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092Y1 - 테이프 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092Y1
KR0123092Y1 KR2019900019031U KR900019031U KR0123092Y1 KR 0123092 Y1 KR0123092 Y1 KR 0123092Y1 KR 2019900019031 U KR2019900019031 U KR 2019900019031U KR 900019031 U KR900019031 U KR 900019031U KR 0123092 Y1 KR0123092 Y1 KR 0123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lid
tape
tape cassette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782U (ko
Inventor
마사또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10012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7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3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11B15/615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inside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0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linearly moving rectangular box shaped magazines
    • G11B15/681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linearly moving rectangular box shaped magazines in vertical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세트 매거진에 복수개 수납되게 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카세트 프레임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덮개에 걸어서 맞추는 부를 형성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를 간단하게 카세트 매거진에서 꺼낼 수 있게 한 것이며, 카세트 매거진에 복수 수납되며, 사용할 때에는 카세트 교환기에 의해서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꺼내어지는 테이프 카세트이며, 카세트 프레임의 앞부분에 장치되는 덮개에 카세트 교환기의 인출 부재(인출 아암)가 걸어지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테이프 카세트와 헤드 드럼과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테이프 카세트의 하부 반부 측의 평면도.
제4도는 카세트 매거진의 단면도.
제5도는 카세트 교환기(changer ; 체인져) 시스템의 개략도.
제6도는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의 인출 동작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프레임 6 : 덮개
23 : 걸어맞춤부 23a 내지
23d : 걸어 말춤부를 구성하는 절단 오목부 31 : 카세트 매거진
40 : 인출아암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 매거진(magazine)에 복수개 수납되도록 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는(꺼내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개요]
본 고안은 카세트 매거진에 복수개 수납되도록 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카세트 프레임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에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카세트 인출용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를 간단하게 카세트 매거진에서 꺼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최근,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테이프 카세트(소위 콤팩트 카세트나 마이크로 카세트 등)보다 더욱 작은 초소형 카세트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같은 초소형 카세트는 그 외형 치수가 매우 작으므로 개별적으로 보존하면 분실할 우려가 있으므로 복수개의 테이프 카세트를 하나로 모아서 카세트 매거진에 수납하여 보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 재생시에 이 카세트 매거진은 기록 재생기에 삽입 장전되고, 기록재생기내에선 카세트 교환기(changer ; 체인져)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소정의 테이프 카세트가 꺼내져서 구동 기구부에 장착되어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해지는 것과 같은 시스템이 생각되고 있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특히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꺼내는 것을 고려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간단하게 꺼낼 수 없고, 카세트 교환기에 의한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장착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큰 과제로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간단하게 꺼낼 수 있는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수납되고, 사용중에 상기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장전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꺼내지는 카세트 교환기의 인출 부재와 협동하며 자기테이프 카세트가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서 이격된 앞뒷부분(전후부)가 측방향으로 떨어져서 이격된 좌우(가로방향)부분을 갖도록 함께 끼워진 상부 반부와 하부 반부를 갖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앞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고 개폐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폐쇄위치에서 상기 상하 반부 사이에의 중앙부를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앞부분에 형성되고 그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뚜껑의 중앙부로부터 오프셋된 가이드 홈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뚜껑의 앞부분에 형성되고 그 바닥부로부터 뚜껑의 외부면까지 서로로부터 떨어져서 경사진 벽을 갖는 복수개의 홈과, 상기 복수개의 홈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치된 