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493B1 -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493B1
KR0122493B1 KR1019940038073A KR19940038073A KR0122493B1 KR 0122493 B1 KR0122493 B1 KR 0122493B1 KR 1019940038073 A KR1019940038073 A KR 1019940038073A KR 19940038073 A KR19940038073 A KR 19940038073A KR 0122493 B1 KR0122493 B1 KR 012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hannel
reference channel
channel frequenc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445A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493B1/ko
Publication of KR96002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3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66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with means for analy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03J1/0075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with means for analy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where the receiving frequencies of the stations are stored in a permanent memory, e.g. 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5Selective call 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기준 채널 주파수의 전계강도 세기로부터 선택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호출기가 지역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스케닝을 할 때, 각각의 기준 채널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계의 세기를 파악하여 전계의 세기가 가장 강한 기준 채널 주파수의 지역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되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 이상의 공통지역이 만나는 인접지역에서 수신되는 기준 채널 주파수의 전계강도의 세기를 비교하여 전계강도가 가장 강한 기준 채널 주파수에 해당하는 것을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하는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주파수 동조방법에 관한 것임.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호출기의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Description

무선 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무선호출 수신기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 이상의 공통지역이 만나는 인접지역에서 수신되는 기준 채널 주파수의 전계강도의 세기를 비교하여 전계강도가 가장 강한 기준 채널 주파수에 해당하는 것을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하는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가입자가 서비스 가입지역을 벗어나면 무선호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기존의 무선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가입자가 등록한 지역내에서 하나의 주파수와 어드레스를 갖고 있으며, 인접지역간에는 주파수 분배가 상이하게 운용되고 있고,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주파수 간섭이 없으므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어드레스는 지역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보완한 것이 광역망 시스템으로 광역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제1도와 같은 무선호출기는 여러 주파수 동조가능한 주파수 신디사이저방식이 되어야 하며, 가입자가 현재 어떤 서비스지역에 있는지를 스스로 파악하여 서비스 채널 주파수는 동조되어 서비스를 받는 것으로 되어 있다. 광역망 서비스 시스템을 보면 전극을 몇 개의 공통지역으로 나누어 공통지역마다 별개의 서로 다른 기준 채널 주파수를 송출하여 기준 채널 주파수를 수신한 광역망 무선호출기가 지역정보를 파악하여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무선호출 수신기의 구성도로서, RF부(11)은 주파수합성부(14)에 의해 채널이 지정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지정된 채널의 RF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 출력한다. 상기 RF부(11)은 지정된 채널로 수신되는 미약한 RF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한 후 복조하며, 복조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파형을 정형하여 출력한다.
디코더(12)는 상기 RF부(11)을 출력하는 디지탈 코딩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12)는 POCSAG 코드 형태에서 프리엠블신호, 워드싱크를 검출하며, 자신의 프레임 데이타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EEPROM(15)는 무선호출 수신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EEPROM(15)에 저장되는 정보는 가입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된다. 광역망 가입자의 경우, 상기 EEPROM(15)에 저장되는 정보는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타 및 프레임 데이타로 구성되는 캡코드, 지역권의 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기 위한 기준 채널 주파수들, 상기 기준 채널 주파수에 의해 세트된 지역에서 무선호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서비스 채널 주파수들을 저장한다. 지역 가입자의 경우 상기 EEPROM(15)에 저장되는 정보는 고유 어드레스 데이타 및 프레임 데이타로 구성되는 캡코드가 저장된다.
