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683Y1 - 조절기의 지시장치 - Google Patents

조절기의 지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683Y1
KR0122683Y1 KR2019950002204U KR19950002204U KR0122683Y1 KR 0122683 Y1 KR0122683 Y1 KR 0122683Y1 KR 2019950002204 U KR2019950002204 U KR 2019950002204U KR 19950002204 U KR19950002204 U KR 19950002204U KR 0122683 Y1 KR0122683 Y1 KR 0122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indicator
display
rotary shaf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527U (ko
Inventor
지준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02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683Y1/ko
Publication of KR960029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절기의 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에 회전축부재(13)가 배설된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13)에 임의의 방향으로 끼우고 빼기가능케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13)에 세레이션 결합된 지시수단(17)과, 상기 지시수단(17)에 의해 가리켜지는 표시점을 표시하도록 상기 지시수단(17)의 외측에 배설된 표시수단(1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절영역에서 임의의 일정한 조절대역을 설정하여 조절객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기의 지시장치
제1도는 종래 지시장치가 적용된 조절기를 나타내는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시장치가 적용된 조절기를 나타내는 입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시장치가 적용된 조절기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절기의 지시장치가 적용된 조절기에서,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의 설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3 : 회전축부재
15 : 연결수단 17 : 지시수단
19 : 표시수단 15b,17d : 세레이션 잇빨
본 고안은 조절기의 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시수단을 조절기본체의 회전축부재에 임의의 방향으로 끼우고 빼기가능케 배설하므로서, 조절객체(온도. RPM, 개구면적등)를 임의의 조절대역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조절기의 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시장치가 적용된 조절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일측에는 일정한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하는 회전축부재(3)가 돌출 배설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부재(3)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재(3)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도록 지시부재(5)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지시부재(5)의 외측에는 상기 지시부재(5)에 의해 가리켜지는 표시점을 표시하도록 표시부재(7)가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재(3)의 단부 및 이 회전축부재(3)의 단부에 끼워지는 지시부재(5)의 단부에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돌출대(3a) 및 요홈(5a)이 각각 지면을 꿰뚫는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시부재(5)의 일측면에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재(7)의 표시점을 지시하도록 그 일단이 화살표형으로 된 지시대(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기는 표시부재(7)의 표시점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가능영역(이하 조절대역(P)이라 한다.)보다 훨씬 넓은 조절영역에서 조절될 수 있다. 즉, 본체(1)내의 전기적 기구작동에 의해 조절가능한 조절가능영역(이하 조절영역(T)이라 한다.)의 일부영역을 설정하여 조절하도록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재(7)에는 강, 중, 약으로 표시점(7a,7b,7c)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절기의 지시장치는 그 지시부재(5)의 요홈(5a)이 상기 회전축부재(3)의 돌출대(3a)를 수용하도록 상기 지시부재(5)를 회전축부재(3)에 끼워서, 도시하지 않은 원하는 기계 또는 기구에 조절기를 부착한 다음, 그 단부가 상기 표시부재(7)의 일정한 표시점을 가리키도록 상기 지시부재(5)의 지시대(5b)를 맞추면, 도시하지 않은 조절객체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상기 본체(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지시대(5b)가 지시하는 조절객체의 양이 상기 조절객체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본체(1)내의 전기적 기구작동에 의해 조작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조작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원하는 기계 또는 기구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절기의 지시장치는 상기 표시부재(7)에 표시된 표시점(7a,7b,7c)에 따라 일정한 대역의 조절객체밖에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회전축부재(3)의 돌출대(3a)와 지시부재(5)의 요홈(5a)이 서로 끼워져 결정되는 하나의 조절대역에서만 상기 표시부재(7)의 표시점(7a,7b,7c)으로 지시되는 조절객체폭만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조절기의 조절영역에서 다른 대역의 조절객체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시부재(7)의 표시점(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의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시수단을 조절기 본체의 회전축부재에 지시방향을 변경시켜 끼우고 빼기가능케 배설하므로서, 조절영역에서 임의의 일정한 조절대역을 설정하여 조절객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조절기의 지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조절기의 지시장치는 본체에 