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411B1 -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411B1
KR0123411B1 KR1019940017306A KR19940017306A KR0123411B1 KR 0123411 B1 KR0123411 B1 KR 0123411B1 KR 1019940017306 A KR1019940017306 A KR 1019940017306A KR 19940017306 A KR19940017306 A KR 19940017306A KR 0123411 B1 KR0123411 B1 KR 012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refrigerator
fermentation vessel
storage chamb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016A (ko
Inventor
이장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411B1/ko
Priority to US08/325,028 priority patent/US5752568A/en
Priority to JP25645494A priority patent/JP2637701B2/ja
Publication of KR95001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용기가 수납되는 발효/저장실을 구비하여 발효식품을 발효 또는 저장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발효용기의 벽에 내장되어 발효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수단과, 발효용기에 구비되고 발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재 및 발효/저장실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재와 접속되어 상기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피접속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발효용기의 내벽에는 발열수단과 격리된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에는 발효용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온소자를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는 발효용기의 측벽면 또는 저면에 돌출 설치 또는 출납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피접속부재는 발효/저장실의 측벽 또는 바닥에 함몰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함몰부내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발효용기의 바닥에는 활주용 다리를 설치하고, 발효/저장실의 바닥에는 활주용 다리를 인도하여 접속부재를 피접속부재에 안내하는 안내요홈을 구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단면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발효/저장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발효용기의 내부구조룰 보인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와 피접속부재의 접속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전기적인 제어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발효/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와 피접속부재의 접속전후의 상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
제8a도 및 제8b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와 피접속부재의 접속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동실 20 : 냉장실
30 : 발효/저장실 31 : 댐퍼
33,34 : 피접속부재 35 : 덮개
36 : 안내요홈 50 : 발효용기
51 : 발열수단 52 : 감온수단
53,54 : 접속부재 55 : 중공부
56 : 활주용 다리 57 : 격벽
10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0 : 댐퍼구동부
120 : 실내온도감지부
본 발명은 식품을 발효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효식품이 수납되는 용기에 발열체를 내장시킨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발효식품(대표적인 것으로 김치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김치를 예로들어 설명을 진행한다)을 발효시킨 후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발효기능부 냉장고의 구성예로는 첫번째로 김치가 수납되는 용기(이하, 발효용기라고 한다)가 넣어지는 발효/저장실의 벽면상에 발열체를 설치하거나, 두번째로 발효/저장실이 벽의 내부에 발열체를 설치하거나, 세번째로 발효/저장실의 소정의 위치에 발열체를 설치하고 그 후방에는 송풍팬을 설치한 것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서 발효기능이 수행될때는 발열체에 전원을 단속적으로 공급하여 발생된 열기로 발효용기를 소정시간동안 소정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내부의 김치를 적정한 상태로 발효시키게 된다. 발효가 완료되면 발열체로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킴과 더불어 발효/저장실내로 냉기를 공급하여 김치를 저온에서 저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첫번째의 구성예에서는 발효기능 수행시에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타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효/저장실과 인접한 타실과의 사이에 통상적으로 두꺼운 단열체를 시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의 유효내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외에도 발효용기에 열이골고루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김치가 골고루 익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번째의 구성예에서는 상기한 첫번째의 구성예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에 덧붙여 발열체의 단선시에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번째의 구성예에서는 송풍팬에 의한 열기의 강제순환에 의하여 김치가 골고루 익지 않는 문제점은 제거되지만 송풍팬의 설치로 인한 공간의 과다점유로 발효전용 냉장고 이외에는 사실상 적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용기의 벽의 내부에 발열체를 시설함으로써 냉장고의 유효내용적을 크게할 수 있도록 한 발효기능부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효용기의 벽의 내부에 발열체를 시설함으로써 발효기능의 수행중에도 인접한 타실의 온도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발효기능부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효용기의 벽에 내부에 발열체를 시설함으로써 발열체의 단선등으로 인한 고장시에 발효용기 자체를 교체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장원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발효기능부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효기능부 냉장고는 크게 발효용기가 수납되는 발효/저장실을 구비하여 발효식품을 발효 또는 저장할 수 있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벽에 내장되어 발효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수단과 상기 발효용기에 구비되고 상기 발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부재 및 상기 발효/저장실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재와 접속되어 상기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피접속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발효용기의 벽내부의 적소에 발효용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온수단을 구비시키고, 감온수단으로부터의 온도정보를 주제어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접속 및 피접속부재를 각각 발효용기 및 발효/저장실에 구비시키면 발효기능수행시 보다 정확한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나아가, 발효용기의 내벽둘레에 중공부를 구비시키면 발열수단에서 발생된 열기를 발효용기의 내벽에 골고루 전달시킬 수가 있어서 식품을 균일하게 발효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감온수단은 상기 중공부에 설치하는 것이 양호하다.
