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102Y1 - 힌지구조체 - Google Patents

힌지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102Y1
KR0123102Y1 KR2019950002010U KR19950002010U KR0123102Y1 KR 0123102 Y1 KR0123102 Y1 KR 0123102Y1 KR 2019950002010 U KR2019950002010 U KR 2019950002010U KR 19950002010 U KR19950002010 U KR 19950002010U KR 0123102 Y1 KR0123102 Y1 KR 0123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air
brackets
bracket
hing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126U (ko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2019950002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102Y1/ko
Publication of KR960029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조립체 또는 프레임 본체가 절첩가능한 구조로된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힌지구조체는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부재를 상대회동가능하게 상호결합하는 힌지구조체로서, 일측의 부재에 돌출된 한쌍의 대향한 힌지브라켓과, 타측의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을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힌지브라켓 수용체를 가지며,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 수용체는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을 수용하는 핀수용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탄성적 내향변형을 수반하여 상호조립이 가능한 힌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 사이에 삽이되는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의 내향변형을 저지하는 삽입지지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힌지구조체에 의해 힌지핀이 설치된 힌지브라켓의 작동중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힌지구조체
제1도(a) 및 (b)는 종래 힌지구조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에서의 측단면도,
제2도(a) 및 (b)는 본 고안에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체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b)는 (a)의 결합상태에서의 힌지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a) 및 (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5도(a),(b) 및 (c)는 본 고안의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a) 및 (b)는 힌지구조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된 힌지브라켓 및 힌지브라켓 수용체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부재를 상대희동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힌지구조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에 설치되며 힌지핀(44)이 마련된 한쌍의 돌출된 힌지브라켓(50)과, 또한 회동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힌지브라켓(50)을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면서 힌지핀(44)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핀수용공(47)이 형성된 힌지브라켓 수용체(48)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회동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브라켓 수용체(48)를 힌지브라켓(50)의 힌지핀(44)에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40)에 설치된 힌지브라켓(50)의 탄성적 내향변형을 이용하여 힌지브라켓(50)과 힌지브라켓 수용체(48)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체(40)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브라켓(50)은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호결합된 후 작동중에 힌지핀(44)이 설치된 힌지브라켓(50)은 그 사이에 양측 브라켓을 지시하는 별도의 지지구가 없어, 회동부재(30)에 편심력이 작용하게 되면, 힌지브라켓(50)이 용이하게 파손될뿐만 아니라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힌지핀(44)이 설치된 힌지브라켓(50)이 용이하게 내향변형되어 힌지브라켓 수용체(48)로부터 힌지브라켓(50)의 힌지핀(44)이 용이하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중 힌지브라켓의 탄성변형을 방지하여 힌지조립체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힌지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대희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부재를 상대희동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힌지구조체로서, 일측의 부재에 돌출된 한쌍의 대향한 힌지브라켓과, 타측의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을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힌지브라켓 수용체를 가지며,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 수용체는 상기 힌지브라켓 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을 수용하는 핀수용홈에 의해 상호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탄성적 내향변형을 수반하여 상호조립이 가능한 힌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의 내향변형을 저지하는 삽입지지체를 포함하는 힌지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브라켓 사이에 삽입된 상기 삽입지지체는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과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 접촉면을 갖도록 하여 상기 회동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변위 불가능한 구조로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호 상이한 실시예에서 동이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2도(a) 및 (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체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2도(a)를 참조하면, 본체(40)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20)은 본체(40)의 일측에 한쌍의 힌지브라켓(20)이 입설되어 있고, 상기 힌지브라켓(20)에는 선단경사부를 갖는 힌지핀(21)이 회동축방향으로 외향돌설되어 있다. 또한 힌지브라켓(20)의 내벽에는 회동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기부(25)가 마련되어 있고, 힌지브라켓(20)의 목부에는 한쌍의 삽입홈(2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힌지브라켓(20)은 본체(40)와 별개로 마련하여 이를 회동부재의 일측에 고정할 수도 있다.
참조번호 10은 힌지브라켓(20)의 양측 브라켓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지지체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체(10)의 외형은 양측 힌지브라켓(20)이 완전히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힌지브라켓(20)의 외형과 동일한 단면의 개구부(13)를 갖고 중앙부에 격판(14)을 갖는 외통(12)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통(12)의 중앙 격판(14)에는 힌지브라켓(20)의 내벽에 돌설된 돌기부(25)가 삽입지지될 수 있도록 수용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12)의 하부에는 힌지브라켓(20)의 목부에 형성된 삽입홈(23)에 탄성적으로 삽착될 수 있도록 걸림후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10)를 힌지브라켓(20)의 상부에서 끼우게 되면, 지지체(10) 하부의 걸림후크부(15)가 힌지브라켓(20)의 삽입홈(23)에 탄성적으로 삽착되어 힌지브라켓(20) 사이에 지지체(10)가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구조체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힌지브라켓(20)에 회동축방향으로 외향설치된 힌지핀(44)에, 회동부재(30)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브라켓 수용체(48)의 양측 힌지브라켓(20)에 형성된 핀수용홈(47)이 힌지브라켓(20)의 탄성적 내향변형을 수반하여 상호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힌지핀(44)의 선단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립시 힌지브라켓 수용체(48)에 의하여 힌지핀(44)에 작용하는 힘은 힌지브라켓(20)을 용이하게 내향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브라켓(20)과 상기 힌지브라켓 수용체(48)를 상호결합 시킨 후 힌지브라켓(20)의 양측 브라켓 사이에 회동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상부에서 지지체(10)를 삽착시켜 힌지브라켓(2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10)가 힌지브라켓(20) 사이에 삽착된 상태에서는 힌지브라켓(20)이 지지체(10)에 의하여 지지되어 힌지구조체의 작동중에 회동부재의 편심 회전력으로 인한 힌지브라켓(20)의 내향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힌지브라켓(2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25)는 지지체(10)의 외통(12)의 중앙 격벽(14)에 형성된 수용홈(14a)에 삽착지지되어 힌지브라켓(20)은 회동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어 힌지브라켓(20)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3도(a) 및 (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힌지브라켓(20)에 마련되는 삽입홈(26)을 힌지브라켓(20)의 내벽에 마련된 돌기부(25)의 하부에 형성하며, 힌지브라켓(20)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체(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착되는 걸림후크부(16)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브라켓(20)의 상부에서 지지체(10)를 삽입하게 되면, 힌지브라켓(20)의 탄성적 외향변형을 수반하여 상호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지지체(10)의 걸림후크부(16)는 힌지브라켓(2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25)의 하부 삽입홈(26)에 결려 지지체(10)가 이탈되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힌지브라켓(2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25)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후크부(27)를 마련하고, 힌지브라켓(20) 사이에 삽입지지되는 지지체(10)에 삽입홈(18)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5도(a),(b) 및 (c)는 힌지브라켓(20)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체(10)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삽입홈부의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힌지브라켓 사이에 삽입지지되는 지지체는 회동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6도(a) 및 (b)는 힌지구조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된 힌지브라켓 및 수용체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도(a)를 참조하면 힌지브라켓(20)을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힌지브라켓 수용체(48)를 회동부재(48)내에 함몰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6도(b)를 참조하면, 제6도(a)와는 반대로 힌지브라켓(20)에 핀수용홈을 형성하고, 힌지브라켓 수용체(48)내에 힌지핀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회동부재의 작동중 힌지브라켓의 탄성변형을 방지하여 힌지구조체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힌지브라켓의 양측 브라켓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술하였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다음에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기술사상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아울러 밝혀두는 바이다.

