나사에 의한 고정작업을 해야 함으로 작업의 공수증가와 작업의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의 전광판 취부기구는, 전광판을 객실의 중천정 중앙에 설치함에 따라 전광판의 바로 밑부분에 위치한 승객의 경우는 바로 앞에 서있는 승객들로 인하여 전광판에 표시되는 자막을 볼 수 없게 되며, 객실의 양끝단에 위치한 승객은 그 거리가 멀어 전광판의 자막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되어 승객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철도차량용 전광판은 객실의 측면과 천장사이의 굴곡부분에 설치되는 라운드형 내장판과 이 라운드형 내장판의 소정부위에 취부되는 제1브라켓과 객실의 측출입문에 설치되어 측출입문 점검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측출입문 점검 커버와 이 측출입문 점검 커버의 소정부위에 취부되는 제2브라켓과 이 제2브라켓과 체결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힌지에 의해 취부되어, 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는 회전아암 및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전광판을 체결하는 제3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전광판 취부시 발생되는 위보기 작업의 공수를 줄여 작업의 난이도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전광판 점검의 용이성과 승객으로 하여금 용이하게 전광판을 볼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철도차량용 전광판의 취부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 철도차량용 전광판의 취부기구에 의해 객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취부기구에 의해 전광판이 측출입문 점검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전광판이 차량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중천정 골조 2:구체 브라켓
3:패킹 4:내장판
5:취부용 플레이트 6:전광판
7:원통형 고정 브라켓 31:라운드형 내장판
32:제1브라켓 33:점검커버
34:제2브라켓 35:회전아암
36:제3브라켓 37:방진가스킷
38:힌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는, 객실의 측면과 천장사이의 굴곡부분에 설치되며 일단부측에 점검커버를 갖는 라운드형 내장판과, 상기 내장판 내일측에 체결형성된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형성된 힌지를 갖는 회전아암과, 상기 회전아암 하단과 점검커버의 사이에 체결 형성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하부에 체결 형성되는 방진 가스킷 및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 하면에 체결형성되는 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를 살펴보면,
작업자는 전광판을 취부함에 있어, 전광판을 객실에 설치하는데 필요한 취부용 기기를 전광판과 일체형으로 객실에 취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전광판 취부시 발생되는 위보기 작업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의 난이도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전광판 점검시 단지 측출입문 점검커버를 연 후, 전광판의 뒷면 커버를 열고 전광판을 점검하면 됨으로, 점검의 편리함을 이룰 수 있으며, 전광판이 객실의 측면과 천장사이의 굴곡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승객이 용이하게 전광판을 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취부기구에 의해 전광판이 측출입문 점검커버 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객실의 측면과 천정(미도시) 사이의 굴곡부분(즉, 측출입문 점검커버 부위)에 형성되는 라운드형 내장판(31)의 일단부측에는 FRP 재질을 갖으며 측출입문 점검시 사용되는 점검커버(33)가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형 내장판(31) 내일측에 형성된 요부에는 제1브라켓(32)가 형성되고, 이 제1브라켓(32)에는 힌지(38)를 갖고 회전가능한 회전아암(35)이 체결형성된다.
또, 상기 제1브라켓(32)에 형성된 힌지(38)를 갖는 회전아암(35)의 하단과 점검커버(33)의 사이에는 제2브라켓(34)이 체결 형성되며, 이 제2브라켓(34) 하부에는 방진 가스킷(37)이 제3브라켓(36)과 함께 체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브라켓(34) 하면에는 전광판(6)이 체결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전광판 이 차량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는, 전광판(6)을 측출입문과 천정사이의 빈 공간(즉, 측출입문 점검커버 부위)에 엇갈림 형식으로 취부하기 위해 라운드 내장판(31)에 전광판(6)을 일체형으로 취부시킨다.
이어 일체화된 라운드형 내장판(31)을 측출입문 상부의 천정골조에 취부시킴으로서 전광판(6)의 취부는 완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광판(6)과 라운드형 내장판(31) 간의 취부는 3개의 힌지(38)와 회전아암(35)에 의해 취부된 바, 이것은 전광판(6) 점검시 점검자가 차량의 측벽으로부터 전광판(6)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시보다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광판 설치시 전광판을 취부시키는 취부기구를 하나의 부품과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서, 전광판 취부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측출입문 점검 커버 부위에 엇갈림형식으로 설치되는 위치에 의해 승객들로 하여금 용이하게 전광판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측출입문 점검커버의 위치에 전광판이 취부될 수 있도록 되어 위보기 작업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의 난이도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전광판 점검의 용이성과 시각을 넓힌 개선된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를 제공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에 있어서, 객실 천정에 형성되며 일단 부측에 점검커버(33)를 갖는 라운드형 내장판(31)과, 상기 내장판(31) 내 일측에 체결형성된 제1브라켓(32)과, 상기 제1브라켓(32)에 형성된 힌지(38)를 갖는 회전아암(35)과, 상기 회전아암(35) 하단과 점검커버(33)의 사이에 체결형성되는 제2브라켓(34)과, 상기 제2브라켓(34) 하부에 체결 형성되는 방진 가스킷(37) 및 제3브라켓(36)과, 상기 제3브라켓(34) 하면에 체결형성되는 전광판(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KR2019950008723U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KR0123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723U KR0123511Y1 (ko)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723U KR0123511Y1 (ko)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84U KR960034284U (ko) 1996-11-19
KR0123511Y1 true KR0123511Y1 (ko) 1998-08-17

Family

ID=1941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723U KR0123511Y1 (ko)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5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42B1 (ko) * 2009-11-30 2012-05-03 이윤주 지주용 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84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6045B2 (ko)
KR0123511Y1 (ko) 철도차량용 전광판 취부기구
KR200454981Y1 (ko) 철도차량용 영상표시기 지지장치
CN109278804B (zh) 显示屏安装结构及具有其的列车
JP5739620B2 (ja) ホーム柵装置
JPH06271220A (ja) エレベータの開閉式操作盤パネル
JPH10313506A (ja) メーター類の取付けユニット
JPH10304519A (ja) メーター類の取付けユニット
CN217106721U (zh) 立柱组件及轨道交通站台屏蔽门
CN113799828B (zh) 一种轨道车辆及其内显罩板
RU105243U1 (ru) Внутренняя облицов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9007740U (zh) 轻型商务车屏幕墙屏幕安装检修机构
KR0131055Y1 (ko) 버스의 안전표시장치
KR200223072Y1 (ko) 자동차의 그로멧 고정구조
KR100886781B1 (ko) 차량 프론트 검사장치
KR0139610Y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지지구조
JP6124699B2 (ja) 鉄道車両用引戸装置
GB2299818A (en) Columnns carrying internal electrical power feeds
KR20150014174A (ko) 엘리베이터 도어에 설치된 모니터의 보호덮개장치
JP2567518Y2 (ja) シャッター枠一体型開口枠の上枠
KR20040015517A (ko)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KR100354648B1 (ko) 택시 광고기구
KR19980062820A (ko) 화물차량의 본네트 힌지장치
KR0123505Y1 (ko)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JPH0632148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