뚜껑의 앞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의 앞부분과 직각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갖고 상기 가이드 홈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일측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 부재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지는 복수개의 절단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작용]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테이프 카세트에 의하면 걸어맞춤부에 카세트 교환기의 인출 부재(인출 아암)가 걸어짐으로써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용이하게 테이프 카세트가 인출되어서 교환기 시스템에서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적용하는 테이프 카세트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는 초소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예컨대 PCM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자기 테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초소형 테이프 카세트 프레임(케이싱)을 전체로서 도시하고 있으며, 이 카세트 프레임(1)은 상부 반부(2)와 하부 반부(3)를 대향시켜서 나사(4)로 죄어서 결합하고, 이 양 반부(2,3)의 앞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5)를 개폐하는 덮개(6; lid)를 회전이동(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카세트 프레임(1)내, 즉 상하 반부(2,3) 사이에는 허브 구동축의 삽입 관통 구멍(2a,2b,3a,3b)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양 허브(7,8) 사이에 자기테이프(T)가 감긴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일부분이 앞면측 개구부(5)에서 이 개구부(5)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가이드 롤러를 겸하는 핀치 롤러(9,10)를 거쳐서 팽팽하게 걸려진 상태로 표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카세트 프레임(1)내에는 양 허브(7,8)에 대해서 사용하지 않을 시에 브레이크 동작하는 브레이크 기구(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카세트 프레임(1)의 상하면측에는 후부 양측 코너부에 위치해서 상하 양 반부(2,3)에 연통하는 오소거 방지 기구(12,13)가 설치됨과 더불어 중심 전후 방향의 전후부 및 후부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위치 결정 기준 구멍(14,15,16,17)이 설치되며, 또한 후부 가장자리부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소정 검출 구멍(18,19)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양측면의 후부에는 그립부(20,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프레임(1)의 앞면측 개구부(5)를 개폐하는 덮개(6)에는 가로 방향의 가이드 홈(22)을 따라서 교환기용 걸어맞춤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선 카세트 프레임(1)내에 수납되는 자기테이프(T)는 회전 헤드에 의해 헬리컬 스캐닝 방식(helical scan system)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헤드(41)는 헤드 드럼(42)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헤드 드럼(42)은 카세트 프레임(1)의 덮개(6)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회동하므로서 개방되는 앞면측 개구부(5)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 개구부(5)를 가로질러 팽팽하게 걸어지는 자기테이프(T)가 헤드 드럼(42)의 삽입측 원주면에 감기도록 미끄러져 움직이며 회전 헤드(41)가 회전하면 자기테이프를 가로지르는 경사진 트랙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헤드 드럼(42)에 자기테이프(T)가 확실하게 헬리컬 형상으로 미끄럼 접합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세트 프레임(1)의 개구부(5)의 헤드 드럼(42)의 삽입부에는 가이드부가 서로 역방향 경사로 되어 있는 한쌍의 테이프 가이드 부재(24,25)를 가이드(핀치) 롤러(9,10)의 내측에 위치하여 대향해서 요동 및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헤드 드럼(42)을 개구부(5)에 삽입하므로서 이 헤드 드럼(42)의 주위면에 당접하는 상태로 되어 헤드 드럼(42)의 주위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자기테이프(T)를 끼운 상태로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또한, 헤드 드럼(42)의 양단부에는 카세트 프레임(1)의 개구부(5)의 양측부에 있어서 핀치 롤러(9,10)와 테이프 가이드 부재(24,25) 사이에 삽입되는 양 윙가이드(43,44)의 앞쪽 단부에 롤러(43a,44a)가 장착되어서 자기테이프(T)에 밀어넣어지도록 회전 접합되며, 자기테이프(T)를 테이프 가이드 부재(24,25)에 압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양 윙 가이드(43,44)는 카세트 프레임(1)의 개구부(5)에 그 내측 가까이 지지편(26,27)과, 이 지지편(26,27)과 핀치 롤러(9,10)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프 인출 방지용의 가이드 돌기(28,29)와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테이프 카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초소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개별적으로는 분실한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카세트 매거진(후술)에 복수개 수납해서 보존 상태로 되게 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6)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홈(6a, 6b)이 뚜껑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각 홈(6a, 6b)은 뚜껑의 바닥부(6g, 6h)로부터 외부면까지 서로 떨어져서 경사진 벽(6c, 6d 또는 6e, 6f)을 갖고 있다. 이 카세트 매거진에 대해서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매거진내에 정확하게 수납하고 용이하게 꺼내기 위한 연구는 개구부(5)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6)에 대해 실시되고 있다.
