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760B1 -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760B1
KR0122760B1 KR1019940021938A KR19940021938A KR0122760B1 KR 0122760 B1 KR0122760 B1 KR 0122760B1 KR 1019940021938 A KR1019940021938 A KR 1019940021938A KR 19940021938 A KR19940021938 A KR 19940021938A KR 0122760 B1 KR0122760 B1 KR 012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door open
time
wai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421A (ko
Inventor
백중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4002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760B1/ko
Publication of KR96000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1Standb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제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운행에 따른 에너지절감 및 승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미리 설정된 오픈 대기시간동안 승객을 기다리게 함으로써 승객은 매우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급한 볼일이 있을 경우에는 무척 짜증나게 된다. 이와 병행하여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을 사용토록 함으로써,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의 남용에 의한 도어오픈 대기시간 무사운행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공동사용의 기회가 적어져 엘리베이터 운행의 효율성이 저하되었고 이에 따른 빈번한 운행으로 에너지 낭비가 초래되었는바,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오픈대기시간을 자동적으로 최적화시킴으로 승객의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운행으로 인한 에너지절감 및 절전운행을 가능토록 하여 정부시책에 일조할 수 있으며,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의 남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고장발생 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장치.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제어명령을 보인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구성도.
제4도는 본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자동제어 명령을 보인 프로우차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콜 수 연산부(12)와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부(13)를 구체적으로 보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오픈 지령접점 2: 타이머 순시접점
3 : 도어오픈 릴레이 4 : 도어전개 검출스위치
5 :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타이머 6 : 타이머 시한접점
7 :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 8 : 도어오픈 릴레이 b접점
9 : 도어 클로스 릴레이 10 :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
11 : 가변타이머 시한접점 12 : 콜 수 연산부
13 :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제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운행에 따른 에너지절감 및 승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인용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엘리베이터 카내에 있는 카콜버튼의 신호에 의하여 원하는 지정층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게 되고 제어반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오픈대기시간동안 기다려야만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승객은 이 시간동안 매우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급한 볼일이 있을 경우에는 무척 짜증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타이머(5)에 의한 지정대기시간과 병행하여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을 사용토로 함으로써, 대기시간의 지루함을 보완토록 하였다. 이러한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을 사용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구성을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장치 구성도로서, 엘리베이터의 도어오픈 지령접점(1)과 타이머 순시접점(2) 및 도어오픈 릴레이(3)가 직렬로 연결되고, 도어전개 검출스위치(4)와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타이머(5)가 직렬로 연결되며, 타이머 시한접점(6)과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이 상호 병렬연결되어, 도어오픈 릴레이 b접점(8)과 도어 클로스 릴레이(9)에 직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명령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이를 순서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실의 마이크로컴퓨터(도면에 미도시)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엘리베이터 카내에 있는 카콜버튼의 호출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콜버튼이 있다고 판단하면 콜버튼에 의한 지정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킨다. 상기 지정층에 도착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오픈하라는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오픈하게 되면 이때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타이머(5)를 작동시켜 지정된 시간동안 엘리베이터 도어를 오픈대기하도록 하고, 아울러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의 누름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누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도어는 지정된 시간동안 오픈된 후 클로스하게 되고, 누름이 있다고 판단되면, 즉시 도어가 클로스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승장 및 엘리베이터 카내의 호출이 있으면, 제어실의 마이크로컴퓨터(도면 미도시)는 엘리베이터를 지정층으로 운행시키게 되고 이후 정지시킨 후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명령을 지시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오픈 지령접점(1)이 동작하게 되면 따라서 도어오픈 릴레이(3)가 작동되어 엘리베이터 도어는 열어지게 된다. 