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868Y1 -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868Y1
KR0122868Y1 KR2019930023394U KR930023394U KR0122868Y1 KR 0122868 Y1 KR0122868 Y1 KR 0122868Y1 KR 2019930023394 U KR2019930023394 U KR 2019930023394U KR 930023394 U KR930023394 U KR 930023394U KR 0122868 Y1 KR0122868 Y1 KR 0122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digital information
outpu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225U (ko
Inventor
강성용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30023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868Y1/ko
Publication of KR950015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수신되는 디지탈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이 선택된 정보 및 이 선택된 정보에 따른 디지탈 정보를 선택 송신하고 아울러 선택되지 않은 디지탈 정보를 그대로 송신하도록 하는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각 방향에서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를 전송하는 제2 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전송부에서 각각 전송된 제1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켜 수신하고 이 수신된 아날로그 정보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1, 제2 코덱(107a)(107b)으로 된 제1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2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제2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이 출력된 아날로그 정보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제2 신호 변환수단과,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제1, 제2 스위치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 및 제1,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하는 제1, 제2 논리수단과, 상기 제2 논리수단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1 정보전송수단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1 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화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여 각방향으로 송신하는 제1 정보 선택수단과, 상기 제2 논리수단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2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2 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화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여 각방향으로 송신하는 제2 정보 선택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되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제1도는 종래 정보 전송 시스템의 개략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전송 정보 선택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106:제1, 제2 정보전송부 107,708:제1, 제2 신호 변환부
109,110:제1, 제2 스위치 111,112:제1, 제2 논리부
113,114:제1, 제2 정보 선택부
본 고안은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디지탈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이 선택된 정보 및 이 선택된 정보에 따른 디지탈 정보를 선택 송신하고 아울러 선택되지 않은 디지탈 정보를 그대로 송신하도록 하는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보 전송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수신 각 방향에서 전송된 정보(E1)(E2)를 각각 선택하는 제1, 제2 정보 선택부(100)(101)와, 상기 제1, 제2 정보 선택부(100)(101)에서 선택된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킨 후 이변환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제1, 제2 코덱부(102)(103)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정보 전송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외부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1, 제2 정보 선택부(100)(101)는 수신 각 방향에서 전송된 제1, 제2 디지탈 정보(E1)(E2)에서 각각 하나의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제1, 제2 정보 선택부(100)(101)에 의해 제1 디지탈 정보가 선택되어 제1, 제2 코덱부(102)(103)에 입력되면 상기한 제1, 제2 코덱부(102)(103)는 상기 제1, 제2 정보 선택부(100)(101)에서 각각 선택된 제1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켜 수신(ARX)하고 이 수신된 아날로그 정보(ARX)에 따른 아날로그 송신정보(ATX)를 제1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송신하게 된다.