즉, 덮개(6)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홈(22)은 덮개(6)의 중앙부에서 상하 어느 쪽의 측면(본 예에선 아래쪽)으로 치우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가이드 홈(22)에 의해서 카세트 매거진으로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방향이 규정된다.
한편, 이 가이드 홈(22)을 따라 설치되는 걸어맞춤부(23)는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테이프 카세트의 인출(꺼내기)에 쓰이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홈(22)을 따라서 덮개(6)의 양단부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절단 오목부(23a,23b,23c,23d)로 구성된다. 즉, 덮개(6) 앞면의 좌우 양단부에는 제 1 및 제 4 절단 오목부(23a,23d)가 덮개(6)의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 양 절단 오목부(23a,23d) 사이에 있어서 덮개(6)의 앞면 중앙부에는 제 2 및 제 3 절단 오목부(23b,23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4 개의 절단 오목부(23a,23b,23c,23d)는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도는 카세트 매거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즉, 이 카세트 매거진(31)은 테이프 카세트가 가로 방향으로 삽입 장진되는 복수개의 수납부(32)를 가지며, 이 각 수납부(32)는 각각 격벽(33)에 의해서 칸막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납부(32)의 바닥부에는 그 안쪽 방향으로 걸어맞춤 돌출 레일(34)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이 걸어맞춤 돌출 레일(34)에 덮개(6)의 가이드 홈(22)이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이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에 있어서는 덮개(6)의 가이드 홈(22)이 중앙부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테이프 카세트를 역방향으로 하여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하려고 할 경우에는 가이드 홈(22)이 걸어맞춤 돌출 레일(34)에 정확하게 대응되지 않으며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의 역삽입은 방지되게 된다.
또한, 각 수납부(32)의 바닥부에는 걸어맞춤 돌출 레일(34)을 따라서 후술하는 인출 장치의 인출 아암에 삽입되는 홈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카세트 매거진에 수납된 복수개의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매거진마다 기록 재생기에 삽입되며, 기록 재생기내에는 카세트 교환기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테이프 카세트가 꺼내져서 기록 재생이 행해진다.
제5도는 이 카세트 교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며, 이 제5 도에 있어서 참조번호 36은 기록 재생기의 전체를 나타내며, 이 기록 재생기(36)내의 복수개의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된 카세트매거진(31)을 삽입하면, 소정의 이동 기구에 의해서 카세트 매거진(31)이 이동되고, 지정된 수납부(32)로부터 인출장치(37)에 의해서 한 개의 테이프 카세트가 인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서 카세트 매거진(31)으로부터 테이프 카세트가 꺼내지면, 테이프 카세트(1)는 이송 장치(38)에 의해서 구동 기구부(39)가지 운송되어서 장착되며, 이 구동 기구부(39)에선 상술한 회전 헤드(41)가 테이프 카세트의 개구부(5)에 삽입되어서 소정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해진다.
이 카세트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테이프 카세트를 꺼내기 위한 인출 장치(37)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매거진(31)의 홈구멍(35)에 삽입되어서 왕복 작동하는 인출 아암(40; 인출 부재)을 가지며, 이 인출 아암(40)의 선단부에는 테이프 카세트의 인출 방향으로만 덮개(6)의 걸어맞춤부(23)와 걸어 맞춰지는 레칫 형상의 걸어맞춤 돌출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출 아암(40)이 왕복 작동하는 것에 의해서 그 걸어맞춤 돌출부(40a)가 테이프 카세트의 걸어맞춤부(23)에 걸려서 카세트 매거진(31)으로부터 테이프 카세트가 인출된다.
