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227Y1 -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227Y1
KR0122227Y1 KR2019950044917U KR19950044917U KR0122227Y1 KR 0122227 Y1 KR0122227 Y1 KR 0122227Y1 KR 2019950044917 U KR2019950044917 U KR 2019950044917U KR 19950044917 U KR19950044917 U KR 19950044917U KR 0122227 Y1 KR0122227 Y1 KR 0122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hinge
hole
trunk
li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740U (ko
Inventor
구자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227Y1/ko
Publication of KR970039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7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렁크리드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마찰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1)의 후방에 각종물품을 수용 할 수 있는 트렁크(2)를 개폐해주는 트렁크리드(10)의 저면에 트렁크리드힌지(20)가구비되고,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의 일측은 트렁크리드힌지(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스프링(40)의 일측에 여러겹으로 형성된 걸림고리(42)가 통과하는 제1구멍(52)과, 상기 제1구멍(50)의 하부는 일측에 걸림고리(42)를 구비한 스프링축(44)만이 진입되는 홈(54)과, 상기 홈(54)의 하부는 여러겹의 걸림고리(42)가 걸려지는 제2구멍(52)을 형성함으로써 트렁크리드(10)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마찰소음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차량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트렁크리드가 열린상태의 요부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트렁크리드힌지가 트렁크리드의 개폐에 의하여 작동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트렁크리드힌지가 트렁크리드의 개폐에 의하여 작동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10 : 트렁크리드
20 : 트렁크리드힌지 30 :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
40 : 스프링 42 : 걸림고리
44 : 스프링축 50 : 제1구멍
52 : 제2구멍 54 : 홈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렁크리드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마찰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에는 각종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를 갖는 트렁크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트렁크의 상부에는 수납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는 트렁크리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리드의 저면양측에는 트렁크리드힌지가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리드의 후방에 구비된 키를 열었을 경우 트렁크리드를 개폐할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트렁크리드를 개폐해주는 트렁크리드힌지의 일례를 살펴보면 제1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후방에는 각종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4)를 갖는 트렁크(2)가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2)의 상부에는 수납공간부(4)를 개폐할 수있는 트렁크리드(10)가 설치되는데, 상기 트렁크리드(10)의 저면양측에는 트렁크리드힌지(20)가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리드(10)를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의 일측은 볼트(22)에의해 트렁크리드(10)의 저면으로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고정브라켓(24)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브라켓(24)은 차량(1)의 차체프레임(6)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의 타측에 구비된 고정브라켓(24)으로부터 연장된 소정의 위치에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구멍(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멍(32)으로는 스프링(40)의 일측에 후크모양으로 형성된 걸림고리(42)가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40)의 타측은 차량(1)의 차체프레임(6)에 결합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트렁크리드힌지(20)의 전방에 구비된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의 구멍(32)으로 스프링(4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고리(42)가 끼워진 상태에서 차량(1)의 후방에 구비된 트렁크리드(10)를 개폐함에 따라 트러크리드힌지브라켓(30)의 구멍(32)으로 끼워진 스프링(40)의 걸림고리(42)가 구멍(32)이 내측부위를 회전하면서 마찰을 일으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가 도면중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바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에 형성된 구멍(32)으로 끼워진 스프링(40)의 걸림고리(42)는 상기 구멍(32)보다 직경이 작은 상태로 끼우져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고리(42)가 구멍(32)의 내측부위에서 회전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구멍(32)에서 회전을 하는 걸림고리(42)의 주연부가 구멍(32)의 내측부위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심한 소음이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된 트렁크리드의 개폐시에 트렁크리드힌지의 전방에 구비된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에 결합되는 스프링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후방에 각종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트렁크를 개폐해주는 트렁크리드의 저면에 트렁크리드힌지가구비되고, 상기 트렁크리드힌지의 전방에 설치되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의 일측은 트렁크리드힌지에 결합되고 타측은 스프링의 일측에 여러겹으로 형성된 걸림고리가 통과 하는 제1구멍과, 상기 제1구멍의 하부는 일측에 걸림고리를 구비한 스프링축만이 진입되는 홈과, 상기 홈의 하부는 여러겹의 걸림고리가 걸려지는 제2구멍을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차량(1)의 후방에 각종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4)를 갖는 트렁크(2)를 개폐하는 트렁크리드(10)가 설치되는데, 상기 트렁크리드(10)의 저면양측에는 트렁크리드힌지(20)가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리드(10)를 개폐하게된다.
