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970Y1 - 선박의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복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970Y1
KR0122970Y1 KR2019940030034U KR19940030034U KR0122970Y1 KR 0122970 Y1 KR0122970 Y1 KR 0122970Y1 KR 2019940030034 U KR2019940030034 U KR 2019940030034U KR 19940030034 U KR19940030034 U KR 19940030034U KR 0122970 Y1 KR0122970 Y1 KR 0122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connecting rod
support
rolling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377U (ko
Inventor
김민숙
Original Assignee
김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숙 filed Critical 김민숙
Priority to KR2019940030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970Y1/ko
Publication of KR960017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이 항해중 심한 롤링으로 인하여 선박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의 양현을 따라 다수의 부력체가 적정 각도로 설치될 수 있는 선박의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복원장치는, 선박의 양현을 따라 다수 설치되어 롤링으로 인하여 선박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의 복원장치에 있어서, 지지체(10); 일단이 상기 지지체(10)에 요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자유로운 연결로드(14); 상기 연결로드(14)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부력체(16); 선체에 대한 상기 연결로드(14)의 상향 요동각도를 소정 각도범위내로 한정하는 요동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복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복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복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복원장치의 구성요부중 고정 후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복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체 12,12a:연결핀
14:연결로드 16:부력체
18:윈치 20:제1스프링
22:제2스프링 24:개구홈
26:압압판 28:지지판
30:작동간 32:절개부
34:와이어로우프 36:고정후크
본 고안은 선박의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이 항해중 심한 롤링으로 인하여 선박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의 양현을 따라 다수의 부력체가 적정 각도로 설치된 선박의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항해중 침수되는 경우는 선체가 암초나 장애물에 걸려 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침수되는 경우와, 거친 바다를 항해중 선박이 심한 롤링(rolling)으로 인하여 갑판 위로 물이 유입되어 침수되는 경우가 있다.
소형선박의 경우 선체의 자중이 적어 선박의 좌·우방향의 횡요, 즉 롤링(rolling)에 대해서는 대단히 취약하므로 연근해를 운행하는 소형여객선에서는 롤링이 심한 경우 쉽게 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선박이 침수된다. 즉 소형선박은 운행중 갑자기 기상급변으로 인하여 파도가 심하게 되면, 선체는 심하게 동요되어 좌·우 양현을 통하여 흘러들어온 물은 갑판 내부, 즉 선실로 물이 유입하게 된다. 그 결과 소형선박에는 선체 내부의 배수시스템이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롤링으로 인하여 양현측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제대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자칫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롤링으로 인하여 선박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의 전복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복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은 선박의 양현을 따라 다수 설치되어 롤링으로 인하여 선박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의 복원장치에 있어서, 지지체, 일단이 상기 지지체에 요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면 타단이 자유로운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부력체, 선체에 대한 상기 연결로드의 상향 요동각도를 소정 각도범위내로 한정하는 요동제한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복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동제한부는 상기 연결로드의 요동각도를 탄성적으로 제한하여 연결로드에 작용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를 현측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복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복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도 및 2도를 참조하면, 일측이 선체에 고정된 지지체(10)는 전방부에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10)의 선단부는 하향 절곡되어 지지판(28)을 마련하고 후술하는 연결로드(14)의 선체에 대한 상향 요동각도를 소정 각도범위내로 한정하는 요동제한부가 설치된다.
상기 요동제한부는 지지체(10)의 선단에 절곡형성된 지지판(28)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에 머리부를 갖고 몸통부는 탄성부재인 제2스프링(22)에 의하여 탄력지지된 작동간(30)과, 상기 작동간(30)의 선단에 연결핀(12a)에 의하여 설치된 압압판(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요동제한부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가 가능하다.
연결로드(14)는  형 단면을 갖는 체녈형으로 되어 있고, 그 일단이 상기 지지체(10)의 전방부에 형성된 절개부(32)에 요동가능하게 연결핀(12)에 의하여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14)의 자유단에는 부력체(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14)는 선체에 고정된 지지체(10)와 탄성부재인 제1스프링(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14)가 지지체(10)에 대하여 연결핀(12)을 중심으로 선회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체(10)에 윈치(18)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18)와 와이어로우프(34)에 의해 지지체(1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윈치(18)를 회전시켜 와이어로우프(34)를 감거나 풀므로써 연결로드(14)의 지지체(10)에 대한 선회각도를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지지체(10)의 양측에는 고정후크(36)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로드(14)에는 이와 대응되게 개구홈(24)을 형성하여, 지지체(10)에 마련된 윈치(18)를 작동시켜 상기 연결로드(14)를 현측으로 이동시 지지체(10)에 설치된 고정후크(36)가 연결로드(14)의 양측에 마련된 개구홈(24)에 삽착되어 연결로드(14)를 양현측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로드(14)를 현측에 확실히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후크 이외에 윈치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박이 정수중에서 항해중 일경우에는 선단에 부력체가 설치된 연결로드가 지지체(10)에 마련된 고정후크(36)에 고정되어 선박의 양현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박이 운행하게 된다.