제어부(13)은 상기 EEPROM(15)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역 가입자인가 광역망 가입자인가를 판단한 후, 가입자의 종류에 따라 무선호출 서비스의 동작과정을 제어한다. 먼저, 상기 가입자가 지역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13)은 가입자가 속한 기준 채널 주파수를 출력하여 채러을 지정한다. 두 번째로 상기 가입자가 광역망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13)은 상기 EEPROM(15)로부터 억세스한 기준 채널 주파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기준 채널 주파수를 일정주기로 출력하므로 채널을 지정하고, 지정된 채널로부터 데이타의 수신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데이타가 수신되는 경우 캡코드에 포함된 지역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무선호출 수신기가 위치된 지역을 판단한 후, 해당하는 지역권의 서비스 채널 주파수를 출력하여 지정된 서비스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프레임 데이타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13)은 전원절약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주기로 상기 RF부(11)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frequency synthesizer) 14는 상기 제어부(13)으로부터 출력되는 채널 데이타에 따라 상기 RF부(11)의 채널을 지정한다. 상기 채널 데이타는 지역권의 기준 채널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한 기준 채널 주파수들 및 광역명 가입자의 무선호출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채널 주파수들이 된다.
표시부(16)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하에 무선호출 서비스중에 발생되는 각종 상황 및 수신된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6)는 LCD가 될 수 있다. 경보부(17)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하에 메시지 수신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부(17)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수단, 진도신호를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으로 구성된다. 이는 본건 특허의 동일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제94-20796호에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그러나, 종래의 광역망 가입자가 두 개 이상의 공통지역이 만나는 인접지역에서는 광역망 무선호출기가 두 개 이상의 기준 채널 주파수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에 무선호출기는 두 개 이상의 기준 채널 주파수를 수신하여 각각의 지역정보를 제94-20795호에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분석하더라도 어떤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되어야 할지 모르게 된다. 따라서 무선호출기는 두 개 이상의 기준 채널 주파수가 들어오게 되면, 중복지역임을 알리는 경보임이나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중복지역임을 알려서 가입자가 손으로 세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호출기가 지역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스케닝을 할 때, 각각의 기준 채널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계의 세기를 파악하여 전계의 세기가 가장 강한 기준 채널 주파수의 지역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되어 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RF주파수변환부(11), 주파수합성부(14), 디코더(12), 제어부(13), 표시부(16), EEPROM(15), 경보부(17)는 상기한 제1도의 설명 즉, 종래기술에서 밝힌 바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인접지역내에서 전계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결과에 따라 기준 채널 주파수를 스케닝하기 위한 무선호출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RF주파수변환부(11)의 출력을 중간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상기 디코더(12)에 제공하는 IF부(111)와, 상기 IF부(111)에서 IF로 변환한 출력신호를 전계의 세기에 따라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RSSI부(112)와, 상기 RSSI부(112)의 출력을 디지탈화 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제고하는 A/D변환기(113)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스케닝을 시작하고 기준 채널 주파수, 서비스 채널 주파수 및 기준 채널수를 읽고 광역 SVC인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광역 SVC가 아닐 때 수신데이타 처리준비상태에 있는 광역 SVC일 때 읽은 기준채널수를 제1영역(M)에 기록하고 검사채널변수(n)을 처음상태(n=1)로 하고 기준 채널 주파수로 동조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동조하에서 