이후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1, 제2 정보 선택부(100)(101)가 제2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면 제1, 제2 코덱부(102)(103)는 상기와 같이 제2 디지탈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정보전송 시스템은 전송된 제1, 제2 디지탈 정보중 선택되지 않은 하나의 디지탈 정보로는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인해 현재 사용중인 디지탈 정보로 통신중 타 국소간 타 디지탈 정보로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과, 아울러 선택된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된 후 다시 디지탈 정보로 변환되어 송신됨으로 인해 전송상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신되는 디지탈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이 선택된 정보 및 이 선택된 정보에 따른 디지탈 정보를 선택 송신하고 아울러 선택되지 않은 디지탈 정보를 그대로 송신하도록 하는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각 방향에서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를 전송하는 제2 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전송부에서 각각 전송된 제1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켜 수신하고 이 수신된 아날로그 정보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1, 제2 코덱(107a)(107b)으로 된 제1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제2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제2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이 출력된 아날로그 정보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제2 신호 변환수단과,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제1, 제2 스위치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 및 제1,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하는 제1, 제2 논리수단과, 상기 제2 논리수단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1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1 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화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여 각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1 정보 선택수단과, 상기 제2 논리수단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2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2 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화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여 각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2 정보 선택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되어 지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선택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각 방향에서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E1)를 전송하는 제1 정보 전송부(105)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각 방향에서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E2)를 전송하는 제2 정보 전송부(106)와, 상기 제1 정보 전송부(105)에서 각각 전송된 제1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ARX1)(ARX2)로 변환시켜 수신하고 이 수신된 아날로그 정보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ATX1)(ATX2)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1, 제2 코덱(107a)(107b)으로 된 제1 신호 변환부(107)와, 상기 제2 정보 전송부(106)에서 전송된 제2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ARX3)(ARX4)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이 출력된 아날로그 정보(ARX3)(ARX4)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ATX3)(ATX4)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제3, 제4 코덱(108a)(108b)으로 된 제2 신호 변환부(108)와,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제1, 제2 스위치(109)(110)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 및 제1, 제2 스위치(109)(110)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하는 제1, 제2 논리부(111)(112)와, 상기 제2 논리부(111)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1 정보 전송부(105)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1 신호 변환부(107)에서 변환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 하여 각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1 정보 선택부(113)와, 상기 제2 논리부(112)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2 정보 전송부(106)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2 신호 변환부(108)에서 변화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여 각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2 정보 선택부(114)로 구성하고, 여기서 제1 정보 전송부(105)는 외부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E1)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BU1)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 인버터(INV1)와, 상기 제1 인버터(INV1)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E1)를 버퍼링 하는 제2 버퍼(BU2)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E1)를 버퍼링하는 제3 버퍼(BU3)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 인버터(INV2)와, 상기 제2 인버터(INV2)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E1)를 버퍼링하는 제4 버퍼(BU4)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2 정보 전송부(106)는 외부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3 인버터(INV3)와, 상기 제3 인버터(INV3)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E2)를 버퍼링하는 제5 버퍼(BU5)와, 상기 외부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E2)를 버퍼링 하는 제6 버퍼(BU6)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4 인버터(INV4)와, 상기 제4 인버터(INV4)로 버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E2)를 버퍼링 하는 제7 버퍼(BU7)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SW1)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E2)를 버퍼링하는 제8 버퍼(BU8)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1 논리부(111)는 제1 스위치(109)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하는 제5 인버터(INV5)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 및 제1 스위치(109)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 엔드게이트(AD1)와, 상기 제5 인버터(INV5)로 부터 출력된 신호 및 외부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2 엔드 