회전축부재가 배설된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에 임의의 방향으로 끼우고 빼기가능케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단에 세레이션 결합된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가리켜지는 표시점을 표시하도록 상기 지시수단의 외측에 배설된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절기의 지시장치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일측에는 일정한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하는 회전축부재(13)가 돌출 배설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부재(13)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재(13)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도록 연결수단(15)에 의해 매개된 지시수단(17)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지시수단(17)의 외측에는 상기 지시수단(17)에 의해 가리켜지는 표시점을 표시하도록 표시수단(19)이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11)내에는 원하는 기계 또는 기구를 동작 또는 정지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조절객체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조작신호로 바꾸도록 도시하지 않은 조절매체(캠, 스프링, 벨로우즈, 바이메탈등)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일단부는 상기 조절매체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수단(15)에 삽입되어서 상기 회전축부재(13)가 상기 연결수단(1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부재(1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에 걸쳐 돌출대(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15)은 대체로 원통형상으로서, 그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축부재(13)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일정한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대(13a)에 끼워지도록 일정한 길이의 요홈(1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15)의 타측면에는 상기 지시수단(17)이 끼우고 빼기가능케 삽입됨과 동시에 임의의 원주방향으로 변경 삽입되도록 일정한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의 내주면에는 세레이션 잇빨(1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시수단(17)은 대체로 원판형의 원판부(17a)에 대체로 원통형의 원통부(17b)가 돌출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원판부(17a)의 평면에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도록 지시대(17c)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17b)의 단부의 측면에는 원통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수단(15)의 세레이션 잇빨(15b)에 결합되도록 세레이션 잇빨(17d)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을 지시하도록 상기 지시대(17c)의 일단부에는 화살표형으로 된 지시부(17e)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표시수단(19)은 대체로 원판형상으로서, 그 중앙부에는 상기 지시수단(17)의 원통부(17b)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1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시수단(19)이 밀착 배설되는 지시수단(17)의 원판부(17a)의 외측에는 일정한 조절대역(P)의 설정치를 표시하도록 표시점(19b,19c,19d)이 강, 중, 약으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수단(19)은 조절객체(온도, RPM등)를 조절하고자 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계 또는 기구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조절기의 지시장치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수단(15)의 요홈(15a)이 회전축부재(13)의 돌출대(13a)를 수용하도록 상기 연결수단(15)을 상기 회전축부재(13)에 끼운다.
다음에, 표시수단(19)의 관통구멍(19a)에 상기 지시수단(17)의 원통부(17b)를 삽입하여 상기 원통부(17b)의 세레이션 잇빨(17d)을 상기 연결수단(15)의 세레이션 잇빨(15b)에 끼운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재(13)의 일정한 회전각도가 상기 지시수단(17)의 지시대(17c)에 의해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19b,19c,19d)를 가리키도록 상기 지시수단(17)의 지시대(17c)를 맞추면, 조절기의 지시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절기의 지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상기 지시수단(17)의 지시대(17c)를 돌려서 상기 지시대(17c)의 지시부(17e)를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19b,19c,19d)중의 한 곳(강, 중, 약중의 한 곳)에 맞추고, 조절기의 지시장치가 적용된 기계 또는 기구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도시하지 않은 조절객체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상기 본체(11)에 전달된다.
상기 지시대(17c)가 지시하는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가 상기 조절객체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본체(11)내의 전기적 기구작동에 의해 조작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조작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원하는 기계 또는 기구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의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를 조절할수 있는 조절영역(T)을 가진 본체(11)에서, 제6도의 a도에 도시한 조절대역(P), 즉 3-6의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를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19b,19c,19d)에 따라 강, 중, 약으로 조절하는 중에, 조절대역(P)을 변경하고자 하면, 상기 지시수단(17)을 상기 연결수단(15)으로부터 당겨서 분리시킨다.