접속부재는 발효용기의 측벽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피접속부재는 상기한 접속부재의 설치위치와 관련하여 각각 발효/저장실의 측벽 또는 바닥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측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함몰시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피접속부재가 설치되는 함몰부의 개구에는 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로써, 발효/저장실내의 습기에 의하여 피접속부재가 단락되거나 또는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접속부재 및 피접속부재를 각각 발효용기 및 발효/저장실의 측벽에 설치할 때, 발효용기의 저면에는 활주용 다리를 구비시키고, 발효/저장실의 바닥에는 상기 활주용 다리를 안내하는 요홈을 구비시키면 상기 접속부재를 피접속부재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접속부재는 접속시에는 상기 발효용기의 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분리시에는 상기 발효용기의 벽속으로 후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발효용기의 보관 및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단면구성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기능부 냉장고는 얼음을 만들거나 또는 식품을 0℃ 이하의 저온에서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10)과, 식품을 0℃ 부근의 온도하에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20) 및 김치 등의 발효식품을 수납되는 발효용기(50)가 넣어지는 발효/저장실(30)을 일반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구성에 채소나 과일 등의 식품을 신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야채실(40)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60 및 70은 냉각사이클의 일부를 이루는 압축기 및 열교환기를 나타내며, 80은 냉기를 각각 구획실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나타내고, 31은 발효/저장실(30)내로의 냉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댐퍼를 나타낸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발효/저장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저장실(30)의 후벽상단에는 냉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댐퍼(31)가 설치된다. 댐퍼(31)의 설치위치는 본 발명의 적용에 지장이 없는 한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발효/저장실(30)의 후벽 하단에는 함몰부(32)가 형성되는데, 그 안에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자(33) 및 온도 정보수신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자(34)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전원용 단자(33)를 양측에 두고 온도 정보수신용 단자(34)를 배치하는 것이 양호한데, 이로써 전원용 단자(33)로부터 온도감지용 단자(34)로의 전파간섭을 줄일 수가 있다. 함몰부(32)의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덮개(35)가 설치되는데, 발효/저장실(30) 내부의 습기를 차단하여 전원단자(33)가 단락되거나 또는 누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발효/저장실(30)의 바닥에는 한쌍의 안내요홈(36)이 시설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용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용기(50)의 벽내부에는 외측으로 치우쳐서 발효용기(50)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51)가 배설되고, 벽의 중앙부분에는 내벽과 히이터(51)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57)이 배설된다. 이에 따라 발효용기(50)의 벽 내부에는 내벽과 격벽(57)에 의하여 한정되는 중공부(55)가 구비되는데, 이 중공부(55)는 히이터(51)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발효용기(50)의 내벽에 골고루 전달시켜 김치가 골고루 익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중공부(55)의 내부에는 발효용기(5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온소자(52), 예를들어 써미스터가 설치된다.