게이트(AD2)로 구성하고 상기에서 제2 논리부(112)는 제2 스위치(110)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6 인버터(INV4)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 시켜 출력하는 제7 인버터(INV7)와, 제2 스위치(110)의 스위칭 신호 및 제7 인버터(INV7)와, 제2 스위치(110)의 스위칭 신호 및 제7 인버터(INV7)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3 엔드게이트(SD3)와, 상기 제6, 제7 인버터(INV6)(INV7)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4 엔드 게이트(AD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정보 선택부(113)는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 버퍼(BU1)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부(111)내의 제2 엔드 게이트(AD2)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5 엔드 게이트(AD5)와, 상기 신호 변환부(107)내의 제1 코덱(107a)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부(111)내의 제2 엔드 게이트(AD2)로 부터 출력된 논리곱하는 제6 엔드 게이트(AD6)와, 상기 제5, 제6 엔드 게이트(AD5)(AD6)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 오아게이트(OR1)와, 상기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3 버퍼(BU3)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부(111)내의 제2 엔드 게이트(AD2)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7 엔드 게이트(AD7)와, 상기 신호 변환부(107)내의 제2 코덱(107b)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부(111)내의 제1 앤드 게이트(AD1)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8 엔드 게이트(AD8)와, 상기 제7, 제8 엔드 게이트(AD8)와, 상기 제7, 제8 엔드 게이트(AD7)(AD8)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2 오아게이트(OR2)로 구성하고 상기에서 제2 정보 정송부(106)내의 제5 버퍼(BU5)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부(112)내의 제4 엔드 게이트(AD4)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9 엔드 게이트(AD9)와, 상기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1 코덱(108a)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0 엔드 게이트(AD10)와, 상기 제9, 제10 엔드 게이트(AD9)(AD10)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송신하는 제3 오아게이트(OR3)와, 상기 제2 정보 전송부(106)내의 제7 버퍼(BU7)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2 논리부(112)내의 제4 엔드 게이트(AD4)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1 엔드 게이트(AD11)와, 상기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2 코덱(108b)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부(112)내의 제3 엔드 게이트(AD3)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2 엔드 게이트(AD3)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2 엔드 게이트(AD12)와, 상기 j제11, 제12 엔드 게이트(AD11)(AD12)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는 제4 오아게이트(OR4)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동작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외부 선택 스위치(104)가 단자(A)로 스위칭 되면 하이신호(+5V)는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 제3 버퍼(BU1)(BU3) 및 제1, 제2 인버터(INV1)(INV2)와 제1 정보 전송부(106)내의 제3, 제4 인버터(INV3)(INV4) 및 제6, 제8 버퍼(BU6)(BU8)에 각각 인가되고, 아울러 제1 논리부(111)내의 제1, 제2 엔드 게이트(AD1)(AD2)의 각 단자와 제2 논리부(112)내의 제7 인버터(INV7)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 버퍼(BU1)는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하이신호(+5V)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각 방향에서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E1)를 버퍼링하여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3 엔드 게이트(AD5)와 제1 신호 변환부(107)내의 제1 코덱(107a)에 각각 인가한다.
한편 제2 버퍼(BU2)는 제1 인버터(INV1)를 통해 위상반전된 로우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된다.
상기 제3 버퍼(BU3)는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하이신호(+5V)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각 방향으로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E1)를 버퍼링 하여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7 엔드 게이트(AD7)와 제1 신호 전환부(107)내의 제2 코덱(103b)에 각각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변환부(107)내의 제1 코덱(107a)은 상기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 버퍼(BU1)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ARX1)로 변환시킨 후 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 상응하는 송신 아날로그 신호(ATX1)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6 엔드 게이트(AF6)에 인가한다.
아울러 제1 신호 변환부(107)내의 제2 코덱(107b)은 상기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3 버퍼(BU3)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ARX2)로 변환시킨 후 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ARX2)에 상응하는 송신 아날로그 신호(ATX2)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8 엔드 게이트(AD8)에 인가한다.
여기서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치(109)가 단자(A)로 스위칭 되면, 즉 전화기의 송수화기가 온-후크 상태일 경우 제1 논리부(111) 제1 스위치(109)의 하이신호(+5V)는 제1 논리부(111)내의 제5 인버터(INV5)를 통해 로우 신호로 변환되어 제2 엔드 게이트(AD2)에 인가됨과 아울러 제1 논리부(111)내의 제1 엔드 게이트(AD1)에 인가된다.
상기 제1 논리부(111)내의 제1 엔드 게이트(AD1)는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하이신호(+5V)와 제1 스위치(109)의 하이신호(+5V)를 논리곱하여 하이신호를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6, 제8 엔드게이트(AD6)에 인가하고 상기 제1 논리부(111)내의 제2 엔드 게이트(AD2)는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로우신호를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5, 제7 엔드게이트(AD5)(AD7)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5 엔드 게이트(AD5)는 상기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 버퍼(BU1)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부(111)내의 제2 엔드 게이트(AD2)로 부터 출력된 로우 신호를 논리곱하여 제1 오아게이트(OR1)의 한단자에 인가하고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6 엔드 게이트(AD6)는 상기 제1 신호 변환부(107)내의 제1 코덱(107a)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1 논리부(111)내의 제1 엔드 게이트(AD1)로 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제1 오아게이트(OR1)의 타단자에 인가한다.
