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377B1 -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377B1
KR0123377B1 KR1019950028735A KR19950028735A KR0123377B1 KR 0123377 B1 KR0123377 B1 KR 0123377B1 KR 1019950028735 A KR1019950028735 A KR 1019950028735A KR 19950028735 A KR19950028735 A KR 19950028735A KR 0123377 B1 KR0123377 B1 KR 012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ller
thread
embroidery
fron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829A (ko
Inventor
권외태
Original Assignee
권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외태 filed Critical 권외태
Priority to KR101995002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377B1/ko
Publication of KR97001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2Machin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05B49/04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인 자수무늬를 수놓을 수 있는 자수기 및 자수방법이다. 앞실을 나르는 자수바늘과 북실을 나르는 샤틀을 상호연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앞실의 텐션을 조정하는 에머리롤러를 가진 자수기로서, 상기 에머리롤러의 롤러 축과 역회전 방지 클러치의 제1축을 연결하고, 상기 역회전 방지 클러치의 제2축에 미세한 각도만큼만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기를 연결하여, 볼륨이 융털처럼 소프트한 입체적인 무늬를 수놓을 경우에는 통상 자수바늘에 의하여 끌려가는 실의 길이 이외에 상기 구동기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의 실을 추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샤틀자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제 2 도는 샤틀레일과 샤틀의 동작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 도는 일부 에머리롤러의 측면도.
제 4 도는 에머리롤러의 일단에 설치된 브레이크 장치와 순간회전정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 도는 에머리롤러의 일단에 설치된 브레이크 장치와 순간회전정지 장치의 일부 단면도.
제 6 도는 에머리롤러의 일단에 설치된 순간회전장치의 일부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자수기의 앞실공급 장치를 보인 블록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클러치 장치인 역회전 방지 베어링의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클러치 장치인 래치트장치의 단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에머리롤러의 일부분 측면도.
제 11 도는 종래의 자수기와 종래의 방법으로 자수 놓은 자수패턴의 모양 및 일부 단면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자수기와 방법으로 자수놓은 자수패턴의 모양 및 일부 단면도.
본 발명은 자수방법, 자수기의 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앞실을 일정한 량만큼 과다하게 공급하므로서 자수무늬가 융털모양으로 되어서 입체감이 강조되도록 한 자수기, 자수방법,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繡) 또는 자수(刺繡 : Embroidery)를 놓는 자수기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고안된 자수기(Shuttle Embroidery Machine)는 제1도에 개략적으로 보인 바와같은 측면을 가진다.
기계화된 자수기에서는 자수를 놓는 북과 바늘로 된 단위자수유니트들이 수백개 이상 나란히 설치되어서 일시에 많은 양의 자수무늬를 수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수를 놓는 기본 유니트인 하나의 바늘과 하나의 북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자수기에서의 앞실(바늘에 끼어지는 실)과 북실(북, 샤틀 내에서 공급되는 실)의 상호 작용은 일반적인 미싱에서는 앞실과 북실의 상호 작용과 유사하다. 즉 바늘(니들)에 의하여 앞실이 천과 같은 자수 놓을 대상물을 전면에서 관통하여 그 후면으로 이동된 후에 바늘이 후진하면 앞실의 후크가 발생된다. 이때 이 후크 속으로 샤틀(북)이 통과하여 앞실과 북실이 서로 교차된 후 바늘이 다시 전면으로 나오면 앞실이 자수 대상물의 이면에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북실과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천을 이동하면서 계속되어서 자수가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앞실(바늘실)은 실타래(보빈)(2)에서 풀려서 에머리롤러(3)를 한 바퀴 또는 두세 바퀴 감겨진 후, 프레임에 설치된 안내로드(4)의 지지를 받으면서 스몰텐션바(5)와 라지텐션바(6)에 걸린 다음 바늘(10)에 끼워져서 자수 동작위치에 있게 되고, 북실은 샤틀(7)내의 실타래에서 풀려서 샤틀 밖으로 나와 자수동작위치로 있게 된다. 그리고 자수를 놓는 대상물(주로 천 ; 이하 천이라 한다)이 바늘 전단의 정위치에 설치되고 나면 푸레셔(9)가 천을 눌러서 자수위치에 있게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이 천은 수놓을 때 수 모양에 따라 천을 이동시키기 위한 천 이동기구에 결합된다. 이 천 이동기구는 자카드 장치에 의하여 천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경로로 앞실과 북실이 준비되면, 자수기 전체의 시스템이 동작되기 시작하여, 바늘(10)이 전진하여 앞실을 천 이면으로 이동시킨 후,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샤틀(7)이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다가 샤틀이동기구(11)의 구동으로 인하여 샤틀레일(북집)(14)을 타고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동작은 측면에서 보면,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틀(7)이 샤틀이동기구의 상단핀과 하단핀(12,13)에 의하여 실선의 위치에서 점선의 위치로 움직이는 것과 같다.