발효용기(56)내의 저면에는 발효/저장실(30)의 안내요홈(36)을 활주하는 한쌍의 활주용 다리(56)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효용기(56)의 외벽에는 히이터(51) 및 감온소자(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들이 돌출되어 발효/저장실(30)내의 단자들(33,34)과 일대일로 접속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4a도 및 제4b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 및 피접속부재의 접속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저장실(30)의 함몰부(32)내에서 돌출되는 단자들(33,34)은 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발효용기(50)에 배설된 단자들(53,54)에는 내부에 단자들(33,34)과 접속될 접속홀(53a 및 54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35)는 함몰부(32)의 일측벽에 지지되는데, 평시에는 폐쇄상태로 되고, 압력의 인가시 개방상태가 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숙성될 김치를 발효용기(50)내에 넣고 덮개(도시되지 않음)를 닫은 상태에서 활주용 다리(56)를 발효/저장실(30)의 바닥에 형성된 요홈(36)에 맞춘 후에 발효용기(50)를 밀게되면 단자(53,54)들이 함몰부(32)의 덮개(35)를 밀어젖히고 단자들(33,34)과 접속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기능부 냉장고의 전기적인 제어회로도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회로는 소정의 입력신호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고 제어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0)와,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드라이버 집적회로(IC)를 통해서 발효용기(5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릴레이(RY1)와, 상기 릴레이(RY1)에 의하여 온,오프구동하는 숙성용 히이터(51)와, 상기 발효용기(5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 입력시키는 감온소자(52)와, 상기 발효/저장실(30)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부(120)와, 마이크로프로세서(1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발효/저장실(30)에 냉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댐퍼구동부(110)로 구성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기능부 냉장고의 발효/저장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이하에는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냉장고에 전원을 인가시켜 일반적인 냉동 및 냉장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김치를 숙성시키기 위하여 발효용기(50)의 활주용 다리(56)를 발효/저장실(30)의 안내요홈(36)에 삽입하여 밀여주게 되면, 단자(53,54)들이 함몰부(32)의 덮개(35)를 밀어젖히고 단자들(33,34)과 접속되어 전원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00)의 해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능선택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발효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서는 단계(200)로 가서 댐퍼(31)가 닫혀있는가를 판단한다. 이때, 댐퍼(31)가 열려 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서는 댐퍼구동부(110)를 제어하여 댐퍼(31)를 닫고, 댐퍼(31)가 닫혀 있으면 단계(230)로 가서 히이터(51)를 온시킨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서는 단자(OUT)를 통하여 구동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구동신호는 드라이버 IC(IC)를 경유하여 릴레이(RY1)를 구동시켜서 전원(AC)를 히이터(51)에 연결시키게 된다.
히이터(51)가 온되어 발효용기(50)가 가열된 후에는 단계(240)에서는 숙성시간을 카운트하고, 단계(250)에서는 카운트된 숙성시간을 숙성완료시간과 비교하여 숙성완료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250)에서 숙성완료시간의 미경과시 단계(260)로 진행하여 감온소자(52)로부터 제공된 온도정보에 의거하겨 발효용기(50)의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게 된다.
단계(260)에서의 비교결과, 발효용기(50)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면 단계(280)로 진행하여 히이터(51)를 오프시킨다. 발효용기(50)의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이면 단계(270)로 진행하여 히이터(51)를 온시킨다. 전술한 단계들(210 내지 280)을 반복수행하여 발효용기(50)의 온도를 기준온도로 유지시키는 중에 단계(250)에서 숙성완료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290) 이하를 거쳐서 저장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290)에서는 실내온도감지부(120)를 통하여 발효/저장실(30)의 내부온도를 입력받고 이를 기준온도와 비교한다. 단계(290)에서 비교결과, 발효/저장실(30)의 내부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단계(300)로 진행하는데, 단계(300)에서는 댐퍼구동부(110)를 제어하여 댐퍼(31)를 폐쇄함으로써 발효/저장실(30)내로 유입되는 냉기를 차단시킨다. 냉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발효/저장실(30)의 내부온도가 저장기준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단계(320)로 진행하여 댐퍼(31)를 개방시키게 된다. 전술한 단계들(290 내지 320)을 반복수행함으로써 저장기능이 수행된다. 단계(210)에서 발효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곧장 단계(290)로 진행하여 저장기능을 수행한다. 이것은 발효/저장실(30)이 일반적인 냉장실로도 전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와 피접속부재의 접속전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제7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김치용기(50)에서는 단자(53,54)가 단자(33,34)로부터 분리된 때는 단자 (53,54)가 김치용기(50)의 벽내부로 수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김치용기(50)의 벽내부에는 횡으로 단자수납부(501)가 마련되는데, 단자수납부(501)내에는 단자(53,54) 및 탄성부재(502)가 구비된다. 나아가 단자수납부(501)에인접한 김치용기(50)의 벽내부에는 횡으로 함몰부(505)가 형성되고 함몰부(505)내에는 단자출입 허용부재(506) 및 탄성부재(508)가 수납된다. 단자출입 허용부재(506)는 통체로 이루어지는데, 그 상측면은 소정부분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분의 하부에는 통체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안내편(507)이 마련되어 있다. 단자수납부(501)와 함몰부(505)의 벽은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는 스톱퍼(504)가 삽입되는데, 스톱퍼(504)는 단자출입 허용부재(506)의 전후진시 안내편(505)에 의하여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단자(53,54)가 스톱퍼(504)에 의하여 제지되어 단자수납부(501)내에 수납되어 있을 때 즉, 발효용기(30)가 분리되어 있을 때, 단자출입 허용부재(506)는 발효용기(50)의 외벽면밖으로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상태에서, 발효용기(50)의 활주용 다리(56)를 발효/저장실(30)의 요홈(36)에 맞추고 밀게되면 발효용기(50)가 발효/저장실(30)의 측벽에 부딪쳐서 돌출되어 있던 단자출입 허용부재(506)가 후퇴하면 스톱퍼(504)가 아래로 이동하여 단자(53,54)에 대한 제지가 풀리게되고, 탄성부재(502)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단자(53,54)가 돌출되어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33,34)에 접속되게 된다.