상기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1 오아게이트(OR1)는 제5, 제6 엔드 게이트(AD5)(AD6)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논리합하여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버퍼(BU1)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7 엔드 게이트(AD7)는 상기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3 버퍼(BU3)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1 논리부(111)내의 제2 엔드 게이트(AD2)로 부터 출력된 로우신호를 논리곱하여 제2 오아 게이트(OR2)의 한단자에 인가하고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8 엔드 게이트(AD8)는 제1 신호 변환부(107)내의 제2 코덱(107b)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1 논리부(111)내의 제1 엔드 게이트(AD1)로 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제2 오아게이트(OR2)의 타단자에 인가한다.
상기 제2 오아게이트(OR2)는 제7, 제8 에드게이트(AD7)(AD8)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3 버퍼(BU3)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제1스위치(109)가 단자(B)로 스위칭 될 경우에는 상기 제1 신호 변환부(103)내의 제1, 제2 코덱(107a)(107b)을 통해 각각 출력된 디지탈 정보가 제1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1, 제2 오아게이트(OR1)(OR2)를 통해 송출되게 된다.
이후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외부 선택 스위치(104)가 단자(B)로 스위칭 되면 외부 선택 스위치(104)를 통한 로우신호는 제1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 제3 버퍼(BU1)(BU3) 및 제1, 제2 인버터(INV1)(INV2)와 제1 정보 전송부(106)내의 제3, 제4 인버터(INV3)(INV4) 및 제6, 제8 버퍼(BU6)(BU8)에 각각 인가되고, 아울러 제1 논리부(111)내의 제1, 제2 엔드 게이트(AD1)(AD2)와 제2 논리부(112)내의 제7 인버터(INV7)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1, 제3 버퍼(BU1)(BU3)는 외부선택 스위치(104)내의 로우 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각각의 제1디지탈 정보(E1)(E2)를 차단하고 제2, 제4 버퍼(BU2)(BU4)는 제1, 제2 인버터(INV1)(INV2)를 통해 각각 출력된 하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각각의 제1 디지탈 정보(E1)(E1)를 버퍼링하여 그대로 송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정보 전송부(106)내의 제5 버퍼(BU5)는 제3 인버터(INV3)를 통한 하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E2)를 버퍼링하여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9 엔드 게이트(AD9)와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3 코덱(108a)에 각각 인가한다.
한편 제6 버퍼(BU6)는 외부 선택 스위치(104)의 로우 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된다.
상기 제3 버퍼(BU7)는 제4 인버퍼(INV4)를 통한 하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E2)를 버퍼링 하여 제2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11 엔드 게이트(AD11)와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4 코덱(108b)에 각각 인가한다.
이에따라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2 코덱(108a)은 상기 제2 정보 전송부(105)내의 제5 버퍼(BU5)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ARX3)로 변환시킨 후 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에 상응하는 송신 아날로그 신호(ATX3)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10 엔드 게이트(AD10)에 인가한다.
아울러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4 코덱(108b)은 상기 제2 정보 전송부(106)내의 제7 버퍼(BU7)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ARX4)로 변환시킨 후 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ARX4)에 상응하는 송신 아날로그 신호(ATX4)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제4 정보 선택부(113)내의 제12 엔드 게이트(AD12)에 인가한다.
여기서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제2 스위치(110)가 단자(A)로 스위칭 되면,즉 전화기의 송수화기가 온-후크 상태일 경우 제2 논리부(111) 및 제1 스위치(109)의 하이신호(+5V)는 제2 논리부(112)내의 제6 인버터(INV6)를 통해 로우 신호로 변환되어 제4 엔드 게이트(AD4)에 인가됨과 아울러 제2 논리부(112)내의 제3 엔드 게이트(AD3)에 인가된다.