이렇게하여 앞실의 후크 안으로 북실을 넣어서 서로 교차시키고, 바늘이 전면으로 원위치 되면서 앞실도 스몰텐션바와 라지텐션바의 작용에 의하여 앞면으로 당겨져서 앞실과 북실이 적당한 텐션으로 서로 당겨진 후 원래의 준비 상태처럼 되게 한다. 이렇게 한 후 천이동기구가 자카드장치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난 다음 다시 처음과 같은 동작이 되풀이되어 앞실과 북실이 천 이면에서 서로 교차되므로서 소망하는 무늬의 수가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자수과정에서 앞실과 북실의 텐션은 자수의 결과와 실의 절단에 관계가 깊으므로 이의 조정은 매우 중요하다.
북실의 텐션은 샤틀에 있는 북실 텐션 조정판을 이용하여 조정한다. 그리고 앞실의 텐션은 에머리롤러(3)의 롤러 표면천의 종류와 이 롤러에 감기는 실의 감는 회수에 의하여 조정된다. 또한 앞실의 텐션은 스몰텐션바 및 라지텐션바를 동작시키는 텐션감과 록킹기어캄을 조정하여 텐션을 조정한다.
앞실의 텐션은 에머리롤러(3)가 큰 역할을 하는데, 이 에머리롤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분 에머리롤러(31,32,33)가 다수개 축(34)으로 연결되어 연동된다. 부분에머리롤러의 연결부분에는 프레임에 부착된 메탈베어링(35)이 축(34)을 지지하고 있다.
에머리롤러는 부분에머리롤러들의 결합체에머리롤러인데, 이 에머리롤러의 일측 단부에는 에머리롤러의 회전시 회전저항을 가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50)와 순간회전정지장치(록킹기어장치)(60)가 축(34)에 연결 되어 있다.
브레이크장치(50)는 축(34)에 부착된 브레이크드럼(51)에 브레이크라이닝(52)이 브레이크레버에 부착되고, 이 레버는 핀(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55)에 의하여 일정한 힘으로 브레이크라이닝(52)을 브레이크드럼에 당겨서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을 방해하도록 결합된다.
그래서 스프링(55)의 당기는 힘의 크기에 따라 브레이크드럼(51)이 받는 회전저항이 달라지게 되고, 미리 세팅된 스프링 힘이 일정하게 가하여지고 있으면 일정한 회전저항을 받아서 측(34)에 결합된 에머리롤러가 앞실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어 앞실의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순각회전정지(록킹기어)장치(60)는 축(34)에 치차(61)가 부착되고 이 치차에는 정지편(62)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정지편(62)은 핀(63)에 부착되어 있고, 정지편(62)는 메인축에 결합되어 있는 록킹캄과 로드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는데, 이 정지편의 상하운동에 따라 정지편(62)이 치차(61)에 결합되면 치차의 회전이 정지되고, 따라서 축(34)에 결합된 부분에머리롤러들이 축(4)이 정지하면 에머리롤러도 회전이 정지된다. 순간회전정지장치는 자수무늬의 넓이에 따라 사용되는데 대체로 짧은 스팃치(땀수)로 수놓을 때 사용된다.
이렇게 에머리롤러가 완전히 정지하면 앞실은 정지된 에머리롤러의 면과 마찰되면서 이동되어야 하므로 텐션이 매우 커져서 앞실의 이동은 정지된다.