한편 발효용기(50)를 분리시킬 때에는 접속을 푼 후에 단자(53,54) 및 단자출입 허용부재(506)를 동시에 민 상태에서 단자출입 허용부재(506)를 먼저 놓게되면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53,54)들이 단자수납부(501)내로 수납되게 된다.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와 피접속부재의 접속전후의 상태를 보인 도이다.
제8a도 및 제8b도에 보인 실시예에서는, 접속부재, 즉 단자(53' 및 54')가 발효용기(50)의 전면에 돌출 설치되고, 발효/저장실(30)의 바닥에는 함몰부(32')가 마련되는데, 함몰부(32')의 바닥에는 피접속부재인 단자 (33',34')가 돌출 설치된다. 함몰부(32')의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덮개(35')가 구비되는데, 발효용기(30)가 분리되어 있을 때 함몰부(32')의 개구는 폐쇄상태로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발효용기(50)의 단자(53',54')를 발효/저장실(30)의 덮개(35')상에 정렬시킨후 놓게되면 발효용기(50)의 자체무게에 의하여 덮개(35')가 젖혀지면서 단자(53',54')가 단자(33',34')에 접속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기능부 냉장고에 따르면, 발효용기의 벽의 내부에 발열체를 시설함으로써 발효기능수행시 인접한 타실의 온도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단열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냉장고의 유효내용적을 크게할 수 있으며, 고장시 발효용기 자체를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고장원인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발효용기가 수납되는 발효/저장실을 구비하여 발효식품을 발효, 또는 저장할 수 있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벽에 내장되어 발효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수단과, 상기 발효용기에 구비되고 상기 발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재 및 상기 발효/ 저장실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재와 접속되어 상기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피접속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에는 내벽과 발열수단을 격리시키기 위한 격벽과, 상기 내벽에 의해 한정되는 중공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기 중공부에는 온도감지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발효용기 및 상기 발효/저장실에는 각각 상기 온도감지소자로부터의 온도정보를 전기적으로 수수하기 위한 접속부재 및 피접속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발효 용기의 측벽에 출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접속부재는 상기 발효/저장실의 측벽에 횡으로 형성된 함몰부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저면에는 활주용 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발효/저장실의 바닥에는 상기 활주용 다리를 인도하여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피접속부재에 안내하는 요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발효용기의 저벽에 출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접속부재는 상기 발효/저장실의 바닥에 형성된 함몰부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40017306A 1993-07-18 1994-07-18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012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306A KR0123411B1 (ko) 1993-10-22 1994-07-18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US08/325,028 US5752568A (en) 1993-07-18 1994-10-18 Refrigerator having a compartment for fermenting food and a food container for use therewith
JP25645494A JP2637701B2 (ja) 1993-10-22 1994-10-21 食品の醗酵機能付き冷蔵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22017 1993-10-22
KR930022017 1993-10-22
KR1019940017306A KR0123411B1 (ko) 1993-10-22 1994-07-18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16A KR950012016A (ko) 1995-05-16
KR0123411B1 true KR0123411B1 (ko) 1997-11-15

Family

ID=2662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306A KR0123411B1 (ko) 1993-07-18 1994-07-18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52568A (ko)
JP (1) JP2637701B2 (ko)
KR (1) KR01234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193A (ko) * 2003-12-31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숙성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저장용기
KR100882478B1 (ko) * 2003-01-25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요구르트 제조장치
KR20160055644A (ko) *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93C (zh) * 1994-12-20 2002-05-15 万都空调株式会社 朝鲜泡菜的贮藏装置以及利用该装置发酵朝鲜泡菜的方法
KR19990033987A (ko) * 1997-10-27 1999-05-15 최진호 발효식품 저장고의 저장 제어방법
KR100342257B1 (ko) * 2000-07-05 2002-07-02 윤종용 김치냉장고
CN1283963C (zh) * 2002-06-28 2006-11-08 三星电子株式会社 泡菜冰柜
GB2397638A (en) * 2003-01-23 2004-07-28 J Swinden Refrigerator
US20060218951A1 (en) * 2005-03-31 2006-10-05 Robertshaw Controls Company Rotary air damper with shutoff bypass
KR101668703B1 (ko) * 2010-07-20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30098623A (ko) * 2012-02-28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20200095532A1 (en) * 2015-02-04 2020-03-26 Alchema Inc. Fermentatio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ermentation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215A (en) * 1904-05-23 1905-08-15 Henry G Osborne Plug-box for electric circuits.
