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60Y1 -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60Y1
KR0122060Y1 KR2019930018587U KR930018587U KR0122060Y1 KR 0122060 Y1 KR0122060 Y1 KR 0122060Y1 KR 2019930018587 U KR2019930018587 U KR 2019930018587U KR 930018587 U KR930018587 U KR 930018587U KR 0122060 Y1 KR0122060 Y1 KR 0122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ressure
oil
tube
mas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804U (ko
Inventor
조재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8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060Y1/ko
Publication of KR950008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브레이크 튜브의 파손으로 인하여 브레이크 오일이 누유될 때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프로포셔닝 밸브로 브레이크 오일이 공급되는 브레이크 튜브를 차단시키고, 오일의 누유현상을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오일의 누유현상을 조기에 치유하여 자동차의 안전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그 답력이 푸시로드를 통하여 부우스터와 마스터 실린더로 전달되어 유압이 발생되고, 이의 유압이 브레이크 튜브를 통해 프로포셔닝 밸브의 전,후 유압조정밸브에서 배분되어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에 연결된 각 휠의 캘리퍼 또는 실린더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브레이크 튜브의 내압을 감지함은 물론 마스터 실린더와 프로포셔닝 밸브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튜브와 연통 설치되고, 이그니션 키이 및 제동등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제 1 릴레이와 연결된 압력 스위치와; 상기한 압력 스위치와 폐회로를 개재하여 압력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유로가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상세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압력 스위치의 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 기술의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브레이크 페달 2:푸시로드
3:부우스터 4:마스터 실린더
5a,5b,7a,7b:브레이크 튜브 6:프로포셔닝 밸브
8:휠 실린더 9:슈우
10a,10b:압력 스위치 11a,,11b:솔레노이드 밸브
12a12b,14a,14b:제1,2릴레이 13a,13b:경고등
15a,15b:입구포트 16a,16b:본체
17a,17b:연장부 18a,18b:피스턴
19a,19b:마이크로 스위치 20a,20b:접촉판
21a,21b:커버 22a,22b:브라켓트
23a,23b:탄성부재 24a,24b:조정나사
P:폐회로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튜브의 파손으로 인하여 브레이크 오일이 누유될 때, 마스터 실린더로 부터 파손된 브레이크 튜브로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을 차단시킴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자동차의 안전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장치는 자동차의 주행중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주행중에 사용되는 풋 브레이크와 주차시 사용되는 주차 브레이크가 적용되는데, 본 고안은 주 브레이크인 풋 브레이크에 관계한다.
상기 주 브레이크는 제4도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9(0)을 밟으면, 그 답력이 푸시로드(51)를 통하여 부우스터(52)와 마스터 실린더(53)로 전달되어 유압이 발생되고, 이의 유압은 브레이크 튜브(54a)(54b)를 통하여 프로포셔닝 밸브(55)로 전달되며, 이 프로포셔닝 밸브(55)에서는 전,후의 유압조정밸브를 통하여 X자 형상을 취하는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56a)(56b)로 배분되어 이에 연결된 각 휠의 캘리퍼 또는 휠 실린더(57)를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패드 또는 슈우(58)를 동작시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이러한 종래 브레이크 장치는, 각 캘리퍼나 휠 실린더로 연결되는 브레이크 튜브(56a)(56b)의 어느 곳인가 파손되는 경우에 미스터 실린더(53)로부터 프로포셔닝 밸브(55)로 브레이크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고, 이를 경고하는 경고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계속적인 브레이크 페달(50)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오일의 누유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레이크 튜브의 파손으로 인하여 브레이크 오일이 누뉴될 때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프로포셔닝 밸브로 브레이크 오일이 공급되는 브레이크 튜브를 차단시키고, 오일의 누유 현상을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오일의 누유 현상을 조기에 치유하여 자동차의 안전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그 답력이 푸시로드를 통하여 부우스터와 마스터 실린더로 전달되어 유압이 발생되고, 이의 유압이 브레이크 튜브를 통해 프로포셔닝 밸브의 전,후 유압조정밸브에서 배분되어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에 연결된 각 휠의 캘리퍼 또는 휠 실린더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브레이크 튜브의 내압을 감지함은 물론 마스터 실린더와 프로포셔닝 밸브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튜브와 연통 설치되고, 이그니션 키이 및 제동등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제1릴레이와 연결된 압력 스위치와; 상기한 압력 스위치와 폐회로를 개재하여 