엘리베이터 도어가 전개되면 도어전개 검출스위치(4)가 온(ON)되고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타이머(5)가 동작하여 지정된 시간동안 카운트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는 대기상태가 된다. 이때 도어오픈 명령을 타이머 순시접점(2)에 보내면 이에 의해 도어오픈 릴레이(3)는 오프(OFF)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도어는 열려진 상태로 지정된 시간동안 머물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타이머(5)에 의한 도어오픈 대기시간이 만료되면 타이머 시한접점(6)에 신호가 인가되고 이 신호출력에 의해 도어 클로스 릴레이(9)가 온(ON)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정된 시간내에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이 눌려지면 도어 클로스 릴레이(9)가 도어오픈 대기시간(T)과 무관하게 온(ON)되어 엘리베이터 도어는 닫혀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는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의 남용에 의한 도어오픈 대기시간 무시운행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공동사용의 기회가 적어져 엘리베이터 운행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른 빈번한 운행으로 에너지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내의 승객의 대기시간을 최적화하여 대기시간동안의 지루함을 배제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운행으로 인하여 에너지절감 및 절전운행에 일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의 남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고장발생 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는 도어오픈명령을 수용하는 도어오픈 지령접점(1)과, 도어오픈 대기명령을 수용하는 타이머 순시접점(2) 및 상기 도어오픈 지령접점(1)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오픈하고 상기 타이머 순시접점의 동작에 따라 오프(OFF)상태가 되는 도어오픈 릴레이(3)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도어오픈 릴레이(3)의 작동에 따라 도어가 오픈되면 온(ON)되어 도어오픈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전개 검출스위치(4)와, 연산된 오픈대기시간을 카운터하는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를 직렬연결하며, 상기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의 카운터가 만료되면 온(ON)되는 가변타이머 시한접점(11)과, 상기 가변타이머 시한접점(11)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클로스하는 도어 클로스 릴레이(9)를 직렬연결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제어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승장버튼 및 카콜버튼의 호출에 따라 승장 및 카콜의 합(NA)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승장 및 카콜의 합(NA)을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값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가 승장 및 카콜의 합(NA)이 동일하면 표준대기시간(T)을 설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가 승장 및 카콜의 합(NA)보다 크면 표준대기시간에서 변위시간(α)만큼 적은시간(T-α)을 설정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가 승장 및 카콜의 합(NA)보다 작으면 표준 대기시간(T)에서 변위시간(β)만큼 더한 시간(T+β)을 설정하는 도어오픈 대기시간(TV) 설정단계 및 상기에서 설정된 도어오픈 대기시간의 종료(TV)를 카운터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구현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3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3도의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자동제어명령의 플로우챠트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콜 수 연산부(12)와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부(13)의 제어명령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제어실의 마이크로컴퓨터(도면에 미도시)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엘리베이터 카내에 있는 카콜버튼의 호출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콜버튼이 있다고 판단하면 콜버튼에 의한 지정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고 상기 승장버튼 및 카콜버튼의 호출에 따라 승장 및 카콜의 합(NA)을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승장 및 카콜의 합(NA)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층수(N)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콜 수 연산부(12)에서 비교, 판단되어진 후 그 비교치가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부(13)로 보내진다.
한편, 엘리베이터가 상기 지정층에 도착하여 정지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지령접점(1)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오픈하라는 제어신호를 보내게된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지령접점(1)이 온(ON)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지령접점(1)과 직렬연결되어 있는 도어오픈 릴레이(3)가 작동되어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오픈(OPEN)시킨다.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오픈되면 이를 감지한 도어전개 검출스위치(4)가 온(ON)되어 상기 도어전개 검출스위치(4)와 직렬연결되어 있는 가변도어오프 대기시간 타이머(10)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는 상기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부(13)에서 연산된 가변시간(TV)이 만료할 때까지 카운터하여 이 카운터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에 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부(13)는 기준층수(N)와 승장 및 카콜의 합(NA)이 동일하며 표준대기시간(T)을 설정하고 기준층수(N)가 승장 및 카콜의 합(NA)보다 크면 표준대기시간(T)에서 변위시간(α)만큼 적은 시간을 설정하며, 기준층수(N)가 승장 및 카콜의 합(NA)보다 적으면 표준대기시간(T)에 변위시간(β)만큼 더한 시간을 설정하여 이 설정된 가변시간(TV)으로 상기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를 셋트한다. 상기의 표준대기시간(T)은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운행과 승객의 대기시간을 감안하여 최적의 시간이 되도록 결정된다.