이렇게 앞실과 북실이 적당한 텐션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당겨주고 있게되면, 예로서 제 11 도 a와 같은 꽃모양의 자수가 놓여진 것이라면 그 단면이 대략 제11도 b와 같이된다. 즉 천(8)의 전면과 후면에 앞실(1)과 북실(1')이 적당한 장력을 가지고 서로서로 당겨주고 있어서 천에 앞실과 북실이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자수기와 자수 방법으로 자수를 놓으면 무늬 모양이 평면 또는 딱딱한 입체감을 주는 무늬로만 자수되어서 입체감이 적고 부드럽지 못하며, 염색 후 두가지 명암을 나타낼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수를 놓는 후의 자수무늬가 천의 앞면과 이면에서 필요한 높이 만큼 부풀어져서 볼륨이 융털처럼 소프트한 입체적인 무늬를 수놓을 수 있는 자수기 및 자수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실을 나르는 자수바늘과 북실을나르는 샤틀을 상호연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앞실의 텐션을 조정하는 에머리롤러를 가진 자수기로서, 상기 에머리롤러의 롤러 축과 역회전 방지 클러치의 제1축을 연결하고, 상기 역회전 방지 클러치의 제2축에 미세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기를 연결하여, 볼륨이 융털처럼 소프트한 입체적인 무늬를 수놓을 경우에는 통상 자수바늘에 의하여 끌려가는 실의 길이 이외에 상기 구동기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의 실을 추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클러치는 상기 에머리롤러의 축에 연결된 종동축은 제1방향으로는 자유스럽게 회전이 되지만 제2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고, 상기 구동기에 연결된 클러치의 원동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축도 같은 각도 만큼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축의 전체 회전각도는 앞실의 끌림에 의한 종동축의 회전 각도와 구동기에 연결된 원동축의 회전각도를 합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클러치는 원동축과 종동축사이에 역회전 방지 베어링을 삽입하여 제작하여도 되고, 래칫휠과 스토퍼를 원동축과 종동축에 결합시켜서 제작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실을 나르는 자수바늘과 북실을 나르는 샤틀을 상호 연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자수기에 있어서, 텐션을 조정하며 앞실을 공급하는 앞실 공급장치로서, 프레임에 부착된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 축과, 상기 롤러 축에 결합된 다수의 부분에머리롤러와, 상기 롤러 축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축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을 가하는 브레이크장치와 앞실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공급되는 실의 길이보다 일정한 길이의 실을 더 공급하도록 상기 롤러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동장치는 구동기의 구동기축과 상기 롤러축사이에 설치한 역회전방지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롤러축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순간회전정지장치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앞실을 나르는 자수바늘과 북실을 나르는 샤틀을 상호 연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앞실의 텐션을 조정하는 에머리롤러를 이용하여 앞실을 과잉공급할 수 있도록 된 자수기를 이용하여 자수를 놓는 방법으로서, (1) 앞실이 자수 바늘과 자수기의 메커니즘에 의하여 끌려가면서 자연스럽게 에머리롤러를 회전시키는 단계, (2) 에머리롤러의 회전이 정지된 후 에머리롤러 구동기를 동작시켜 소정각도 만큼 에머리롤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단계만을 수회 반복한 후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거나,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수회 반복한 후에 상기 제(1)단계를 수회 반복하여 자수를 놓으면 더욱 입체감이 나는 패턴을 얻을 수가 있다.
제 7 도 내지 제 12 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인데, 여기에 보인 바와같이 본 장치에는 에머리롤러(31)의 롤러축(34)에 브레이크장치(50), 순간회전정지장치(60), 역회전방지클러치(70), 및 구동기모터(80)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장치 및 순간회전정지장치(60)는 종래의 기술과 같은 구조와 기능의 것을 이용한다.