압력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유로가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압력 스위치는 브레이크 튜브와 연통되는 입구포트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한 입구포트와 직교 방향으로 연통 설치된 연장부에 브레이크 오일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한 피스턴과; 상기한 피스턴의 상측에 결합되어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접촉판과, 상기한 본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커버에 나사 결합된 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어 접촉판의 승강에 따라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한 브라켓트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접촉판과 탄성부재로 탄발 설치되어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나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폐회로는 운전자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클러스터에 마련된 경고등과 압력 스위치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연결하는 제2 릴레이로 이루어져 압력 스위치의 온(ON) 작동에 따라 최초로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경고등이 점등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가 절환되어 브레이크 오일을 지속적으로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주행중 감속하거나 정지시키고자 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그 답력이 마스터 실린더에 전달되어 생성된 유압이 프로포셔닝 밸브를 거쳐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로 배분되어 각각의 캘리퍼나 휠 실린더에 작용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나 슈우가 작동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프로포셔닝 밸브로 부터 각각의 캘리퍼나 휠 실린더에 브레이크 오일이 전달되는 브레이크 튜브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마스터 실린더에서 생성된 유압이 브레이크 튜브를 거쳐 프로포셔닝 밸브에 공급되고, 상기 프로포셔닝 밸브는 전,후 유압조정밸브에서 유압을 배분하여 브레이크 튜브를 통해 각각의 캘리퍼나 휠 실린더로 보내지게 되어 제동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생성된 유압은 브레이크 튜브의 파손된 부분에서 누유되기 때문에 이 브레이크 튜브로 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은 캘리퍼나 휠 실린더에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즉, 브레이크 튜브 내의 압력이 거의 제로(Zero)상태가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튜브에 연통 설치된 압력 스위치는 입구포트에 가해진 유압이 소멸됨으로써, 접촉판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이 온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그니션 키이와 제동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릴레이를 통한 전원이 폐회로의 경고등과 제2 릴레이에 인가되어 브레이크 오일의 누유경고를 운전자로 하여금 인식하게 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가 절환되어 마스터 실린더로 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 상세도로서, 일반적인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그 답력이 푸시로드(2)를 통하여 부우스터(3)와 마스터 실린더(4)로 전달되어 유압이 발생되고, 이의 유압은 브레이트 튜브(5a)(5b)를 통하여 프로포셔닝 밸브(6)로 전달되며, 상기 프로포셔닝 밸브(6)에서는 전,후의 유압조정밸브를 통하여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7a)(7b)로 배분되어 이에 연결된 각 휠의 캘리퍼 또는 휠 실린더(8)를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패드 또는 슈우(9)를 동작시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프로포셔닝 밸브(6)로부터 각각의 캘리퍼 또는 휠 실린더(8)로 브레이크 오일이 전달되는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7a)(7b)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브레이크 페달(1) 작동시 오일의 누유현상이 초래되어 대형사고가 발생되게 되는 바, 상기 브레이크 페달(1) 작동시 브레이크 튜브(7a)(7b)의 내압을 감지하는 압력 스위치(10a)(10b)가 마스터 실린더(4)와 프로포셔닝 밸브(6)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튜브(5a)(5b)와 연통 설치되어 브레이크 튜브(7a)(7b)의 내압(또는 잔압)에 의해 항상 오프(OFF)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스위치(10a)(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1a)(11b)는 압력 스위치(10a)(10b)와 마스터 실린더(4) 사이의 브레이크 튜브(5a)(5b)에 마련되어 압력 스위치(10a)(10b)의 온(ON)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절환됨으로써,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브레이크 튜브(7a)(7b)의 누유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압력 스위치(10a)(10b)는 제동등(도시생략) 그리고 이그니션 키이(도시생략)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릴레이(12a)(12b)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압력 스위치(10a)(10b)는 운전자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클러스터(도시생략)에 마련된 경고등(13a)(13b)과 제2 릴레이(14a)(14b)로 이루어진 폐회로(P)가 개재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1a)(1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 