선박이 심한 파도로 인하여 롤링이 심하여 복원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양현측에 고정된 연결로드(14)를 고정후크(36)로부터 해제시키게 된다. 고정후크(36)로부터 해제된 연결로드(14)는, 지지체(10)에 설치된 제1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로드(14)의 상부 연결핀(12)을 중심을 선회하여 지지체(10)의 선단 절곡부인 지지판(28)에 탄력설치된 작동간(30)의 압압판(26)에 접촉지지된다. 따라서 선단에 부력체(16)가 설치된 연결로드(14)는 양현측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로드(14)는 상방향의 요동각도를 제한하는 요동제한부의 지지판(28)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된 압압판(26)에 지지되므로 연결로드(14)는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선박의 좌·우 롤링으로 인하여 부력체에 작용하는 힘은 요동제한부에서 효과적으로 완충시키게 되며, 이때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선박이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동제한부의 구성이 연결로드(14)를 지지하는 2개의 스프링(20,22)으로만 구성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이 항해중 심한 롤링이 발생하더라도 양 현측에 설치된 부력체에 의하여 선박이 전복되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승선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박의 양현을 따라 다수 설치되어 롤링으로 인하여 선박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의 복원장치에 있어서, 지지체(10); 일단이 상기 지지체(10)에 요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자유로운 연결로드(14); 상기 연결로드(14)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부력체(16); 선체에 대한 상기 연결로드(14)의 상향 요동각도를 소정 각도범위 내로 한정하는 요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제한부는 제1스프링(20)과 제2스프링(22)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14)의 요동각도를 탄성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14)를 현측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윈치(18), 와이어로프(34), 개구홈(24) 및 고정후크(36)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복원장치.
KR2019940030034U 1994-11-14 1994-11-14 선박의 복원장치 KR0122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034U KR0122970Y1 (ko) 1994-11-14 1994-11-14 선박의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034U KR0122970Y1 (ko) 1994-11-14 1994-11-14 선박의 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77U KR960017377U (ko) 1996-06-17
KR0122970Y1 true KR0122970Y1 (ko) 1998-08-17

Family

ID=1939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034U KR0122970Y1 (ko) 1994-11-14 1994-11-14 선박의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9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21A (ko) 2014-06-18 2015-12-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170071234A (ko) 2015-12-15 2017-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복원력 상실 판단 방법 및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자동 경보 시스템
WO2018093123A1 (ko) * 2016-11-21 2018-05-24 박정훈 선박의 옆질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21A (ko) 2014-06-18 2015-12-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170071234A (ko) 2015-12-15 2017-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복원력 상실 판단 방법 및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자동 경보 시스템
WO2018093123A1 (ko) * 2016-11-21 2018-05-24 박정훈 선박의 옆질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77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7121B2 (ja) 小型ボートの着水および回収のための装置
US6178914B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launching and taking aboard a raft
US4977846A (en) Boat mooring device
KR0122970Y1 (ko) 선박의 복원장치
US4630564A (en) Boom control device for a sailboat boom
US2662501A (en) Small boat restrainer
US3046929A (en) Automatic release cleat for sail boats
US3704680A (en) Mounting for ship{40 s anchor
WO1993007050A1 (en) Safety device for marine purposes
JP5004185B2 (ja) フェンダーフロートを利用した船舶用のフェンダーフロート装置
CN108360460B (zh) 观光船登乘装置
KR20040016957A (ko) 데빗시스템
US3938462A (en) Boat mooring apparatus
US5216971A (en) Catamaran righting apparatus
JP3019738U (ja) 舟艇の転覆防止装置
EP0057221A1 (en) Hook for attaching rider to board sailer
US1285558A (en) Sea-anchor.
US6889623B2 (en) Sliding keel sailboat with a hull with reduced rolling
EP207108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anoeuvring and mooring a boat in a stall
US6655310B1 (en) Spring loaded bollard
JP3614502B2 (ja) 被推進艇
KR890002818Y1 (ko) 선착장의 배 고정장치
GB1600354A (en) Anchor stowing arrangement
WO1998024687A1 (fr) Dispositif de prevention de chavirage d'un multicoque
JP3061165U (ja) 船舶用係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