역회전 방지 클러치(70)는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역회전 방지 클러치로서 역회전 방지 베어링을 사용하면 되는데, 이는 제 8 도의 a 및 b도에 그 단면을 보인 바와 같다. 이러한 역회전 방지 베어링은 제품화되어 이미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데 그 구성과 작용을 대략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베어링은 특수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와륜(83), 롤러(니들 롤러)(84), 보지기(Retainer)(85), 및 스프링(86)으로 구성된다. 외륜(83)은 롤러(84)하나당 롤러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수용홈은 제1방향(종동축과 외륜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외륜과 종동축(81)이 움직일 때는 롤러(84)가 여유있게 수용되도록 홈의 깊이가 깊게 되어 있고,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스프링(86)에 의하여 밀려서 종동축과 외륜이 완전히 밀착되어서 회전할 수 없도록 수용홈이 얕아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86)은 판스프링으로서 보지기(85)에 그 일측이 접촉되고 타측은 롤러(84)를 얕은 수용홈 쪽으로 니들 롤러(84)를 밀어 주도록 롤러에 접촉되고 있다. 보지기는 종래의 롤러 베어링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것이고, 베어링은 내륜은 없다. 그래서 종동축(81)이 보통 베어링에서의 내륜과 같이 니들롤러에 직접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종동축(81)은 특수강을 재료로 하여 정밀가공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어서 외륜과 종동축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즉 외륜이 정지하고 있고 종동축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종동축이 정지하고 있고 외륜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하면 롤러(84)들은 깊은 수용홈 쪽으로 이동되면서 미끄럼접촉과 구름접촉을 하면서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외륜이나 종동축이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스프링(86)이 항상 롤러(84)를 얕은 수용홈 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왼륜과 니들롤러 및 종동축은 완전히 밀착되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물로 이때 매우 큰 힘으로 역회전시키면 어느 정도는 미끄러지다 결국 외륜이 파괴되고 만다.
그래서 에머리롤러의 축에 종동축을 연결하면 제1방향(화살표로 가리킨 방향)으로는 자유스럽게 회전이 되지만 제2방향(그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구동기에 연결된 클러치의 원동축은 외륜과 일체로 결합시켜서 역시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되 제2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종동축의 회전한 전체의 회전각도는 종동축 자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한 각도와 구동기에 연결된 원동축의 회전각도를 합친 각도와 같이 된다.
다음으로 이 클러치(70)는 제 9 도의 a 및 b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래칫휠과 스토퍼를 이용한다.
구동기(80)의 축에 일체로 결합된 원동축(92)은 래치트휠의 역할을 하는데 그 내측에 래치트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트휠 내측에는 종동축역할을 하는 스토퍼어셈블리가 위치한다. 이 스토퍼어셈블리에는 그 일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되고 스토퍼(93)가 핀(95)으로 결합되며 스프링(94)삽입되어서 스토퍼(93)를 항상 외측으로 밀어주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래치트휠과 스토퍼어셈블리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역회전방지 베어링의 동작과 같이 원동축과 종동축을 제1방향으로는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지만 그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종도축(스토퍼어셈블리)이나 원동축(래치트휠)이 제 9 도b에 도시된 바 화살표방향(제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토퍼는 톱니에 의하여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눌리어져서 회전을 허용한다. 그러나 스토퍼어셈블리이나 래치트휠이 제 9 도b에 도시된 바 화살표방향(제1방향)과 반대방향(제2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토퍼는 스프링 힘에 의하여 밀려 나와서 톱니사이의 골에 파고들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 구조에서는 역회전하는 각도가 어느 정도 발생되는데 이 역회전각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는 래치트휠의 톱니 수를 많게 하면 되고, 또 이와 더불어 래치트휠과 스토퍼어셈블리를 두세트이상 설치하여 톱니의 위상을 서로 다르게 위치시키면 역회전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두세트를 설치할 것이면 톱니의 위상을 반반으로 서로 엇갈리게 위치시키고, 2세트이면 1/3씩 엇갈리게 위치시키면 된다.
이 클러치는 원동축에 스토퍼어셈블리를 연결하고 종동축에 래칫휠을 연결하여도 됨은 물론이고 래치트휠을 내측에 위치시키고 스토퍼를 외측에 위치시켜도 된다.
구동기는 위상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나 서보모타(servomotor)를 사용하여 원동축의 회전을 필요한 타이밍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구성한다. 이러한 구동기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되는데, 자수패턴 대로 자수가 되도록 제어하는 쟈카드장치나 컴퓨터제어장치에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스텝모터나 서보모타를 소정시간 만큼만 구동되도록 하면 된다. 그래서 회전각도를 0.36도 정도의 미세한 각도에서 부터 360이상까지도 자유스럽게 조정할 수가 있다.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에머리롤러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에머리롤러는 부분에머리롤러(31,32,33)가 다수개 축(34)으로 연결되어 연동되어, 부분에머리롤러의 연결부분에는 프레임에 부착된 베어링(35)이 축(34)을 지지하고 있으며, 에머리롤러는 부분에머리롤러들의 결합체인 점까지는 종래의 것과 같고,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베어링 축 받침부근에 스프링걸이구(36) 나사(37)로 부착하고, 이 스프링 걸이구에 앞실안내스프링(38)을 걸어서 에머리롤러의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앞실안내스프링을 추가로 설치한다.
