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989Y1 -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989Y1
KR0122989Y1 KR2019930020850U KR930020850U KR0122989Y1 KR 0122989 Y1 KR0122989 Y1 KR 0122989Y1 KR 2019930020850 U KR2019930020850 U KR 2019930020850U KR 930020850 U KR930020850 U KR 930020850U KR 0122989 Y1 KR0122989 Y1 KR 0122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lider
subchassis
cassette li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450U (ko
Inventor
최도영
조영호
서재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0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989Y1/ko
Publication of KR950012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는 수평이동 가능한 서브샤시에 기어가 형성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더는 서브샤시의 언로딩시 동작하는 슬라이더 이동기구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서 카세트 리드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의 개략적 측면도.
제2도의 (a),(b)는 종래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의 (a),(b)는 종래의 또다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개략적 측면도.
제5도는 이 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6도의 (a),(b)는 이 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의 요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테이프 카세트 102 : 카세트 리드
104,213 : 치차 211 : 슬라이더
212 : 스프링 280 : 슬라이더 이동기구
230 : 스토퍼
이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 카세트의 리드에 기어를 형성하고, 서브샤시에는 전·후진 가능한 슬라이더를 형성시켜 치차가 카세트리드의 기어와 이맞물림되어 카세트 리드를 개폐토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등과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여러 선진업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 가정에 거의 보급되어 현대인들에 있어서는 하나의 생활 필수품처럼 느껴질 정도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가정용으로 보급되어 있는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대부분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을 채용한 ½ 인지 테이프 카세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크게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카세트 홀더와, 이 카세트 홀더를 기기본체 내부로 끌어들여 메인데크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들과, 상기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테이프를 메인데크상에 설치된 회전드럼측으로 로딩(Loading) 혹은 언로딩(Unloading)시키기 위한 장치와, 자기테이프가 일정경로를 따라 주행되도록 하는 장치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이 삽입상태를 감지하여 메인데크상에 안착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서 한쌍의 풀베이스에 의해 자기테이프를 고속회전하는 드럼측으로 로딩시켜 자기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혹은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게 한다.
최근에 이르러, 전술한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응용하여 개발된 휴대용 캠코더등과 같은 제품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그 크기를 소형화시킴은 물론, 경량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그 일환으로서 이미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8mm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한 제품이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중의 하나가 데크사이즈이며, 이 데크사이즈를 어느정도 축소시키느냐에 따라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데크사이즈의 축소정도에 따라 그 기술수준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고, 실제로 다양한 형태 및 방식의 자기기록 재생장치가 연구개발되고 있다.
제1도에는 8mm 테이프 카세트(1)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테이프 카세트(1)에는 그의 전단부에 리드(Lid)(2)가 설치되어 본체(3) 내부에 들어있는 자기테이프(도시하지 않았음)를 사용하지 않을시 보호하게 된다. 이 리드(2)는 자기테이프의 재생시 반듯이 개방시켜 자기테이프가 회전드럼에 밀착되도록 하여야만 하는데 리드(2)를 개폐시키기 위한 종래의 장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의 (a),(b)는 제1도에 도시된 8mm 테이프 카세트(1)를 재생 및 기록할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의 리드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인바, 도시하지 않은 메인샤시 상부에 서브샤시(10)가 설치되고, 서브샤시(10) 일측에는 카세트 홀더(11)가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11)의 하부에는 작동브라켓(13)이 구비되어 있고, 이 작동브라켓((13)은 누름부(14)와 걸림부(1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작동브라켓(13)온 카세트 홀더(11)의 저면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작동브라켓(13)에 형성된 안내공(도시하지 않았음)이 카세트 홀더(11) 저면에 고정된 핀(11a)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서브샤시(10) 상에는 카세트(1)의 리드(2)를 개폐하는 오프너(16)가 구비되어 있고, 이 오프너(16)는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끝단은 카세트(1)의 리드(2)측에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작동브라켓(13)의 누름부(14) 하부에 위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1)를 카세트 홀더(11)내에 삽입하고, 카세트 홀더(11)를 내리 누르게되면, 카세트 홀더(11)는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카세트 홀더(11)가 하강되면서 카세트 홀더(11) 하부에 구비된 작동브라켓(13)의 누름부(14)가 오프너(16)의 일측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오프너(18)가 힌지축(1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오프너(18)의 또다른 일측이 카세트(1)의 리드(2)를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열어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는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의 안착시 카세트 홀더(11)의 하부와 서브샤시(10)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많이 생기게 되고, 그에 따른 데크의 전체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초소형 데크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정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5016 호에는 데크사이즈를 최대한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성부품을 단순화시킨 카세트 리드 개폐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의 (a),(b)는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 개폐장치의 동작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서브샤시(20)에는 카세트 홀더(21)가 축(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카세트 홀더(21)의 대략 중앙부에는 돌기(23)가 형성된다. 이 돌기(23)의 끝단부는 서브샤시(20)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24)내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하는 링크(25)와 핀(26)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 홀더(21)의 어느 한 측면에는 일측의 축(30a)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리드오프너(30)가 장착되어 있고, 이 리드오프너(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장공(31)이 형성되어 카세트 홀더(2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핀(32)이 끼워 맞춤되어 가이드된다.