제1타이머를 온하여 일정시간 데이타의 수신여부를 체킹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데이타 수신시 이를 디지탈화 하여 제2영역(Sn)에 기록하고 지역정보를 받아 제3영역(In)에 기록하는 제4과정과, 현재 동조된 기준채널변수를 증가시켜(******) 상기 증가된 검사채널변수(n)와 기준채널수(M)와 크기를 비교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은 상기 검사채널변수(n)가 기준채널수(M)보다 클 때까지 진행하며 상기 검사채널변수(n)에 도달할 때 제2영역(Sn)에 기록된 검사채널변수(n) 데이타중 최고치를 선택하고 제3영역(In)에 기록된 이에 해당하는 지역정보(In)를 읽어 분석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분석된 지역정보(In)에 따라 해당 서비스채널을 동조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데이타 수신이 아닐 때 제1타이밍 완료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타이밍이 완료시 검사채널변수(n)를 증가시켜(*****), 상기 검사채널변수(n)가 상기 기준채널수(M)에 도달하는가 체킹하여 도달할 때 제2영역(Sn)에서의 데이타 유무를 확인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데이타가 있으면 상기 제6과정부터 다시 실행하고 없으면 기준채널을 스케닝하는 모드에 돌입하는 제9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2도-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제2도의 무선호출기가 전원이 온상태에 들어가거나 스케인 시작키 입력시 제어부(13)는 이를 인식한 후 (3a)과정에서 스케닝을 시작하고, (3b)과정에서 EEPROM(15)를 제어하여 이미 기록되어 있는 기준 채널 주파수, 서비스 채널 주파수, 기준채널수(M)를 읽는다. 그리고 (3c)과정에서 제어부(13)는 상기 광역 SVC인지를 체킹한다. 상기 (3c)과정에서 광역 SVC가 아닐시 (3q)과정에서 데이타처리 준비단계로 들어가고 상기 (3c)과정에서 광역 SVC일 때 (3d)과정에서 기준채널수(M)를 제1영역(M)에 기록하고 (3e)과정에서 검사채널변수(n)를 1로 하고, (3f)과정에서 제어부(13)는 Fn(n=1)동조에 필요한 데이타를 주파수합성부(14)에 입력하면 주파수합성부(14)는 RF주파수변환부(11)의 수신채널을 제1기준 채널 주파수(f1)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는 (3g)과정에서 제1타이머를 온시켜 상기 제1기준 채널 주파수(f1)의 동조시간을 제1주기(T1)으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RF주파수변환부(11)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증폭, 주파수 변환, 복조 및 파형 정형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주파수변환부(11)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POCSAG 코드 데이타가 된다. 이는 IF부(111)에서 중간주파수로 변환되어 디코더(12)에 입력된다. 그러면 디코더(12)는 POCSAG 코드 데이타의 프리엠블, 워드싱크를 검출하며, 프레임 데이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3)에 입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3)은 상기 프레임 데이타의 어드레스 코드워드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역정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무선호출 수신기가 현재의 기준 채널 주파수에 대응되는 공통지역군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되는 데이타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은 (3h)과정에서 현재의 기준 채널 주파수가 동조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신되는 데이타가 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3h)과정에서 수신되는 데이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3)은 (3r)과정에서 제1타이머가 종료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제1타이머가 오프상태가 아니면 아직 제1주기 T1이 종료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3h)과정으로 되돌아가 현재의 기준 채널 주파수로 동조된 데이타가 수신되는가를 다시 검사한다.
그러나 상기 (3r)과정에서 제1타이머가 오프되었음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부(13)은 제1주기(T1)이 경과되었음을 인지하고 (3s)과정에서 검사채널변수(n)을 하나 증가시킨다(n←n+1). 그리고 (3t)과정에서 검사채널변수(n)가 기준채널수(M)보다 적은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검사채널변수(n)가 기준채널수(M)보다 작은 경우에는 아직 검사할 두 번째 기준 채널 주파수가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13)은 (3f)과정에서 F2동조에 필요한 데이타를 주파수합성부(14)에 입력하여 RF주파수변환부(11)의 수신채널을 제2기준 채널 주파수(f2)를 지정한다. 그리고 (3h)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부(13)은 데이타 수신여부를 체킹한다. 여기서 상기한 실행은 데이타가 수신시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3t)과정에서 기준채널수(M)보다 검사채널별수(n)가 크면 (3n)과정에서 제2영역(Sn)을 체킹하여 지역정보가 보관되어 있는지를 체킹한다.