스위치(10a)(10b)의 온(ON) 작동에 따라 최초로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경고등(13a)(13b)이 점등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11a)(11b)가 절환되어 브레이크 오일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경고등(13a)(13b)과 솔레노이드 밸브(11a)(11b)의 작동은 최초로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가 폐회로(P)에 의해 계속적으로 보전됨에 따라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이를 오프(OFF)할때까지 경고등(13a)(13b)은 점등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1a)(11b)는 브레이크 오일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압력 스위치(10a)(10b)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튜브(5a)(5b)와 연통되는 입구포트(15a)(15b)가 본체(16a)(16b)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포트(15a)(15b)와 직교 방향으로 연통 설치된 연장부(17a)(17b)에는 브레이크 오일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한 피스턴(18a)(18b)이 긴밀하게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피스턴(18a)(18b)의 상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9a)(19b)의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접촉판(20a)(20b)이 결합되어 피스턴(18a)(18b)의 승강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9a)(19b)가 온,오프되어 폐회로(P)에 전기적인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마이크로 스위치(19a)(19b)는 본체(16a)(16b)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커버(21a)(21b)에 나사 결합된 브라켓트(22a)(22b)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판(20a)(20b)은 브라켓트(22a)(22b)에 나서 결합됨은 물론 탄성부재(23a)(23b)로 탄발 설치된 조정나사(24a)(24b)에 의해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의 주행중 감속하거나 정지시키고자 할 때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그 답력이 마스터 실린더(4)에 전달되어 생성된 유압이 프로포셔닝 밸브(6)를 거쳐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7a)(7b)로 배분되어 각각의 캘리퍼나 휠 실린더(8)에 작용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나 슈우(9)가 작동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프로포셔닝 밸브(6)로부터 각각의 캘리퍼나 휠 실린더(8)에 브레이크 오일이 전달되는 브레이크 튜브(7a)(7b)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브레이크 튜브(7a)가 파손되면, 마스터 실린더(4)에서 생성된 유압이 브레이크 튜브(5a)(5b)를 거쳐 프로포셔닝 밸브(6)에 공급되고, 상기 프로포셔닝 밸브(6)는 전,후 유압조정밸브에서 유압을 배분하여 브레이크 튜브(7a)(7b)를 통해 각각의 캘리퍼나 휠 실린더(8)로 보내지게 되어 제동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4)로부터 생성된 유압은 브레이크 튜브(7a)의 파손된 부분에서 누유되기 때문에 이 브레이크 튜브(7a)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은 캘리퍼나 휠 실린더(8)에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즉, 브레이크 튜브(7a)내의 압력이 거의 제로(Zero)상태가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튜브(5a)에 연통 설치된 압력 스위치(10a)는 입구포트(15a)에 가해진 유압이 소멸됨으로써, 제3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판(20a)은 탄성부재(23a)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9a)의 접점이 오프 상태에서 온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그니션 키이와 제동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릴레이(12a)를 통한 전원이 폐회로(P)의 경고등(13a)과 제2 릴레이(14a)에 인가되어 브레이크 오일의 누유 경고를 운전자로 하여금 인식하게 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11a)가 절환되어 마스터 실린더(4)로 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때 경고등(13a)과 제2 릴레이(14a)는 하나의 폐회로(P)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초로 인가된 전원이 이그니션 키이를 오프할때까지 계속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경고등(13a)은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11a)는 브레이크 튜브(5a)를 계속 차단함으로써, 파손된 브레이크 튜브(7a)에 브레이크 오일의 공급을 중단시킴에 따라 리저버 탱크(도시생략)에 저장된 브레이크 오일의 잔여량에 의해 비상시 제동 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되어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튜브(7b)의 파손시의 작용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중 브레이크 튜브의 어느 하나가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브레이크 튜브의 내압을 감지하여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파손된 브레이크 튜브 측으로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오일의 누유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파손되지 않은 브레이크 튜브를 통해 제동작동이 이루어짐에 기인하여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운전자가 클러스터에 마련된 경고등을 인식하여 브레이크 튜브의 파손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 