또한, 리드오프너(30)의 중앙부와 서브샤시(20)가 소정각도 경사지는 또다른 링크(33)에 의해 연결되며, 링크(25)와 링크(33)는 스프링(34)에 의해 연결되고, 리드오프너(30)의 끝단부에는 카세트 리드(2)를 오픈시킬 수 있는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의 (a)와 같이 카세트(1)의 카세트 홀더(21)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서브샤시(20)를 향해 카세트 홀더(21)를 내리누르면, 카세트 홀더(21)가 축(22)을 증심으로 회동하여 서브샤시(20)상에 안착된다. 이때, 카세트 홀더(21)의 측면에 형성된 리드오프너(30)가 축(30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돌기(35)가 테이프 카세트(1)의 리드(2)를 오픈시켜 주게된다.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홀더(21)가 서브샤시(20)에 안착되면, 링크(25)의 일측 끝단부, 즉 힌지축(26)쪽은 타측 끝단부에 비해 하측으로 위치되므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한 카세트 홀더(21)는 제3도의 (b)와 같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3도의 (b)와 같은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1)를 취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카세트 홀더(21)를 들어올리면, 링크(25)는 스프링(34)의 탄력에 의해 제3도의 (a)와 같이 된다. 이렇게 되는 도중에 리드오프너(30)는 축(30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카세트 리드(2)는 그 자체의 탄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그러나, 제3도에 도시된 카세트 리드개폐장치는 서브샤시의 외측에 다수의 링크와 스프링 및 장공을 형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카세트 홀더의 측면에 리드오픈부재 및 링크등을 설치해야한 하므로 그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며, 그에 따른 데크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카세트 리드를 용이하게 개폐하도록 하여 데크를 초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의 특징은,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이 설치된 메인샤시 위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된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샤시에 장착되어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측에 로딩될 경우에는 스프링력에 의해 작동되어 카세트 리드를 개방시키고,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측으로부터 완전히 언로딩될 경우에는 카세트리드를 닫아주기 위해서 상기 카세트 리드의 치차와 이맞물림되는 래크를 구비한 슬라이더와; 상기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측으로부터 완전히 언로딩될 경우 상기 슬라이더를 서브샤시의 언로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이동기구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적용 가능한 테이프 카세트의 측면도 인바, 이 테이프 카세트(100)는 카세트 리드(102)와 본체(103)를 포함한다. 카세트 리드(102)의 일측에는 이후 설명할 슬라이더의 치차에 이맞물림되는 치차(104)가 형성되어있다. 이 치차(104)는 화살표(A) 방향으로 요동되어 카세트 리드(102)를 개폐시키게 된다.