Claims (3)

  1.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부재를 상대회동가능하게 상호결합하는 힌지구조체로서, 일측의 부재에 돌출된 한쌍의 대향한 힌지브라켓과 타측의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을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힌지브라켓 수용체를 가지며,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 수용체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을 수용하는 핀수용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탄성적 내향변형을 수반하여 상호조립이 가능한 힌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한쌍의 힌지브라켓의 내향변형을 저지하는 삽입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 사이에 삽입된 상기 삽입 지지체는 탈착 제어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지체는 상기 회동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변위 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체.
KR2019950002010U 1995-02-10 1995-02-10 힌지구조체 KR0123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010U KR0123102Y1 (ko) 1995-02-10 1995-02-10 힌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010U KR0123102Y1 (ko) 1995-02-10 1995-02-10 힌지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26U KR960029126U (ko) 1996-09-17
KR0123102Y1 true KR0123102Y1 (ko) 1998-10-15

Family

ID=1940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010U KR0123102Y1 (ko) 1995-02-10 1995-02-10 힌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1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589A1 (ko) * 2019-04-12 2020-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KR102185333B1 (ko) * 2020-06-30 2020-12-02 최장헌 힌지부재를 이용한 함체용 고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589A1 (ko) * 2019-04-12 2020-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JP2022519501A (ja) * 2019-04-12 2022-03-24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
EP3930028A4 (en) * 2019-04-12 2022-05-1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KR102185333B1 (ko) * 2020-06-30 2020-12-02 최장헌 힌지부재를 이용한 함체용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26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0928A (en) Spring biased hinge for spectacle frames
US3977043A (en) Furniture hinge
US20070108359A1 (en) Stand of a display device
US20070084017A1 (en) Slide hinge
KR970061729A (ko) 편심 개구부를 사용한 컨베이어 핀 유지 시스템
KR0123102Y1 (ko) 힌지구조체
US7178200B2 (en) Hinge structure
KR100223578B1 (ko) 힌지구조
EP0179462A2 (en) Eyeglass fram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382919B1 (ko) 힌지
JPH0619150Y2 (ja) カプラー
JP3352168B2 (ja) 巻 尺
JPH06249232A (ja) 鏡支持装置
US5564559A (en) Mounting structure for switches
JP3101242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3660719B2 (ja) 軸具
JPH0534330Y2 (ko)
CN210294716U (zh) 一种眼镜的无螺丝铰接结构
US20240068285A1 (en) Integrated hinge structure for plastic boards
JPH1078021A (ja) 回動フック
JP2002308150A (ja) フェンダーライナー取付クリップ及びフェンダーライナー取付構造
JP3701497B2 (ja) 管連結装置
JP3166907B2 (ja) 物干し具
JPH0612146Y2 (ja) 自在ヒンジ
JPH03295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