즉,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의 전방에는 고정브라켓(24)이 차체프레임(6)에 결합되어 있고, 이고정부라켓(24)에 힌지결합된 트렁크리드힌지(20)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정의 위치에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은 스프링(40)의 일측에 여러겹으로 형성된 걸림고리(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구멍(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구멍(50)의 하부에는 결림고리(42)를 일측에 구비한 스프링축(44)만이 진입할 수 있도록 홈(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54)의 하부는 여러겹으로 형성된 걸림고리(42)가 걸려지도록 제2구멍(5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40)의 타측은 차량(1)의 차체프레임(6)상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1)의 후방부에 구비된 트렁크리드(10)가 닫혀있게 되면 트렁크리드힌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의 형태를 유지하게된다.
즉, 상기와 같이 트렁크리드(10)가 닫혀있게 되면, 상기ㅣ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에 형성되어 있는 제1구멍(50)으로 스프링(40)의 일측에 여러겹으로 형성된 걸림고리(42)가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멍(50)의 하부에 연속되는 홈(54)으로 상기 걸림고리(42)를 일측에 구비한 스프링축(44)만이 진입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홈(54)을 통과한 스프링축(44)이 홈(54)의 하부에 형성된 제2구멍(52)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40)의 일측에 구비된 여러겹의 걸림고리(42)가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4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고리(42)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에 결합되고, 타측은 차량(1)의 차체프레임(6)상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써 상기 스프링(40)이 인장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트렁크리드(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트렁크리드(10)를 열었을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가 고정브라켓(24)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트렁크리드힌지(20)가 회전을 함과 동시에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도 함께 회전을 하게되는데, 상기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의 형성되어 있는 제2구멍(52)으로 결합되어 있는 여러겹의 걸림고리(42)도 따라서 이동을 하게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여러겹의 걸림고리(42)를 일측에 구비한 스프링(40)은 인장된 상태에 있다가 압축을 하게되면서 상기 트렁크리드(10)를 부드럽게 열어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에 형성되어 있는 제2구멍(52)으로 결합되어 이동을 하게되는 스프링(40)의 일측에 구비된 여러겹의 걸림고리(42)는 제2구멍(52)과의 마찰면적이 적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소음이 작아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의 일측은 트렁크리드힌지에 결합되고, 타측은 스프링의 일측에 여러겹으로 형성된 걸리고리가 통과하는 제1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의 하부에는 걸림고리를 구비한 스프링축만이 진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하부는 걸림고리가 걸려지도록 제2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트렁크리드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마찰소음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후방에 각종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트렁크(2)를 개폐해주는 트렁크리드(10)의 저면에 트렁크리드힌지(20)가 구비되고, 상기 트렁크리드힌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힌지브라켓(30)의 일측은 트렁크리드힌지(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스프링(40)의 일측에 여러겹으로 형성된 걸림고리(42)가 통과하는 제1구멍(50)과, 상기 제1구멍(50)의 하부는 일측에 걸림고리(42)를 구비한 스프링축(44)만이 진입되는 홈(54)과, 상기 홈(54)의 하부는 여러겹의 걸림고리(42)가 걸려지는 제2구멍(5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KR2019950044917U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KR0122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17U KR0122227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17U KR0122227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40U KR970039740U (ko) 1997-07-29
KR0122227Y1 true KR0122227Y1 (ko) 1998-10-15

Family

ID=1943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917U KR0122227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2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4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227Y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0122228Y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구조
EP3502387A1 (en) Closure system for a compartment, in particular for a storage compartment in a motor vehicle
US5566962A (en) Truck step guard
JPH0737962Y2 (ja) 車両用テ−ルゲ−トカバ−構造
KR100268986B1 (ko) 승용차 비상용 타이어 덮개판의 고정장치
KR960017432A (ko)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용 스토퍼
KR200198924Y1 (ko) 트렁크리드의 개폐구조
KR0132965Y1 (ko)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JPS6226277Y2 (ko)
KR100326387B1 (ko) 자동차용 도어 첵커의 구조
KR19980049803U (ko) 자동차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KR0116949Y1 (ko) 해치백 자동차의 트렁크 차단구조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200147195Y1 (ko) 트럭용 적재함 도어의 체결 구조
KR200141377Y1 (ko) 자동차의 도어첵커 기능을 가지는 도어 힌지
KR19990033027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처짐 방지장치
KR980007875U (ko) 차량용 패키지 트레이의 취부구조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200162102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글래스 개폐장치
KR0111955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덮개 고정장치
KR19990033026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처짐 방지장치
KR0128622Y1 (ko) 트렁크의 키실린더 회전방지구조
KR19980048294U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