상기 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가 카운터됨과 동시에 도어오픈 명령이 상기 도어오픈 릴레이(3)와 직렬연결되어 있는 타이머 순서접점(2)에 보내짐으로써 상기 도어오픈 릴레이(3)는 상기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에 셋팅된 가변시간(TV)동안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열려진 상태로 카운트 완료시간 동안 머물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에 의한 도어오픈 대기시간이 만료되면 가변 타이머 시한접점(6)에 신호가 인가되고 이 신호출력에 의해 상기 가변 타이머 시한접점(11)에 직렬연결된 도어 클로스 릴레이(9)가 온(ON)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는 닫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오픈대기시간을 자동적으로 최적화시킴으로 승객의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운행으로 인한 에너지절감 및 절전운행을 가능토록 하여 정부시책에 일조할 수 있으며, 도어 클로스 촉진버튼(7)의 남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고장발생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카콜 및 승장버튼의 호출에 따라 제어반의 마이크로컴퓨터의 도어오픈명령을 수용하여 작동하는 도어오픈 지령접점(1)과, 상기 도어오픈 지령접점의 작동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오픈하는 도어오픈 릴레이(3)가 직렬로 연결되고 ; 상기 도어오픈 릴레이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되면 이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도어전개 검출스위치(4)와, 상기 도어전개 검출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카운터를 시작해서 마이크로컴퓨터의 콜 수 연산부(12)와 도어오픈 대기시간 설정부(13)에서 결정된 최적의 도어오픈 대기시간이 완료되면 카운터를 종료하는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도어오픈 지령접점 및 도어오픈 릴레이에 병렬로 배치하고 ; 상기 가변도어오픈 대기시간 타이머(10)의 카운터가 종료하면 온(ON)되는 가변타이머 시한접점(11)과, 상기 가변타이머 시한접점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클로스하는 도어 클로스 릴레이(9)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도어전개 검출스위치 및 가변도어 오픈 대기시간 타이머에 병렬 배치하므로써 엘리베이터의 오픈대기시간을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2.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카콜버튼의 호출에 따라 승장 및 카콜의 합(NA)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승장 및 카콜의 합(NA)을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값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와 승장 및 카콜의 합(NA)이 동일하면 표준대기시간(T)을 설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가 승장 및 카콜의 합(NA)보다 크면 표준대기시간에서 변위시간(α)만큼 적은시간(T-α)을 설정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기준층수(N)가 승장 및 카콜의 합(NA)보다 작으면 표준대기시간(T)에서 변위시간(β)만큼 더한 시간(T+β)을 설정하는 도어오픈 대기시간(TV) 설정단계; 및 상기에서 설정된 도어오픈 대기시간의 종료(TV)를 카운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방법.
  3.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대기시간(T)은 엘리베이터의 효율적 운행과 승객의 대기시간을 감안하여 최적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방법.
KR1019940021938A 1994-08-31 1994-08-31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KR012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938A KR0122760B1 (ko) 1994-08-31 1994-08-31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938A KR0122760B1 (ko) 1994-08-31 1994-08-31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21A KR960007421A (ko) 1996-03-22
KR0122760B1 true KR0122760B1 (ko) 1997-11-18

Family

ID=1939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938A KR0122760B1 (ko) 1994-08-31 1994-08-31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25B1 (ko) * 2007-03-26 2009-02-23 이준호 대기 중 시간초과를 대기 상황과 연계하여 안내하는엘리베이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25B1 (ko) * 2007-03-26 2009-02-23 이준호 대기 중 시간초과를 대기 상황과 연계하여 안내하는엘리베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21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76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오픈 대기시간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KR011928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960002254B1 (ko) 정전시 엘리베이터의 비상구출운전 제어방법 및 장치
JPH08128703A (ja) 空調機器の制御装置
JPS62230573A (ja) エレベ−タの戸開閉制御装置
JPS6122665B2 (ko)
KR910009235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회로
JPH0613344Y2 (ja) 車両用パワ−ウインド装置
JPH06726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制御装置
JP2730431B2 (ja)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JPH04338091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JPS6311265Y2 (ko)
JPH0820481A (ja) エレベータ
JPH04368584A (ja) 建具の自動開閉装置
JPH0237816Y2 (ko)
JPH10114485A (ja) エレベータードアシステム
JPS5911974Y2 (ja) エレベ−タ
JP2590958Y2 (ja) チューブラーモータの制御装置
KR91000825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개폐 제어회로
JPH0859150A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制御装置
JPH0656376A (ja) エレベーターの戸の制御装置
JPH0349873B2 (ko)
KR19990019783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잘못 선택된 층 취소방법
JPH06211474A (ja) エレベータ戸の制御装置
JPH07267542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