제5도는 이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인 바, 메인샤시(200) 위에는 서브샤시(210)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샤시(210)에는 슬라이더(211)가 스프링(212)에 의해 장력을 받도록 되어있다. 슬라이더(211)의 일측 끝단부에는 제4도에 도시한 카세트 리드(102)의 치차(104)와 치합되는 치차(213)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11)의 대략 중앙부 상하측에는 장공(214,2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211)는 핀(216,217)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서브샤시(210)에는 슬라이더(2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이동기구(220)가 설치되어있다. 이 슬라이더 이동기구(220)는 서브샤시(210)가 메인샤시(200)로부터 언로딩될 때 슬라이더(211)를 화살표(8)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 이동기구(220)의 일측끝단부에는 장공(221)이 형성되어, 핀(222)에 의해서 슬라이더(211)와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샤시(280) 위에는 스톱퍼(230)이 설치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시 서브샤시(210)는 메인샤시(200) 위에서 수평이동된다. 제5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서브샤시(210) 위에는 테이프 카세트(100)(도시하지 않았음)가 올려진다. 그러나,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100)의 치차(104)는 슬라이더(211)의 치차(213)와 이맞물림된다.
따라서, 서브샤시(210)가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211)는 스프링(212)의 힘에 의해 수평 전진된다. 이때 슬라이더(211)는 제6도의 (b)에서와 같이 카세트 리드를 열어주게 된다.
한편, 카세트의 언로딩시 서브샤시(210)가 완전히 수평 후진 완료되기 전에는 슬라이더(211)는 이동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스프링(212)이 슬라이더(211)를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이다.
서브샤시(210)의 수평 후진 이동이 완전히 완료되었을 경우, 슬라이더 이동기구(211)의 타측끝단부가 스톱퍼(230)에 걸림유지되므로서 슬라이더 이동기구(220)는 축(22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슬라이더 이동기구(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그의 끝단부에 의해 슬라이더(211)는 화살표(B)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슬라이더(211)가 후진함에 따라 카세트(100)의 리드(102)에 형성된 치차(104)가 슬라이더(211)의 치차(213)와 이맞물림되어 있으므로 카세트 리드(102)는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이 고안에 따른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서 카세트 리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테크를 초소형으로 만들수 있는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1)

  1.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이 설치된 메인샤시위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된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샤시에 장착되어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측에 로딩될 경우에는 스프링력에 의해 작동되어 카세트 리드를 개방시키고,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측으로부터 완전히 언로딩될 경우에는 카세트 리드를 닫아주기 위해서 상기 카세트 리드의 치차와 이맞물림되는 래크를 구비한 슬라이더와; 상기 서브샤시가 회전드럼측으로부터 완전히 언로딩될 경우 상기 슬라이더를 서브샤시의 언로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이동기구로 구성된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KR2019930020850U 1993-10-12 1993-10-12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KR0122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850U KR0122989Y1 (ko) 1993-10-12 1993-10-12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850U KR0122989Y1 (ko) 1993-10-12 1993-10-12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50U KR950012450U (ko) 1995-05-17
KR0122989Y1 true KR0122989Y1 (ko) 1998-10-15

Family

ID=1936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850U KR0122989Y1 (ko) 1993-10-12 1993-10-12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9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50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210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GB2149187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345351A (en) Pivoting device for a cover of the cassette holder of a magnetic-tape cassette apparatus
JPH0325331Y2 (ko)
KR012054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장치
KR0122989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EP0637020B1 (en) Recording cassette mechanisms
JPS6113299B2 (ko)
JP2625953B2 (ja) テープ案内装置
JPS6161182B2 (ko)
KR014757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 가이드 장치
KR012299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이젝트 장치
US5883754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cassette-lid opening mechanism
RU2125742C1 (ru) Кассетный блок магнитофона
JP2737167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0449563A (ja) 防塵ドア開閉機構
JPS61199264A (ja) カセツトロ−デイング装置
KR900010404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S59139165A (ja) 磁気テ−プ装置
KR0119517Y1 (ko) 테이프 카세트의 허브 케이스 가이드장치
KR200154184Y1 (ko)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중간 도어 개폐장치
JPS5912797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47085A (ja) 記録再生装置
JPH0543389U (ja) 記録再生装置の扉機構
JPS5826365A (ja) 記録円盤再生装置におけるシヤツ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