이 앞실안내스프링은 에머리롤러에 감기는 앞실을 안내하고 앞실이 과잉공급될 때에도 서로 엉키거나 처져서 앞실이 말려들어가 끊어지는 부작용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앞실안내스프링의 작용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스프링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것으로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을 사용하여도 된다. 즉 앞실이 나사봉의 나사골과 에머리롤러를 일회이상 감고 지나감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앞실이 서로 엉키거나 처져서 말려들어가 끊어지는 부작용을 없애주는 역할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앞실공급장치는 제 7 도의 구성을 포함하는데, 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수기에서 앞실은 자수바늘에 끼워져서 자수동작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 끌려가므로 앞실이 감겨진 에머리롤러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에머리롤러축은 역회전방지클러치의 종동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방향으로 자유스럽게 회전하여 자수바늘에 의한 앞실의 공급은 필요한 길이만큼 공급되게 된다.
구동기의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앞실은 자수바늘의 당김으로 인한 량만큼(엄격히는 자수기의 전체 메커니즘이 요구하는 실의 길이만큼 끌려간다)공급이 되어서 종래의 자수방법과 같이 자수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방법에서 앞실이 공급된 후 앞실의 공급이 정지되고 있는 시간 동안에 구동기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하여 에머리롤러를 소정 각도 만큼만 회전시키면 앞실의 공급이 1밀리미터 내지 5밀리미터 정도 더 공급이 된다. 자수무늬의 입체감을 증가시키는 볼륨높이는 구동기의 회전각도 설정에 따라 0 내지 100밀리미터 정도까지 앞실을 과잉공급하여 조정이 가능하다. 자수바늘이 자수를 놓는 매번의 과정마다 구동기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되풀이하거나 아니하거나 하면 동작결과 놓여진 자수모양이 제 12a 및 b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입체감이 확실하게 구현되는 자수 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제 12 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자수를 놓을 대상물(천)(23)에 북실(21)은 고정된 텐션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지만 앞실(20)은 과잉공급되어 있으므로 완전히 당겨지지 아니한 채로 남게 되어 부풀어져 있게 되면 전체적으로 이렇게 부풀어진 부분이 있게 되어 입체적으로 자수가 놓이게 된다.
앞실을 부풀리게 하고자 하는 개소는 자카드 장치이프로그램 문지나 컴퓨터제어장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면 쉽게 실현시킬 수가 있다.
즉 꽃모양의 자수를 놓는 경우에 꽃 모양의 가장자리부분을 수놓을 때는 구동기를 구동하지 아니하여 종래의 방법대로 앞실이 적당한 텐션으로 당겨지게 하고, 꽃 모양의 중앙부분을 자수할 때는 구동기를 동작시켜서 앞실의 공급을 소정길이 만큼 더 공급되게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수기 및 앞실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으로 자수를 놓게 되면 종래의 자수 패턴보다 입체감이 뛰어난 자수 패턴을 얻을 수가 있어서 자수 제품의 고급화를 기할 수 있다.