상기 (3h)과정에서 데이타(POCSAG) 수신시(3i)과정에서 제어부(13)는 A/D변환기(113)의 출력을 받는데, 이는 IF부(103)를 통해 출력된 중간주파수가 RSSI부(105)에 입력되어지며 수신한 데이타 신호가 DC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RSSI부(105)로부터 수신데이타의 DC레벨은 A/D변환기(113)에서 디지탈화되고, 상기 디지탈화된 데이타는 제어부(13)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디지탈화 전계값을 제2영역(Sn)에 기록하고, (3j)과정에서 사이 디코더(12)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 데이타의 어드레스 코드워드에 실려 수신되는 지역정보, 즉 가입자 지역권을 나태는 지역정보를 제3영역(In)에 기록한 후 (3k)과정에서 검사채널변수(n)를 하나 증가시킨다(*****). 다음 (3l)과정에서 검사채널변수(n)가 상기 기준체널수(M)에 도달했는지를 체킹한다. 상기 (3l)과정에서 기준채널수(M)에 도달되지 않으면 상기 (3f)과정에서부터 (3l)과정을 반복 실행하면서 검사채널수(n)을 증가시키면서 F1-Fn동조를 하여 일정시간동안 POCSAG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때 각 채널마다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받아 제2영역(Sn)에 저장하고 이에 매칭되는 지역정보(In)를 받아 보관한다.
상기 (3l)과정에서 검사채널수(n)가 기준채널수(M)를 벗어날시 (3m)과정에서 제어부(13)는 상기 (3i)과정에서 제2영역(Sn)에 기록한 채널 주파수의 전계세기값(Sn)에서 최고치를 선택하고, (3n)과정에서 이에 대응되는 지역정보(In)를 제어부(13)에서 읽어 (3o)과정에서 분석하여 현재 무선호출 수신기가 위치한 지역권을 확인한다. 그리고 (3p)과정에서 확인지역권에 대응되는 지역권의 서비스 채널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합성부(14)로 출력하여 서비스 채널 주파수를 동조시킨다.
이후 무선호출기의 제어부(13)는 상기 동조된 서비스 채널 주파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호출정보를 분석하여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되, (3q)과정에서 서비스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타 처리를 준비단계에 들어간다. 한편, 상기 (3t)과정에서 검사채널변수(n)가 기준채널수(M)를 벗어날 시 (3u)과정에서 상기 A/D변환기(113)에서 처리되어 입력된 제2영역(Sn)의 값의 유무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3M)과정부터 (3P)과정까지 수행하여 서비스하도록 하고, 없으면 기준채널을 스케닝하는 모드로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호출기가 지역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스케닝시 각각의 기준 채널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계의 세기를 파악하여 전계의 세기가 가장 강한 기준 채널 주파수의 지역정보의 해당하는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되어 서비스를 받도록 하여 가입자가 직접 서비스 채널 주파수를 세팅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무선호출기의 기준 채널 주파수 스케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기에 스케닝하여 기준 및 서비스 채널 주파수 기존채널수를 읽고 광역 SVC 검출하며, 광역 SVC일시 기준 채널 주파수로 동조되어 지역정보를 분석시에 수신신호를 IF신호로 생성하여 전계의 세기에 따라서 DC전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다시 디지탈값으로 변환하여 기준 채널 주파수(F1)에 해당하는 지역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나머지 기준 채널 주파수들도 지역정보와 함께 디지탈값으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디지탈값들은 비교에 의해 최대 디지탈값을 선택하여 지역정보를 분석하며 이에 서비스 채널 주파수로 동조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기준 채널 주파수 스케닝 방법.
  2. RF주파수변환부(11), 주파수합성부(14),디코더(13), 제어부(13),표시부(16),EEPROM(15),경보부(17)를 구비한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에서 인접지역내의 전계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결과에 따라 기준 채널 주파수르 스케닝하기 위한 무선호출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RF주파수변환부(11)의 출력을 중간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상기 디코더(12)에 제공하는 IF부(111)와, 상기 IF부 (111)에서 IF로 변환한출력신호를 전계의 세기에 따라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RSSI부(105)와, 상기 RSSI부(105)의 출력을 디지탈화 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제공하는 A/D변환기(1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기준 채널 주파수 스캐닝 제어시스템.