이 동작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선 인출 아암(40)의 작은 스트로크(행정)로 복수회의 왕복 작동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가 인출된다. 즉, 먼저 인출 아암(40)의 1회째의 왕복 작동에선 걸어맞춤부(23)의 제 3 절단 오목부(23c)에 걸어맞춤 돌출부(40a)가 걸어져서 테이프 카세트를 1/3 정도 인출하고, 인출 아암(40)의 2회째의 왕복 작동에선 걸어맞춤부(23)의 제 2 절단 오목부(23b)에 걸어맞춤 돌출부(40a)가 걸어져서 테이프 카세트를 또한 1/3 정도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 아암(40)의 3회째의 왕복 작동에 있어서 걸어맞춤부(23)의 제 1 절단 오목부(23a)에 걸어맞춤 돌출부(40a)가 걸어지며, 이것에 의해서 테이프 카세트의 전체가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된 테이프 카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 교환기 시스템의 이송 장치(38)에 의해서 구동 기구부(39)까지 운송되며 여기에서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는 덮개(6)의 앞면에 카세트 교환기의 인출 아암(40)이 걸려지는 걸어맞춤부(23)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카세트 매거진(31)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며 카세트 교환기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선 이 걸어맞춤부(23)는 덮개(6)의 가로 방향으로 대략 동일 간격으로 병열 설치된 복수개의 절단 오목부(23a,23b,23c,23d)로 이루어지므로 인출 아암(40)의 1 왕복분의 행정을 짧게 해서 복수의 행정으로 테이프 카세트를 인출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인출 장치(37)를 소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나아가선 카세트 교환기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에 연계된다.
또한, 걸어맞춤부(23)는 덮개(6)에 형성하게 했으므로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에 큰 설계 변경을 요함이 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걸어맞춤부(23)를 카세트 테이프(1)측에 설치하려고 하면, 카세트 프레임(1)의 공간은 매우 한정되어 있으므로 자기테이프의 수납 스페이스나 각종 검출 구멍 등의 배치에 큰 변경을 요구하여 설계가 매우 곤란해지는데, 본 실시예에선 덮개(6)의 앞면의 말하자면 빈 스페이스에 걸어맞춤부(23)를 설치한 구성이므로 카세트 프레임(1)의 설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침이 없고, 덮개(6)에 근소한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실시가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고안은 이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선 본 고안을 PCM 기록용 초소형 카세트에 적용한 경우를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됨 없이 덮개를 갖는 각종 테이프 카세트, 예컨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나 DAT 카세트에 널리 적용 가능한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프레임의 앞부분의 덮개에 카세트 교환기의 인출 부재가 걸어지는 걸어 맞춤부를 형성한 것에 의해, 카세트 매거진으로부터 테이프 카세트의 꺼내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부는 카세트 프레임의 앞부분에 부착되는 덮개에 형성하도록 했으므로 현재 있는 테이프 카세트에 큰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수납되고, 사용중에 상기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장전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꺼내지는 카세트 교환기의 인출 부재와 협동하며, 자기테이프 카세트가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서 이격된 앞뒷부분(전후부)가 측방향으로 떨어져서 이격된 좌우(가로방향)부분을 갖도록 함께 끼워진 상부 반부와 하부 반부를 갖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앞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고, 개폐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폐쇄위치에서 상기 상하 반부 사이에의 중앙부를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앞부분에 형성되고, 그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뚜껑의 중앙부로부터 오프셋된 가이드 홈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뚜껑의 앞부분에 형성되고, 그 바닥부로부터 뚜껑의 외부면까지 서로로부터 떨어져서 경사진 벽을 갖는 복수개의 홈과, 상기 복수개의 홈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배치된 뚜껑의 앞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의 앞부분과 직각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갖고, 상기 가이드 홈과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일측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 부재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지는 복수개의 절단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KR2019900019031U 1989-12-06 1990-12-04 테이프 카세트 KR01230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41175U JPH0380579U (ko) 1989-12-06 1989-12-06
JP141175 1989-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782U KR910012782U (ko) 1991-07-30
KR0123092Y1 true KR0123092Y1 (ko) 1998-10-15

Family

ID=1528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031U KR0123092Y1 (ko) 1989-12-06 1990-12-04 테이프 카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432668A (ko)
EP (1) EP0431898B1 (ko)
JP (1) JPH0380579U (ko)
KR (1) KR01230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579U (ko) * 1989-12-06 1991-08-19
