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539Y1 -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시트 카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시트 카바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2539Y1 KR0122539Y1 KR2019940013630U KR19940013630U KR0122539Y1 KR 0122539 Y1 KR0122539 Y1 KR 0122539Y1 KR 2019940013630 U KR2019940013630 U KR 2019940013630U KR 19940013630 U KR19940013630 U KR 19940013630U KR 0122539 Y1 KR0122539 Y1 KR 01225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cover
- sides
- plate
- head cov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18—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18—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6063—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간이 씨트 분야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간이씨트가 앞좌석용과 뒷좌석용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및 설치시 불편하고 쿠숀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임.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앞좌석과 뒷좌석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헤드카바, 등판, 좌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좌판 및 등판 양측에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외주부를 곡선화시켜 부드럽고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려는 것임.
[고안의 중요한 용도]
차량 씨트의 카바로 사용됨.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A-A' 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6도의 (a)(b)는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에 씨트카바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간이씨트카바 2,12 : 헤드카바
2' : 내향만곡부 2 : 내향만곡부
2a : 차량뒷좌석 설치용 밴드 2b,2b' : 매직테이프
3,13 : 등판 3' : 절곡부
3 : 내향만곡부 4 : 좌판
4' : 절곡부 4a : 레쟈
4b : 설치용밴드 12' : 돌출부
13' : 만곡요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씨트카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헤드카바, 등판, 좌판을 일체로 되도록 연결형성하여, 차량씨트에 보다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앞좌석과 뒷좌석에 모두 설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차량의 머리받침부에 설치되는 헤드카바 부위는 배면 상.하단부에 매직테이프를 봉재 고정시키되, 상부의 매직테이프는 접착부 표면이 보이도록 봉재고정하고, 하부의 매직테이프는 접착부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단만을 봉재고정시킴으로써 미리받침대에 설치가 용이케 하였으며, 헤드카바 상단에 고정밴드를 봉재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뒷좌석에도 설치가 용이토록 하였다.
주지된 바와같이 자동차용 간이씨트카바는 무더운 여름철에 통풍용으로 사용하면서 장식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봄, 가을이나 겨울철에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통상 여름용은 대나무나 왕골동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많고 봄, 가을이나 겨울용은 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여름용과 겨울용중 여름용에 있어서, 등판 및 좌판을 형성하는 대나무가 일측끝에서 타측끝까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이어서, 등판이나 좌판 자체가 좌석에 앉았을때 쿠숀력이 크게 감소되는 상태이고, 또 대부분의 간이씨트는 헤드카바와 등판, 좌판이 모두 분리된 상태이어서 차량씨트에 조립시 시간이 과다소요되고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또 씨트카바자체가 앞좌석용과 뒷좌석용으로 구분되어 있어 앞좌석용은 앞자리에 뒷좌석용은 뒷자리에 설치하여야만 함으로 설치시 선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폐단도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여름용 간이씨트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조립설치가 편하도록 헤드카바, 등판, 좌판이 일체로 되도록 형성시키고, 또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에 모두 설치가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앞좌석용과 뒷좌석용을 구별하여 별도 제작하던 번거로움을 완전히 일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호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등판과 좌판의 양측부를 절곡이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씨트카바 설치후 좌석에 앉았을때 등과 엉덩이에 밀착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 차량씨트의 쿠숀감소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챠량씨트카바에 있어서, 헤드카바(2), 등판(3), 좌판(4)을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차량의 간이씨트카바(1)를 구성하되, 상기 헤드카바(2)는 양측부에 내향만곡부(2')를 형성하고, 상단 또한 내향만곡부(2)를 형성하며, 상단 양측에 차량뒷좌석 설치용 밴드(2a)를 설치하였고, 이면 상.하측에 매직테이프(2b)(2b')를 각각 설치하였는데, 하측의 매직테이프(2b')는 접착부가 뒤로 가도록 거꾸로 봉재 고정시키되 하부가 들려질 수 있도록 상단만 봉재고정시켰다.
등판(3)은 양측에 절곡가능토록 절곡부(3')를 형성하되,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하부가 잘록하게 보일 수 있도록 만곡지게 형성하였고, 상.하연결부위 역시 내향만곡부(3)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좌판(4) 또한 양측에 절곡부(4')를 형성하되, 하부가 잘록한 모양으로 되도록 만곡지게 형성하였고, 하단부에 레쟈(4a) 설치용 밴드(4b)를 봉재형성시켰다.
제5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데, 이는 헤드카바(12) 양측에 돌출부(12')를 형성하고, 등판(13) 상단 중앙부에는 만곡요부(13')를 형성시킨 것이다.
미설명부호 15는 앞좌석 씨트, 16,16'는 등판부 씨트, 17,17'는 좌판부 씨트, 18은 머리받침대, 19는 뒷좌석 씨트, 20,20'는 연결용직물, 21은 연결밴드.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헤드카바(2)와 등판(3), 그리고 좌판(4)을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기에 차량의 씨트에 보다 간편한 설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헤드카바(2)의 상단부와 이면에 각각 차량뒷좌석 설치용 밴드(2a)와 매직테이프(2b)(2b')를 설치구성하였기에 앞좌석 씨트(15)에 씨트카바(1)를 설치할때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헤드카바(2)로 머리받침대(18)를 감싼 상태에서 헤드카바(2) 이면에 봉재고정된 매직테이프(2b)를 다른 매직테이프(2b')에 부착시키고, 좌판(4) 하단에 봉재고정된 설치용 밴드(4b)를 좌판과 연결고정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씨트카바를 뒷좌석 씨트(19)에 고정설치할때는 통상 헤드카바(2)에 봉재 고정된 매직테이프(2b)(2b')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설치용 밴드(2a)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좌판(4) 하단에 형성된 설치용 밴드(4b)로써 좌판부 씨트와 연결설치하면 된다.