  3. 무선호출기의 기준 채널 스케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기에서 스케닝을 시작하고 기준 채널주파수, 서비스 채널 주파수 및 기준채널수를 읽고 광역 SVC인가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광역 SVC가 아닐 때 수신데이타 처리준비상태에 있는 광역 SVC일 때 읽은 기준채널수를 제1영역(M)에 기록하고 검사채널변수(n)을 처음 상태(n=1)로 하고 기준 채널 주파수로 동조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동조하에서 제1타이머를 온하여 일정시간에 데이타의 수신여부를 체킹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데이타 수신시 이를 디지탈화 하여 제2영역(Sn)에 기록하고 지역정보를 받아 제3영역(In)에 기록하는 제4과정과, 현재 동조된 기준채널변수를 증가시켜(n←n+1) 상기 증가된 검사채널변수(n)와 기준채널수(M)와 크기를 비교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은 상기 검사채널변수(n)가 기준채널수(M)보다 클 때까지 진행하며 상기 검사채널변수(n)에 도달할 때 제2영역(Sn)에 기록된 검사채널변수(n) 데이타중 최고치를 선택하고 제3영역(In)에 기록된 이에 해당하는 지역정보(In)를 읽어 분석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분석된 지역정보(In)에 따라 해당 서비스 채널을 동조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데이타 수신이 아닐 때 제1타이밍 완료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1타이밍이 완료시, 검사채널변수(n)를 증가시켜(n←n+1) 상기 검사채널변수(n)가 상기 기준채널수(M)에 도달하는가 체킹하여 도달할 때, 제2영역(Sn)에서의 데이타 유무를 확인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데이타가 있으면 상기 제6과정부터 다시 실행하고 없으면 기준채널을 스케닝하는 모드에 돌입하는 제9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기준채널 주파수 스케닝 제어방법.
KR1019940038073A 1994-12-28 1994-12-28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KR012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073A KR0122493B1 (ko) 1994-12-28 1994-12-28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073A KR0122493B1 (ko) 1994-12-28 1994-12-28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45A KR960027445A (ko) 1996-07-22
KR0122493B1 true KR0122493B1 (ko) 1997-11-19

Family

ID=1940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073A KR0122493B1 (ko) 1994-12-28 1994-12-28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173B1 (ko) * 1998-07-16 2001-08-07 조정남 멀티채널무선호출수신장치및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45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1585B2 (ja) セルラ無線電話によるセルラ・チャネルの加速走査
US50671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of call in progress
JPH05308301A (ja) 受信装置
JPH09199998A (ja) チャネル走査装置および方法
KR0122493B1 (ko)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동조방법 및 시스템
US5864752A (en) Radio scan method with spatial channel marking
EP0265064A2 (en) Multi-alert radio paging receiver
KR970019142A (ko) Pll을 갖춘 신세사이저 수신기(synthesizer type receiver with pll)
JP3001484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及びチャネル選択方法
KR0122492B1 (ko)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기준 채널 주파수 스케닝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960027278A (ko) 유선 방송의 채널 튜닝 방법
KR0142946B1 (ko) 무선호출기에 있어서 서비스 채널 주파수 스케닝방법
US7039127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0181125B1 (ko) 안테나 동조가 가능한 광역 무선호출기 및 그 제어방법
JP3531799B2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その通信方法
JP3001540B1 (ja) 無線選択呼び出し受信機及びその受信周波数サーチ制御方法
JP2865004B2 (ja) 通信装置及びセルラー電話方式におけるチャンネル検出方法
KR100238707B1 (ko) 광역 무선호출기의 수신지역 자동변경방법
JPH11341554A (ja) 通信装置における周波数チャネルの選択装置及び選択方法
KR0140347B1 (ko) 다채철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주파수선정방법
KR0145774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채널 스캐닝 방법
JPH051152Y2 (ko)
JP2773728B2 (ja) 受信モニタ装置
KR100194459B1 (ko) 광역 무선호출기의 지역탐색방법
JPS6093828A (ja) 車載受信機の情報内容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