JP2976556B2 (ja) * 1991-02-22 1999-11-1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US5372264A (en) * 1993-04-29 1994-12-13 Tandberg Data Storage Conductive divider for a tape cartridge magazine with insertion error-preventing element
US6038368A (en) * 1996-02-05 2000-03-14 Sony Corporation System for acquiring, reviewing, and editing sports video segments
US5772143A (en) * 1996-02-12 1998-06-30 Imation Corp. Guides for magnetic tap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857348B2 (ja) * 1996-02-20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124384B2 (ja) * 1998-05-15 2008-07-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560061B2 (en) * 2001-01-04 2003-05-06 Qualstar Corporation High density tape library system
US7230792B2 (en) * 2003-11-19 2007-06-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selection systems and methods having a coupler for slidably engaging a storage medium in a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2683A (en) * 1970-03-20 1972-06-27 Itsuki Ban Tape player for playing plurality of magnetic tape cartridges
US4025959A (en) * 1971-04-05 1977-05-24 Rca Corporation Recorder-reproducer system
DE2145822A1 (de) * 1971-09-14 1973-03-15 Josef Kersting Elektronisch gesteuerte musikbox fuer tonbandcassetten insbesondere fuer stereomusikanlagen
US4213162A (en) * 1977-12-30 1980-07-15 Lemelson Jerome H Magnetic tape cartridge trans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S60163572U (ja) * 1984-04-03 1985-10-30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DE3500666A1 (de) * 1985-01-11 1986-07-17 Delbert Jenkins Speicher- und ausgabeeinrichtung fuer kassetten
US4860133A (en) * 1986-04-11 1989-08-22 Ampex Corporation Cassette bin structure including a bin sec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cassettes
JPS6311782U (ko) * 1986-07-03 1988-01-26
JPH0525110Y2 (ko) * 1987-06-18 1993-06-24
JPS6489066A (en) * 1987-09-30 1989-04-03 Pioneer Electronic Corp Autochanger device for digital audio cassette tape player
JPH0380579U (ko) * 1989-12-06 1991-08-19
JPH03222141A (ja) * 1990-01-29 1991-10-01 Pioneer Electron Corp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装置
JP2976556B2 (ja) * 1991-02-22 1999-11-1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782U (ko) 1991-07-30
US5777819A (en) 1998-07-07
EP0431898A3 (en) 1992-04-15
EP0431898B1 (en) 1997-03-05
EP0431898A2 (en) 1991-06-12
US5432668A (en) 1995-07-11
JPH0380579U (ko) 199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3092Y1 (ko) 테이프 카세트
US4323207A (en) Latch assembly for a video tape cassette
US4954916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improved access
EP1048029A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a tape pull-out element and a coupling element and having guide means for these two parts
EP0110266A2 (en) Recording tape cassette
US5214547A (en) Tape cassette having reels displaceable towards the rear
JP2976556B2 (ja) テープカセット
US5526210A (en) Tape cassette for loading by a cassette inserting and ejecting apparatus
US5224004A (en) Tape cassette having reels displaceable towards the rear corners
KR100466472B1 (ko) 크기가다른복수종류의카세트를장착할수있는카세트콘테이너
JP2508970B2 (ja) テ―プカセット
JP2000511678A (ja) 結合素子を有する磁気テープカセットを含む記録及び/又は再生システム
JPH09180320A (ja) カセット脱着装置とビデオカメラ
US5788174A (en) Centering mechanism for multi-cassette loading/unloading system
JP3541543B2 (ja) 記録再生装置
JP2546193B2 (ja) カセット
JPH0734548Y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S6023804Y2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におけるイジエクト機構
JPH0441479Y2 (ko)
JPH05334848A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ッジ
JPS6180676A (ja) 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とマガジンとの組合せ構造
JPH0329156A (ja) 複合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1202739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H04109476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736243B2 (ja) カセツト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