상기 제2 논리부(111)내의 제3 엔드 게이트(AD3)는 제7 인버퍼(INV7)를 통한 하이신호와 제2 스위치(110)의 하이신호(+5V)를 논리곱하여 하이신호를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10, 제12 엔드 게이트(AD6)에 각각 인가하고 상기 제2 논리부(112)내의 제4 엔드 게이트(AD4)는 상기 제6 인버퍼(INV6)로부터 출력된 로우 신호와 제7 인버퍼(INV7)를 통한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로우 신호를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9, 제11 엔드 게렌(AD9)(AD11)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9 엔드 게이트(AD9)는 상기 제2정보 전송부(106)내의 제5 버퍼(BU5)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부(112)내의 제4 엔드 게이트(AD4)로부터 출력된 로우 신호를 논리곱하여 제3 오아게이트(OR1)의 한단자에 인가하고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10 엔드 게이트(AD10)는 상기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3 코덱(107a)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3 논리부(112)내의 제3 엔드게이트(AD1)로 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제3 오아게이트(OR3)의 타단자에 인가한다.
상기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3 오아게이트(OR3)는 제9, 제10 엔드게이트(AD9)(AD10)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논리합하여 제2 정보 전송부(106)내의 제5 버퍼(BU5)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11 엔드 게이트(AD11)는 상기 제 2 정보 정송부(100)내의 제7 버퍼(BU7)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부(112)내의 제4 엔드 게이트(AD4)로 부터 출력된 로우신호를 논리곱하여 제4 오아게이트(OR4)의 한단자에 인가하고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12 엔드 게이트(AD12)는 제2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4 코덱(104b)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부(112)내의 제3 엔드 게이트(AD3)로 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제2 오아게이트(OR4)의 타단자에 인가한다.
상기 제4 오아게이트(OR4)는 제11, 제12 엔드게이트(AD11)(AD12)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제2 정보 전송부(106)내의 제7 버퍼(BU7)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제2 스위치(109)가 단자(B)로 스위칭 될 경우에는 상기 제1 신호 변환부(108)내의 제3, 제4 코덱(108a)(108b)을 통해 각각 출력된 디지탈 정보가 제2 정보 선택부(114)내의 제3, 제4 오아게이트(OR3)(OR4)를 통해 송신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신된 제1, 제2 디지탈 정보중 선택되지 않은 하나의 디지탈 정보를 그대로 전송함으로써 현재 사용중인 디지탈 정보로 통신중 타 국소간 타 디지탈 정보로 통신이 가능한 효과와, 아울러 선택된 디지탈 정보는 선택적으로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한 후 다시 디지탈 정보로 변환하여 송신되거나 그대로 송신함으로써 그대로 송신할 경우 노이즈 감소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되는 제1, 제2 디지탈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서로 동일한 디지탈 정보 사용시 통화자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각 방향에서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를 전송하는 제2 정보 전송수단과, 상기 제1 정보 전송수단에서 각각 전송된 제1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켜 수신하고 이 수신된 아날로그 정보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1, 제2 코덱(107a)(107b)으로 된 제1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제2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제2 디지탈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이 출력된 아날로그 정보에 따른 송신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시켜 송신하는 제2 신호 변환수단과, 전화기의 후크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제1, 제2 스위치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 및 제1,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하는 제1, 제2 논리수단과, 상기 제2 논리수단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1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1 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화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여 각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1 정보 선택수단과, 상기 제2 논리수단에서 논리된 신호에 따라 제2 정보 전송수단에서 전송된 디지탈 정보 및 제2 신호 변환수단에서 변화된 디지탈 정보를 선택하여 각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2 정보 선택수단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정보 전송수단은 외부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제1 인버터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 하는 제2 버퍼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하는 제3 버퍼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 인버터와, 상기 제2 인버터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1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하는 제4 버퍼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정보 전송수단은 외부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3 인버터와, 상기 제3 인버터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하는 제5 버퍼와, 상기 외부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 하는 제6 버퍼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4 인버터와, 상기 제4 인버터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 하는 제7 버퍼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수신되는 제2 디지탈 정보를 버퍼링하는 제8 버퍼로 이루어짐으로 특징으로 한 