US1060011A (en) * 1911-08-12 1913-04-29 Metropolitan Electric Mfg Co Flush receptacle.
US1552813A (en) * 1923-01-12 1925-09-08 Amman George Electric household iron
US1649506A (en) * 1925-10-08 1927-11-15 Cannon Engineering Co Electric iron
US2253971A (en) * 1940-03-09 1941-08-26 Gen Electric Food storage receptacle
US2311446A (en) * 1941-06-28 1943-02-16 Gen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US2375714A (en) * 1942-09-03 1945-05-08 Gen Electric Butter conditioner
US2681972A (en) * 1952-11-28 1954-06-22 Holland Jesse Harold Thawing device
US3505499A (en) * 1968-04-04 1970-04-07 Siemens Ag Device for thermal processing of disc shaped objects for semiconductors
US3736981A (en) * 1971-08-20 1973-06-05 Minnesota Mining & Mfg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cooking foodstuffs in a refrigerated environment
DE3604764A1 (de) * 1986-02-14 1987-08-20 Dynamit Nobel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S6461683A (en) * 1987-09-01 1989-03-08 Toshiba Corp Boiling water reactor
KR0129521B1 (ko) * 1990-10-15 1998-04-08 강진구 김치발효 및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US5408071A (en) * 1992-06-11 1995-04-18 Atd Corporation Electric heater with heat distributing means comprising stacked foil layers
US5398599A (en) * 1992-08-19 1995-03-21 Goldstar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asoning of kimchi in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78B1 (ko) * 2003-01-25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요구르트 제조장치
KR20050071193A (ko) * 2003-12-31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숙성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저장용기
KR20160055644A (ko) *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601881B2 (en) 2014-11-10 2017-03-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08148A (ja) 1995-11-28
JP2637701B2 (ja) 1997-08-06
KR950012016A (ko) 1995-05-16
US5752568A (en) 199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3411B1 (ko) 식품의 발효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0129521B1 (ko) 김치발효 및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KR0125727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9081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940020075A (ko) 냉장고
KR100323340B1 (ko) 냉장고
CN112393498B (zh) 风冷冰箱的控制方法与风冷冰箱
JPH0755319A (ja) 冷蔵庫
KR100750251B1 (ko) 요구르트 제조장치를 가지는 김치냉장고 및 그에 의해요구르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어방법
KR100672564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JPH07198242A (ja) 貯蔵庫
KR100719246B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냉각 장치 및 도어의 냉각 제어 방법
KR100321248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JPH10332242A (ja) 冷蔵庫
KR100269459B1 (ko) 김치저장고의 구동제어방법
CN102788468B (zh) 具有风扇的家用制冷器具
JPH02130381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0160812B1 (ko) 김치 저장고
KR20000055094A (ko) 김치저장고의 냉장보관방법
KR100456409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제어방법
KR20040062790A (ko) 김치냉장고의 숙성장치
JPH08303943A (ja) 冷凍冷蔵庫
KR101072449B1 (ko) 양문형 냉장고의 야채실 온도 독립제어장치
KR100744509B1 (ko) 보온서랍의 히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713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