위와같이 하여 차량씨트에 씨트카바(1)가 설치되면, 좌석에 앉았을때 등과 엉덩이 부분이 차량씨트에 밀착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씨트카바(1)를 구성하는 좌판(4)과 등판(3)의 양측에 각각 절곡부(3)(3')를 형성시킨 상태이므로 앉아서 등을 기대면 상기 절곡부(3)(3')를 기준으로 양측단부가 등과 엉덩이 양측으로 오므러져 감싸는 상태로 되며, 따라서 종래의 딱딱하고 완충효과가 크게 떨어지던 폐단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볼때 내향진 만곡부등으로 형성시켰으므로 객관적으로 볼때 부드럽고 미려하여 차량에 설치시 장식적 효과가 제법 큰 것이며, 앞좌석과 뒷좌석에 모두 설치가능한 구성이기에 제조시 설치시 종래에 비하여 매우 간판한 잇점도 따르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헤드카바, 등판, 좌판을 일체로 연결구성하고, 헤드카바 상단 및 이면에는 각각 차량뒷좌석 설치용 밴드와 머리받침대(18) 설치고정용 매직테이프(2a)(2b)를 설치구성하였기에 앞좌석과 뒷좌석에 모두 설치사용할 수 있으며, 외관에 미려하고 차량씨트 고유의 쿠손력 감소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 통상의 차량씨트 카바에 있어서, 헤드카바(2), 등판(3), 좌판(4)을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차량의 간이씨트카바(1)를 구성하되, 헤드카바(2)는 양측부에 내향만곡부(2')를 형성하고, 상단 또한 내향만곡부(2)를 형성하며, 상단 양측에 차량뒷좌석 설치용 밴드(2a)를 설치하고, 이면 상.하부에 매직테이프(2b)(2b')를 각각 설치하되, 하부의 매직테이프(2b')는 접착부가 뒤로 가도록 하여 하부가 들려질 수 있도록 상단만 봉재고정시켰으며, 등판(3)은 양측에 절곡가능토록 절곡부(3')를 형성하되, 외적미감을 높이기위하여 하부가 잘록하게 보일 수 있도록 만곡지게 형성하였고, 상.하 연결부위역시 내향만곡부(3)가 형성되게 하며, 좌판(4) 또한 양측에 절곡부(4') 형성하되 하부가 잘록한 모양으로 되도록 만곡지게 형성하였고, 하단부에 레쟈(4a) 및 설치용 밴드(4b)를 봉재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 씨트 카바.
- 제1항에 있어서, 헤드카바(12) 양측에 돌출부(12')를 형성하고, 등판(13) 상단중앙부에는 만곡요부(13')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 씨트 카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3630U KR0122539Y1 (ko) | 1994-06-10 | 1994-06-10 |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시트 카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3630U KR0122539Y1 (ko) | 1994-06-10 | 1994-06-10 |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시트 카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1131U KR960001131U (ko) | 1996-01-17 |
KR0122539Y1 true KR0122539Y1 (ko) | 1998-10-15 |
Family
ID=1938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13630U KR0122539Y1 (ko) | 1994-06-10 | 1994-06-10 |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시트 카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2539Y1 (ko) |
-
1994
- 1994-06-10 KR KR2019940013630U patent/KR01225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1131U (ko) | 1996-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09226A (en) | Vehicle seat | |
GB2194882A (en) | Vehicle seat | |
JPS6133565B2 (ko) | ||
KR0122539Y1 (ko) | 자동차용 일체형 간이시트 카바 | |
JP4071050B2 (ja) | 車両用シートバック | |
KR200267047Y1 (ko) | 차량용 간이시트 커버 | |
JP3838495B2 (ja) | 車両用シートバック | |
KR0114815Y1 (ko) | 자동차용 시트커버 | |
JP4465985B2 (ja) | シート背裏下帯カバーの取付構造 | |
JP2000189271A (ja) | 車両用シ―トのフレ―ム構造 | |
JPS637971B2 (ko) | ||
JPH0641481Y2 (ja) | 自動車座席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 |
KR200295610Y1 (ko) | 자동차용 시트커버 | |
JP7522081B2 (ja) | シートバックパネル及び車両用シートバック | |
JP2552252Y2 (ja) |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に於けるカバー材 | |
KR200144204Y1 (ko) | 의자용 팔걸이 | |
JP2535062Y2 (ja) | ヘッドレスト | |
JPH035351Y2 (ko) | ||
JP2531679Y2 (ja) | ヘッドレスト | |
JPS6212347Y2 (ko) | ||
JPH0434743Y2 (ko) | ||
KR200238583Y1 (ko) | 자동차용 시트커버 | |
JP2557195B2 (ja) | 幼児用三輪車のサドル構造 | |
JPH0111098Y2 (ko) | ||
KR200203925Y1 (ko) | 차량용 간이씨트카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14 Year of fee payment: 11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