전송정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논리수단은 상기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하는 제5 인버터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 및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 엔드게이트와, 상기 제5 인버터로 부터 출력된 신호 및 외부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2 엔드 게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논리수단은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시켜 출력하는 제6 인버터와, 상기 외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를 위상반전 시켜 출력하는 제7 인버터와,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신호 및 제7 인버터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3 엔드게이트와, 상기 제6, 제7 인버터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4 엔드 게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정보 선택수단은 상기 제1 정보 전송수단내의 제1 버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수단 내의 제2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5 엔드 게이트와, 상기 제1 신호 변환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수단 내의 제2 엔드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6 엔드 게이트와, 상기 제5, 제6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 오아게이트와, 상기 제1 정보 전송수단 내의 제3 버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수단 내의 제2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7 엔드 게이트와, 상기 제2 신호 변환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1 논리수단 내의 제1 앤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8 엔드 게이트와, 상기 제7, 제8 엔드게이트와, 상기 제7, 제8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2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2 정보 전송수단은 제2 정보 전송수단 내의 제5 버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수단 내의 제4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9 엔드 게이트와, 상기 제2 신호 변환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2 논리수단 내의 제3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0 엔드 게이트와, 상기 제9, 제10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여 송신하는 제3 오아게이트와, 상기 제2 정보 전송수단 내의 제7 버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상기 제2 논리수단 내의 제4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1 엔드 게이트와, 상기 제2 신호 변환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 정보와 제2 논리수단 내의 제3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2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12 엔드게이트와, 상기 제11, 제12 엔드 게이트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논리합하는 제4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KR2019930023394U 1993-11-09 1993-11-09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KR0122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394U KR0122868Y1 (ko) 1993-11-09 1993-11-09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394U KR0122868Y1 (ko) 1993-11-09 1993-11-09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225U KR950015225U (ko) 1995-06-17
KR0122868Y1 true KR0122868Y1 (ko) 1998-09-15

Family

ID=1936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394U KR0122868Y1 (ko) 1993-11-09 1993-11-09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8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544B1 (ko) * 1996-11-3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산신호 송/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544B1 (ko) * 1996-11-3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산신호 송/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225U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868Y1 (ko) 전송정보 선택 시스템
KR100331833B1 (ko) 티브이와 컴퓨터 간의 연결장치
JP2003177859A (ja) 操作キー入力制御装置
EP1005247A3 (en) Compact non-blocking non-dilated optical switch using mode conversion
KR19990058262A (ko) 선박 자동화용 확장 경보장치
KR100296752B1 (ko) 다수 지점에서 디지탈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디지탈tv수상기
KR940002289B1 (ko) 표시제어장치
JPH0746991Y2 (ja) 通信コントローラ
KR20050027560A (ko)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JP3158584B2 (ja) 制御通信システム
JPH0416553Y2 (ko)
KR0113665Y1 (ko) 비디오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제어기의 다기능 입력 조작기
JPH0250669A (ja) データ伝送装置
JP2000013233A (ja) 通信用入出力装置および通信用入出力装置による出力信号制御方法
KR960025573A (ko) 비디오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제어기
JPH06245235A (ja) 呼出し信号音の音量制御方式
JPS62220083A (ja) 静止画表示装置
KR970009061A (ko) 스피커 폰 및 그의 통화방법
JPS61179694A (ja) 静止画伝送装置
KR19990059314A (ko) 음성 인식 시스템에서 반향 제거 장치
JPH01232847A (ja) デジタル通信装置
JPH05219143A (ja) データ回線終端装置
JPH05218725A (ja) フェーズドアレイアンテナ
JPH066466A (ja) 内線端末制御装置
JPH07154446A (ja) 消費電力低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