등 비상조치를 조기에 실시하여 안정된 운행을 도모함으로써, 자동차의 안전과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브레이크 페달(1)을 밟으면, 그 답력이 푸시로드(2)를 통하여 부우스터(3)와 마스터 실린더(4)로 전달되어 유압이 발생되고, 이의 유압이 브레이크 튜브(5a)(5b)를 통해 프로포셔닝 밸브(6)의 전,후 유압조정밸브에서 배분되어 각각의 브레이크 튜브(7a)(7b)에 연결된 각 휠의 캘리퍼 또는 휠 실린더(8)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크 페달(1) 작동시 브레이크 튜브(7a)(7b)의 내압을 감지함은 물론 마스터 실린더(4)와 프로포셔닝 밸브(6)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튜브(5a)(5b)와 연통 설치되고, 이그니션 키이 및 제동등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제1 릴레이(12a)(12b)와 연결된 압력 스위치(10a)(10b)와; 상기한 압력 스위치(10a)(10b)와 폐회로(P)를 개재하여 압력 스위치(10a)(10b)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유로가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1a)(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10a)(10b)는 브레이크 튜프(5a)(5b)와 연통되는 입구포트(15a)(15b)가 형성된 본체(16a)(16b)와, 상기한 입구포트(15a)(15b)와 직교 방향으로 연통 설치된 연장부(17a)(17b)에 브레이크 오일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한 피스턴(18a)(18b)과; 상기한 피스턴(18a)(18b)의 상측에 결합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9a)(19b)의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접촉판(20a)(20b)과, 상기한 본체 (16a)(16b)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커버(21a)(21b)에 나사 결합된 브라켓트(22a)(22b)에 고정 설치되어 접촉판(20a)(20b)의 승강에 따라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9a)(19b)와, 상기한 브라켓트(22a)(22b)에 나사 결합됨은 물론 접촉판(20a)(20b)과 탄성부재(23a)(23b)로 탄발 설치되어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나사(24a)(24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폐회로(P)는 운전자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클러스터에 마련된 경고등(13a)(13b)과 압력 스위치(10a)(10b)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11a)(11b)에 전원을 연결하는 제2 릴레이(14a)(14b)로 이루어져 압력 스위치(10a)(10b)의 온(ON)작동에 따라 최초로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경고등(13a)(13b)이 점등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11a)(11b)가 절환되어 브레이크 오일을 지속적으로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2019930018587U 1993-09-16 1993-09-16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0122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587U KR0122060Y1 (ko) 1993-09-16 1993-09-16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587U KR0122060Y1 (ko) 1993-09-16 1993-09-16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04U KR950008804U (ko) 1995-04-17
KR0122060Y1 true KR0122060Y1 (ko) 1998-08-17

Family

ID=1936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587U KR0122060Y1 (ko) 1993-09-16 1993-09-16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0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04U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98122A3 (de) Elektrohydraulische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EP0394065A2 (en) Back up braking system
KR0122060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JP3745127B2 (ja) トラクタのブレーキ装置
KR0167975B1 (ko) 비상용 브레이크 장치
KR10021170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보조장치
KR0142532B1 (ko) 자동차의 비상 제동시스템
KR0120250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35506Y1 (ko) 자동차용 비상 브레이크장치
GB2103319A (en) Hydraulic anti-skid brake systems
KR101612277B1 (ko)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
KR100254986B1 (ko) 자동차의 비상제동장치
KR100250051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KR200160855Y1 (ko) 브레이크 압력에 따라 자동 작동되는 해저드 램프와 배기 브레이크 장치
KR970006291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0129156B1 (ko) 주차브레이크의안전장치
JPH0433178Y2 (ko)
KR200155095Y1 (ko) 자동차용 비상브레이크장치
KR96001020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100224034B1 (ko) 자동차 주차브레이크
CN116890804A (zh) 一种集成式多功能电控制动阀及其控制方法
KR0142536B1 (ko) 자동차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20000000538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970001099Y1 (ko) 급제동시경고등점등회로
KR20000004535U (ko) 파열브레이크라인 차단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