다음에, 상기 본체(11)에 결합된 회전축부재(13)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지시수단(17)의 세레이션 잇빨(17d)을 상기 회전축부재(13)에 결합된 연결수단(15)의 세레이션 잇빨(15b)에 끼워 맞추어, 제6도의 b도 및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시수단(17)의 결합방향을 변경시키면, 제6도의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시수단(17)의 결합에서는 조절대역(P), 즉 1-3의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를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19b,19c,19d)에 따라 강, 중, 약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6도의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시수단(17)의 결합에서는 조절대역(P), 즉 6-9의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를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19b,19c,19d)에 따라 강, 중, 약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19)을 갈아 끼우거나 표시점(19b,19c,19d)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일정한 조절영역(T)을 가진 본체(11)에서 임의의 일정한 폭의 조절대역(P)으로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를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19b,19c,19d)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축부재(13)를 회전시켜 일정한 조절영역(T)을 가진 본체(11)에서 임의의 일정한 폭의 조절대역(P)으로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를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점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의 지시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점을 구비한 표시수단을 회전시켜 일정한 조절영역(T)를 가진 본체(11)에서 임의의 일정한 폭의 조절대역(P)으로 조절객체의 양 또는 강도를 상기 표시수단(19)의 표시점(19b,19c,19d)에 따라 지시수단(17)의 지시대(17c)가 가리키므로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도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연결수단(15)을 매개물로 하여 회전축부재(13)와 지시수단(17)이 세레이션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상기 지시수단(17)이 상기 회전축부재(13)에 직접 세레이션 결합된 구조도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절기의 지시장치는 지시수단을 조절기 본체의 회전축부재에 지시방향을 변경시켜 끼우고 빼기가능케 배설하므로서, 조절기의 조절영역에서 임의의 일정한 조절대역을 설정하여 조절객체를 조절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본체(11)에 회전축부재(13)가 배설되고, 상기 회전축부재(13)에 지시수단(17)이 끼우고 빼기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지시수단(17)에 의해 가리켜지는 표시점을 표시하도록 표시수단(19)이 상기 지시수단(17)의 외측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조절기의 지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1)는 조절객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영역(T)을 가지고, 상기 표시수단(19)은 상기 조절영역(T)보다 작은 조절대역(P)을 가지도록 표시점을가지며, 상기 회전축부재(13)와 지시수단(17)은 연결수단(15)에 의해 매개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부재(13)와 지시수단(17)은 서로 임의의 방향으로 끼우고 빼기가능케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수단(15)의 일측은 상기 회전축부재(13)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연결수단(15)의 타측은 상기 지시수단(17)에 세레이션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의 지시장치.
KR2019950002204U 1995-02-13 1995-02-13 조절기의 지시장치 KR0122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204U KR0122683Y1 (ko) 1995-02-13 1995-02-13 조절기의 지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204U KR0122683Y1 (ko) 1995-02-13 1995-02-13 조절기의 지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27U KR960029527U (ko) 1996-09-17
KR0122683Y1 true KR0122683Y1 (ko) 1998-10-15

Family

ID=1940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204U KR0122683Y1 (ko) 1995-02-13 1995-02-13 조절기의 지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6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27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4974B2 (ja) 止め釘用照準合わせ装置
US6095020A (en) Hand tool having a variable torque-limiting in-line drive
CA1224070A (en) Hand-held screw driving device with adjustable depth stop
JPS6224974A (ja) 動力計形ねじ回し
SI9420071A (en) Thermostat top part for radiator valves
KR0122683Y1 (ko) 조절기의 지시장치
JPH047223B2 (ko)
US4806809A (en) Rotary shaft coupling device
JP3074466B2 (ja) トラクタの3点取着装置用のリフト棒
JPS6151710B2 (ko)
PL359701A1 (en) Device for selecting control head operating mode, particularly used in thermostatic valves, and thermostatic valve equipped with control head with device selecting its operating mode
US4137783A (en) Device for converting a rotary movement into a reciprocatory movement
KR960706065A (ko) 회전각 신호발생기(Drehwinkelgeber)
TR27736A (tr) Radyatör valfi icin ayar düzenegi.
KR100225675B1 (ko) 유체 작동식 로터리 드라이브
US2940783A (en) Shaft clamping devices
US4501213A (en) Feed control for a sewing machine
KR0122696Y1 (ko) 조절기의 지시장치
JPH07284251A (ja) モータの回転角度検出用センサの位置調整装置
SE503375C2 (sv) Vridlägesavkännare till ett vriddon
JPH0418958B2 (ko)
KR0130199Y1 (ko) 온도조절용 손잡이의 회전범위 조절장치
JP4083890B2 (ja) ミシンの針棒
JP3033414B2 (ja) 電気調理器
KR200266907Y1 (ko) 회전이 가능한 손목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