Claims (17)

  1. 앞실을 나르는 자수바늘과 북실을 나르는 샤틀을 상호연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앞실의 텐션을 조정하는 에머리롤러를 가진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에머리롤러의 롤러축과 역회전 방지 클러치의 제1축을 연결하고, 상기 역회전 방지 클러치의 제2축에 미세한 각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기를 연결하여, 입체적인 무늬를 수놓을 경우에는 통상 자수바늘에 의하여 끌려가는 실의 길이 이외에 상기 구동기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의 실이 추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자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에머리롤러의 축에 연결된 종동축은 제1방향으로 자유스럽게 회전이 되지만 제2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고, 상기 구동기에 연결된 클러치의 원동축의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축도 같은 각도만큼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축의 전체 회전각도는 앞실의 끌림에 의한 종동축의 회전각도와 구동기에 연결된 원동축의 회전각도를 합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자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원동축과 종동축사이에 역회전 방지 베어링을 삽입하여 결합시킨 것이 특징인 자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원통축에 연결된 래칫휠과 종동축에 연결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인 자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원동축에 연결된 스토퍼와 종동축에 연결된 랫치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머리롤러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앞실안내스프링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
  7.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머리롤러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앞실안내용 나사봉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
  8. 앞실을 나르는 자수바늘과 북실을 나르는 샤틀을 상호연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자수기에 있어서, 텐션을 조정하며 앞실을 공급하는 앞실공급장치로서, 프레임에 부착된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결합된 다수의 부분에머리롤러와, 상기 롤러축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축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을 가하는 브레이크장치와 앞실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공급되는 실의 길이보다 일정한 길이의 실을 더 공급하도록 상기 롤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기와, 이 구동기의 축과 상기 롤러축사이에 설치한 역회전 방지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원동축과 종동축을 가지고, 상기 종동축은 에머리롤러의 롤러축에 연결되고, 상기 종동축은 제1방향으로는 자유스럽게 회전되지만 제2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고, 상기 원동축은 구동기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원동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축도 같은 각도만큼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축의 전체 회전각도는 앞실의 끌림에 의한 종동축의 회전각도와 구동기에 연결된 원동축의 회전각도를 합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원동축과 종동축사이에 역회전 방지 베어링을 삽입하여 결합시킨 것이 특징인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원동축에 연결된 래칫휠과 종동축에 연결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동되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원동축에 연결된 스토퍼와 종동축에 연결된 래칫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축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순간회전정지장치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15. 앞실을 나르는 자수바늘과 북실을 나르는 샤틀을 상호연동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앞실의 텐션을 조정하는 에머리롤러를 이용하여 앞실을 과잉공급할 수 있도록 된 자수기를 이용하여 자수를 놓는 방법에 있어서, (1) 앞실이 자수 바늘과 자수기의 메커니즘에 의하여 끌려가면서 자연스럽게 에머리롤러를 회전시키는 단계, (2) 에머리롤러의 회전이 정지된 후 에머리롤러 구동기를 동작시켜 소정각도 만큼 에머리롤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자수 놓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만을 수회 반복한 후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특징인 자수 놓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수회 반복한 후에 상기 제(1)단계를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특징인 자수놓는 방법.
KR1019950028735A 1995-09-04 1995-09-04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KR012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735A KR0123377B1 (ko) 1995-09-04 1995-09-04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735A KR0123377B1 (ko) 1995-09-04 1995-09-04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829A KR970015829A (ko) 1997-04-28
KR0123377B1 true KR0123377B1 (ko) 1997-11-27

Family

ID=1942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735A KR0123377B1 (ko) 1995-09-04 1995-09-04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89B1 (ko) * 2004-11-09 2007-02-27 (주) 인브로 자수기용 윗실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829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6895B2 (en) Tufting machine and process for variable stitch rate tufting
DE60004221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versierungsfadens oder -band auf einem gewebe in einer steppmaschine
ATE219176T1 (de) Kettfadenkontroll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rehgewebe auf webmaschinen
US3421929A (en) Tufting mechanism,method,stitches and article
DE2531734A1 (de) Fadenfuehrung an maschenbildenden maschinen mit umlaufenden fadenfuehrern
DE2621759C3 (de) Tuftingvorrichtung
KR0123377B1 (ko) 자수방법, 자수기 및 자수기의 앞실 공급 장치
KR930010999B1 (ko) 자수기용 장치
US4373457A (en) Feed arrangement for textile machines
EP066635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icken auf einer Schiffchens-Stickmaschine
DE2226483A1 (d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Bahngreifer einer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US5347941A (en) Looper thread guiding mechanism for facilitating the looper thread setting to a looper
KR850008692A (ko) 자수기의 루퍼 구동장치(Looper driving system)
JPS6241355A (ja) 傾斜糸を編み込むための経編機
JPS60104565A (ja) 円形平編機用糸口
JPH0635701B2 (ja) タフテッド機
JP2700173B2 (ja) 刺繍装置
KR950007654Y1 (ko) 자수기에서의 장식사 공급장치
KR200209913Y1 (ko)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US3463102A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s
GB2216553A (en) Tufting machine yarn feed control system
JP2002177675A (ja) ゴム糸縫付けミシン
JPS6094657A (ja) たて編方法及びたて編機
KR900001834Y1 (ko) 봉착(逢着)기계에 있어서의 옷감의 늘어짐 방지장치
KR101797452B1 (ko) 동심 구조에 의하여 선택적 봉착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